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 연구

Title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 연구
Authors
곽지선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가는 실제 자신의 능력보다 자신의 능력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의해 더 잘 예측되어 왔다. 이러한 판단이 한 개인으로 하여금 행동을 할 것인가 말것인가를 결정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판단, 주어진 과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행위 과정을 조직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신념(Bandura, 1977b)을 자기 효능감이라 하며, 자기 효능감은 인지와 정의를 매개한다. 특히, 구체적 상황이 수학인 수학적 자기 효능감을 Hackett와 Betz(1989)는 “특정한 수학 과제나 문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상황적이거나 문제 특수적인 판단”으로 정의했다. Betz와 Hackett(1983)에 따르면 수학적 자기 효능감은 특정 수학 문제를 풀 가능성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수학 문제 자기 효능감), 수학 관련 과제를 수행할 가능성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수학 관련 과제 자기 효능감), 또는 수학 관련 과정에 성공할 가능성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수학 관련 교과목 자기 효능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적 자기 효능감은 수학에서의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학습자가 수학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태도를 수학에 대한 태도라 하는데, 이 또한 수학 성취도와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이처럼 수학 성취도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수학적 자기 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수학 성취 증진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간의 상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더불어 지금까지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수학적 자기 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별 및 계열에 따른 차이를 조사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1).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2).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의 하위 변인들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3). 수학적 자기 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 변인들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1). 수학적 자기 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수학적 자기 효능감은 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1). 수학에 대한 태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2). 수학에 대한 태도는 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수학적 자기 효능감 검사지(MSES-R)를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하고 Fenemma-Sherman이 제작한 수학태도 척도 MAS(Mathematics Attitude Scales)를 신임철(1987)이 번안 개작한 것으로 검사지를 구성하여 서울 소재 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자기 효능감 검사와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AS 6.12 에 의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성별로 비교했을 때는 비슷한 정도의 상관을 보였으나, 계열별로 비교하였을 때는 이과가 문과보다 훨씬 높은 상관을 보였다. 1-(2).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의 세 하위 변인의 상관을 조 사한 결과 문제 효능감이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교과목 효능감은 상관이 매우 낮았다. 1-(3). 수학적 자기 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의 여덟가지 하위 변인의 상관을 조사한 결과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높은 것이 수학학습에 대한 동기성이었고, 수학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나 성역할 적합성(남성영역으로서의 수학에 대한 태도)은 상관이 매우 낮았다. 2-(1). 수학적 자기 효능감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는 없었다. 2-(2). 수학적 자기 효능감은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1). 수학에 대한 태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2). 수학에 대한 태도는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수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수학적 자기 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학적 자기 효능감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고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수학에 대한 태도는 성별 및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How to behave of human is better estimated by how to perceive themselves their ability than the ability itself. Since it makes one to decide to conduct or not. self-efficacy is the belief to the possibility of execution and organization of procedure needed to achieve the task and the decision and the self-efficacy mediates the cognition and affection. Especially Hackett and Betz(1989) defined mathematics self-efficacy of which situatonal circumstance is mathematics as "problem-specific decision on their ability of successful performing of specific mathematical task or problem". Betz and Hackett(1983) divided mathematics self-efficacy into personal decision on the possibility of solving problem(mathematics problem self-efficacy), personal decision on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the mathematics-related tasks(mathematics related tasks self-efficacy), and personal decision on the possibility of success on the mathematics-related courses self-efficacy). And It is investigated that mathematics self-efficacy deeply affects the achievement in mathematics. Meanwhile, the attitude of students to mathematics is named mathematics attitude and this also is known to affect the mathematics achivement level each other. Then revealing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ttitude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could be very advantageou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we are going to re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ttitude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which they are majoring(liberal arts or natural science) that are not yet obtained unified opinions on that. Topics to be covered is as follows. 1-(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ttitude? 1-(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subscal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ttitude? 1-(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subscales of mathematics attitude? 2-(1). Does gender makes difference in mathematics self-efficacy? 2-(2). Does student major makes difference in mathematics self-efficacy? 3-(1). Does gender makes difference in mathematics attitude? 3-(2). Does student major makes difference in mathematics attitude? For this research, we transformed the previously used Mathematics Self-Efficacy Scale(MSES-R) to fit into our situation, made test sheet by changing the Fennema-Sherman s Mathematics Attitude Scale(MAS) by Shin s(1987) and mathematics attitude on the high school sophomore of Seoul located high school and analyzed the result using SAS 6.12. We obtained following results from this research. 1-(1).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ttitude and we could see the similar level correlation according to gender but as for the student major, natural science majoring students showed much stronger correlation than the liberal arts majoring students. 1-(2). Investigation of mathematics attitude and 3 subscal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showed highest correlation in problem efficacy and lowest correlation in subject efficacy. 1-(3). Investigation of self-efficacy and 8 subscales of mathematics attitude showed highest correlation in Confidence in learning math and the next was motivation to mathematics study. The lowest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attitude to Usefulness of math and Math as a male domain. 2-(1).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mathematics self-efficacy was found. 2-(2).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udent major in mathematics self-efficacy was found. 3-(1). Signa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mathematics attitude was found. 3-(2). Signa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udent major in mathematics attitude was found. We can summarize this as follows. We see that more the student s mathematics attitude is positive, the higher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since there exis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ttitude.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mathematics self-efficacy, but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udent s major and for the attitude to mathematics, it is verified that there exist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student s maj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