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향자-
dc.creator김향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9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6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teacher behavioral changes according to variation in the number of teacher and child in the classroom. To identify the concrete factors of child’s and teacher’s behavioral changes, class structure variance were divide into three cases: (1) the number of teachers in class,(2)teacher: child ratio, (3) class size. In each case child’s behaviors were observed in three categories: aggressive/nonaggressive behavior, task participation degree and types, and social grouping pattern. At the same time the teacher’s behaviors were observed in terms of the pattern of behavior and language. The subject kindergartens were similar in their program, their class size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their daily schedule. The ratios of teacher to child were 1:30, 2:30, 1:40 and 2:40. The child’s behaviors were observed just during 15 days(91.10.7~91.11.2) at free play activity period by 4 observers. The observation method was 1-minute observation, which was followed by 30-second recording. The most frequent behavior of the child observed during 1 minute was checked. The teacher’s behaviors were observed just during two weeks(91.10.7~91.11.2) at free play activity period by 6 observers. There were two observers to observe the two teachers at once in 2-teacher class. The observation method was the same as in child’s case. When the teacher’s behavior was ambiguous, the method of 1’30” observation and 30-second record was adopted. The language used for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recorded. The data collected in the child’s and teacher’s behavi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lass structure variance, into frequency, percentage in each observation category, and then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each group are brought about through x^2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hild’s behavior Child’s behaviors are observed in three main categories in each case. First, in the case of aggressive/nonaggressive behavior, children of 40-child, I-teacher, and 1:40-ratio class were more aggressive than those of 30-child, 2-teacher, and 1:30-ratio class. Second, in the case of task participation and degree, children of 30-child, 2-teacher, and 1:30-ratio class showed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purposeful activities whereas those of 40-child, I-teacher, and 1:40-ratio class showed nonparticipation, nonpurposeful and wandering behaviors. Third, in the case of social grouping pattern, 40-child-class children were more participated in group play than 30-child-class children. Children of 30-child, I-teacher class more often did play with teacher than those of 40-child, 2-teacher. 1:30-ratio-class children more often did play with teacher and less participated in group play than those of 1:40-ratio class. 2. Teacher’s behavior Teacher’s behaviors are observed in two categories in each case. First, in the case of behavior pattern, teachers of 40-child, 1:40-ratio, and I-teacher class showed the more demonstration, control×instruction, criticism×punishment, non-reaction and onlooker behavior, whereas those of 30-child, 1:30-ratio, and 2-teacher class showed the more permissiveness, approval, physical contact, helpful and person-to-person communicative behaviors. Second, in the case of language pattern, teachers of 30-child, 1:30-ratio, and 2-teacher class used the more communicative comment and reactive language pattern, whild those of 40-child, 1:40-ratio, and I-teacher class used simple comment and non-linguistic reaction.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학급크기와 교사수 변화에 따라서 유아 및 교사의 행동을 분석하는데 있다. 유아 및 교사의 행동변화의 원인에 대한 구체적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급조직변수를 (1)같은 학급크기에서 교사수 변화 (2)교사:유아비율 (3)학급크기(교사수에 관계없이)로 나누었다. 학급조직변수에 따라서 유아의 행동은 공격적행동, 과제참여 정도와 유형, 사회적 집단구성 형태를 보았고, 교사의 행동은 행동형태, 언어형태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었다. 대상유치원은 교육프로그램, 교실크기와 물리적 형태, 활동 일과표등은 비숫하나, 교사수와 유아수가 1:30, 2:30, 1:40, 2:40인 4학급을 서울시내 사립유치원에서 선정하였다. 