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선-
dc.creator김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23-
dc.description.abstract스포츠 현장에서 스포츠 팀의 단결을 유지하고 발달시키는 응집력은 팀 성공의 가장 중요한 선행 조건중의 하나이다. 스포츠 팀의 성과나 업적을 분석할 경우 팀구성원간의 관계 혹은 상호작용 정도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스포츠팀의 단결력 혹은 일체감, 단체정신 등으로 표현되는 응집성에 대한 이해는 스포츠 팀의 수행과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집단이 존재하면 반드시 거기에는 집단의 구조적 특성으로서 응집력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집단응집력과 팀 수행과의 관계를 구명함을 연구의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응집이 스포츠 팀의 경기수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집단의 선정을 여자고교배구 5개팀, 실업여자배구 5개팀을 선정하였다. 총10개 집단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실질적으로 경기에 참여한 61명의 설문결과를 토대로 연구되었다. 이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Carron, Widmeyer 와 Brawley (1985)가 개발한 집단환경 질문지(GEQ; Group Environment Qestionnaire)로서 집단통합-과제적 차원, 집단통합-사회적 차원, 집단매력-과제적 차원, 집단매력-사회적 차원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이용한 자기 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집단응집과 스포츠 팀의 경기수행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한 응집력의 4가지 요인과 득점, 득권, 평균수행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 응집요인과 평균득점, 평균득권, 평균수행 관계는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을 하였고, 응집력과 경기수행결과 관계는 중다회귀분석(Multipu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포츠 팀의 구성원들간의 개인대 개인의 인성인 집단응집요인중 집단통합-사회적 차원은 경기결과와 관계가 없었다. 둘째, 스포츠 팀의 개인대 집단과제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 집단응집요인중 집단통합-과제적 차원은 스포츠 팀의 경기결과에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셋째, 스포츠 팀의 집단이 가지는 집단으로서의 매력과 경기수행과의 관계에서 집단응집요인중 집단매력-과제적 차원은 스포츠 팀의 경기결과에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차원의 응집인 집단구성원들이 상호간에 좋아하는 정도와 서로 교제를 즐기는 친구와 팀의 중요성, 사회활동, 단체행동, 구성원들간이 친교 정도는 스포츠 팀의 경기결과에는 정적으로 관계를 갖지 못했으며, 과제적 차원인 집단구성원들이 특수하고 동일한 목표달성과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함께 협력하는 경기참가, 기량기회, 팀성적, 공동책임등 과제에 대한 응집은 스포츠 팀의 경기결과에 정적으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Bird(1977), Rudrer 와 Gill(1982)이 배구팀을 대상으로 한 팀 응집과 경기수행에 정적인 관계를 지지해 주고 있다.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veil the relationship between gruop cohesion and group performance of sport teams. A total of 122 players from 5 women s high school volleyball teams and 5 women s professional volleyball teams was selected and surveyed with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GEQ) developed by Carron, Widmeyer, Brawley in 1985. Scores of four subscales of GEQ were related to three different measures of team performance in volleyball competition, i.e., total score, the number of side outs, and average performance sco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group integration-social subscale which is the attraction among members of sport team has nothing to do with team performance; Second, group integration-task subscal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of sport team; and Third, individual attraction to group-task subscale had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f sport team. The results, in total, suggested a conclusion that team cohesion might be a very important variable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level of performance in team spo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 목차 = ⅲ 그림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가설 = 4 D. 연구의 제한점 = 5 F.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집단 및 집단응집 = 7 1. 집단의 개념 = 7 2. 집단응집의 개념 및 정의 = 8 3. 집단응집 이론 = 10 4. 집단응집의 원인 = 14 B. 집단응집의 측정 = 16 1. 설문지 = 16 2. 인간관계도표 = 19 C. 스포츠 팀의 개념 및 정의 = 21 1. 스포츠 팀의 개념 = 21 2. 스포츠 팀의 형성 = 22 3. 스포츠 팀의 특징 = 24 D. 집단응집과 팀 스포츠 = 26 E. 집단응집과 경기수행과의 관계 = 28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대상 = 31 B. 조사도구 = 32 C.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 33 1. 조사절차 = 34 2. 자료처리 = 35 Ⅳ. 결과 = 36 A. 응집요인과 득권과의 관계분석 = 36 B. 응집요인과 득점과의 관계분석 = 39 C. 응집요인과 평균수행과의 관계분석 = 42 Ⅴ. 논의 및 결론 = 45 A. 논의 = 45 B. 결론 = 48 참고문헌 = 50 부록 = 56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77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스포츠 팀의 집단응집과 경기수행 결과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