View : 425 Download: 0

유아의 무용 경험과 스트레스 경험 정도의 관계

Title
유아의 무용 경험과 스트레스 경험 정도의 관계
Authors
이영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On the assumption that dance experience might reduce children s stress, the degrees of perceived stress were compared amongs groups of subjects who differed in dance experience along with duration of dance activity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A hundred dance practicers and a hundred non-practices were given the Hassles Scales for Children developed by Parfenoff(1989). Analyses of data revealed that : 1. The children s perceived stress was higher in non-dance experiences as compared to dance experiencers ; 2. The perceived stress was lower when the duration of dance experience was longer ;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 due to dance experience as a function of children s birth order ; 4. Children whose mother is free from job (i.e., no-job mother) showed lower degree of stress due to dance experience than children whose mothers have job. These results, taken altogether, were interpreted to suggest the conclusion that dance activity may helf to reduce children s stress significantly. ; 본 연구는 무용경험이 유아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을 알아보고, 무용 움직임을 통해 무용의 치료적 자질과 치료적 기능을 살펴봄으로서, 무용교육을 통한 유아 스트레스 감소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유아들에게 무용경험기회를 제공함으로 해서 유아들의 스트레스 경험정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궁극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무용경험 여부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정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무용경험 기간에 따라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정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3. 형제순위에 따른 무용경험과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정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무용 경험 여부와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 정도와의 관계는 모친 직업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10개의 기관 (유치원, YMCA, 사설무용학원, 문화센타)에서 무용을 하는 유아 100명, 무용을 하지 않는 유아 100명, 총200명의 만5세 여자유아 무용경험 집단의 경우 발레가 89명 현대무용 11명이었다. 검사도구로는 Parfenoff(1989)가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한 질문지(The Hassles Scale for Children)를 기초로 했다. 이 도구는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 유형으로 자아감, 안정감, 또래집단, 가족관계, 높은 기대수준, 유치원, 책임감, 자아통제, 건강의 9가지 유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무용 경험여부에 따른 유아와 스트레스 경험정도는 t-Test로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무용 경험 기간별 유아의 스트레스는 이원 분산분석 하였다. 그리고, 형제 순위에 따른 무용경험에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정도와의 관계와 모친의 직업이 있는 경우 무용경험여부와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정도와의 관계 분산분석(ANOVA) 확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용 경험여부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정도는 스트레스 하위요인에서 무용 경험 집단이 무용 비경험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P<.05). 2. 무용 경험 기간별 유아의 스트레스 경험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용 경험 기간이 길수록 스트레스 경험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3. 형제 순위에 따른 무용경험과 스트레스 경험정도와의 관계는 무용경험 집단과 무용 비경험 집단 둘다 스트레스 경험 정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5). 4. 모친 직업유무에 따른 무용경험여부와 스트레스 경험정도와의 관계는 모친이 직업이 없고 무용경험 집단의 경우 무용 비경험 집단의 유아보다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 무용 경험이 없는 유아들보다는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경우가 또, 무용 교육 경험이 짧은 유아들보다는 긴 시간 무용경험을 가진 유아들의 경우 스트레스 경험 정도가 낮았으며, 모친의 직업이 있는 경우보다는 없는 경우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 경험이 유아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 주고있으며 무용 경험을 통한 유아의 건강, 유치원 생활, 사회적 기능에 대한 평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시해준다. 뿐만 아니라 유아의 스트레스 해소와 대처방안에 대한 무용교육과 무용경험의 기회가 유아들에게 다양하게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고, 일상생활에서 활용·적용 가능한 실증적 무용 교육 프로그램이 설정·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무용 경험과 유아스트레스의 관계에 내재된 심리학적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사회와 무용정책자, 교사와 부모, 마지막으로 무용학자들이 유아무용에 대한 재해석과 재인식으로 유아 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와 유아들에게 적합하고도 이상적인 무용교육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조기무용 교육에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무용경험을 통한 유아 스트레스 감소 및 해소방안을 위한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인 질적·양적 무용교육 연구가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