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중학교 1학년 과학 실험에 대한 탐구실험 교재와 평가준거 개발

Title
중학교 1학년 과학 실험에 대한 탐구실험 교재와 평가준거 개발
Authors
변인옥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탐구실험 교재와 과정 중심의 실험 수행 평가를 하기 위한 분석적인 채점준거를 개발하는데 있다. 탐구실험 교재는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중에서 네 개의 실험 주제를 선정한 후, 각 실험 주제에 대하여 도입-관찰-설명의 3단계로 구성된 학생용 탐구 실험서와 교사용 실험 지도서의 두 가지 형태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각각의 실험에 대하여 학생들의 실험 활동과 실험 보고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분석적 채점준거를 개발하였다. 이 채점준거는 세 가지로서 첫째는 학생들이 실험 후에 제출하는 조별 실험 보고서 평가를 위한 채점준거이고, 둘째는 학생들이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별 및 개인별 실험 기능 평가를 위한 채점준거이며, 셋째는 학생들이 실험에 임하는 태도를 개인별로 평가하는 채점준거이다. 개발한 탐구실험 교재와 채점준거의 내용 타당도를 과학교육 전문가 3인과 과학교육 전공 대학원생 3인에게 검증받은 후 현장에 적용하였다. 현장적용 후 학생들이 제출한 실험 보고서를 3인의 채점자가 채점하게 하여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 학생들의 실험수행 평가 결과와 지식 평가 결과 사이의 상관 관계를 알아본 결과 상관(r=.32, p<.01)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실험수행 평가가 지식평가 문항으로는 평가되지 않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탐구실험 교재로는 탐구적인 실험을 할 수 있고, 개발한 채점준거로는 각 실험 과정에 대한 총괄적인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수행 평가가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quiry-based experiment sheets and the process oriented scoring rubrics which can be used in the science laboratory for the seventh grade. For this purpose, four experimental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textbooks. Students experimental activity sheet and teachers guide manual were developed for each experiment. These are composed of the three stages, introduction, observation, and explanation. Also three scoring rubrics were developed to evaluate students manual skills and students attitudes during the experiment, and to score students activity sheets submitted after the class. Content validities for the experimental activity sheets and scoring rubrics have been verified by three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and also by three science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 After administering the developed experiments to two classes in the middle school, the inter-scorer reliabilities of scoring students activity sheets have been examined between three scorers. Als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laboratory scores obtained using three scoring rubrics developed and the scores of written knowledge tests has been examined and turned out to be low(r=.32). Therefore, these scoring rubrics can assess parts of students inquiry process skills which cannot be assessed by written knowledge te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