유아의 행동관찰은 관찰자 4명에 의해 10월7일부터 11월 2일 사이에 15일동안 자유놀이시간에 이루어졌으며, 관찰방법은 1부 관찰, 30초 기록의 1분 30초를 단위로 하여 대상유아의 1분 동안의 행동중에서 가장 빈번한 행동을 기록하였다. 교사의 행동관찰은 관찰자 6명에 의해 10월7일부터 11월2일사이에 15일동안 자유놀이시간에 이루어졌다. 교사가 두명인 학급에는 두명의 교사를 동시에 관찰하도록 관찰자 두명을 배치하였다. 관찰방법은 1분관찰, 30초기록의 1분30초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였다. 단 교사의 행동을 범주의 정의에 다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만 1분 30초관찰, 30초기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외에 교사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내용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유아 및 교사의 행동 관찰자료는 학급조직 변수(독립변인)에 따라서 관찰범주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x2검증을 통해 각 집단간 행동변화의 차이에 대한 유의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행동 첫째, 유아수가 40명인 학급에서 30명인 학급에서보다 유아의 공격적 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같은 학급크기에서 교사수변화에 있어서도 교사가 1명인 학급이 교사가 2명인 학급보다 공격적 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교사:유아 비율에 있어서 유아의 공격적 행동은 교사:유아비율이 1:40인 집단이 1:30인 집단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과제참여 정도와 유형에 있어서, 유아수가 30명인 학급이 40명인 학급보다 유아들이 적극적 참여와 유목적 활동을 더 많아 하였다. 같은 학급크기에서 교사수 변화에 있어서도 교사가 2명인 학급보다 유아들이 비참여,방황,목적없는 행동에 더 많이 참여하였다. 교사:유아비율에 있어서도 1:30인 학급의 유아들이 1 : 40인 학급의 유아들보다 적극적 참여와 유목적 활동이 더 많아 나타났다. 세째, 유아의 사회적 집단구성형태에 있어서, 유아수가 40명인 학급이 30명인 학급보다 집단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였다. 교사가 포함된 놀이와 혼자있음은 유아수가 3-명인 학급이 40명인 학급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같은 학급크기에서 교사수 변화에 있어서도 교사가 2명인 학급보다 교사가 1명인 학급의 아동이 교사가 포함된 놀이가 더 많이 나타났다. 교사:유아비율에 있어서도 1:40인 학급의 유아들이 1:30인 학급의 유아들보다 집단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였다. 고사가 포함된 놀이와 혼자있음은 1:30인 학급의 유아들이 1 :40인 학급의 유아들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2. 교사행동 첫째, 유아수가 40명인 학급의 교사의 행동형태는 시범, 통제, 지시, 비난, 벌, 무응답, 방관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유아수가 30명인 학급의 교사들은 허락, 칭찬, 신체적 접촉, 도움행동, 개별적 대화행동이 더 많아 나타났다. 교사:유아 비율에 있어서도1:30인 학급의 교사가 1:40인 학급의 교사보다 하락×칭찬, 신체적접촉, 도움행동, 개별적 대화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교사:유아 비율이 1:40인 학급이 1:30인 학급보다 교사들은 시범, 통제×지시, 비난×벌, 무응답×방관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같은 학급크기에서 교사수 변화에 있어서도 30명 학급크기에서는 두 학급 모두 도움행동과 개별적 대화, 40명 학급크기에서는 두 학급 모두 교사의 시범×통제×지시행동이 많이 나타났지만, 두 집단간에는 교사가 2명인 학급이 개별적 대화, 신체적 접촉, 도움 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교사의 시범,통제x지시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언어형태가 학급크기 변화에 있어서도 유아수가 30명인 학급의 교사들은 대화적 언급x반응의 언어형태가 더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40명인 학급의 교사들은 단순언급x반응, 비언어 형태가 더 많이 나타났다. 역시 교사:유아비율에 있어서도 1:30인 학급의 교사들이 1:40인 학급의 교사들보다 대화적언급x반응의 언어형태가 더 많이 나타났다. 같은 학급크기에 있어서 교사수변화는 교사가 1명인 학급에서 단순언급x반응,비언어형태가 많이 나타났으며, 교사가 2명인 학급에서는 교사의 대화적 언급반응x형태가 더 많이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 7 B. 교수-학습활동에 영향을 주는 적절한 교사수와 유아수 --------------- 9 C. 교사와 유아수 변화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행동형태 ----------------- 16 III. 연구방법 -------------------------------------------------------- 40 A. 연구대상 --------------------------------------------------------- 40 B. 측정도구 --------------------------------------------------------- 42 C. 연구절차 --------------------------------------------------------- 45 D. 예비조사 --------------------------------------------------------- 47 E. 분석방법 --------------------------------------------------------- 48 IV. 결과 및 해석 ----------------------------------------------------- 50 A. 같은 학급크기에서 교사수 변화에 다른 유아 및 교사행동 ------------ 50 B. 교사: 유아비율에 다른 유아 및 교사행동 --------------------------- 70 C. 학급 크기에 따른 유아 및 교사행동 -------------------------------- 82 V. 논의 및 결론 ------------------------------------------------------ 94 A. 요약 및 논의 ----------------------------------------------------- 94 B. 결론 및 제언 -----------------------------------------------------103 참고문헌 -------------------------------------------------------------108 부록 -----------------------------------------------------------------118 영문초록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028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급크기와 교사수 변화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행동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