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후-
dc.creator이경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9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2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듀이철학의 자연주의적 경험론과 예술관을 근거로 하여 ‘하나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분석하고, 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주요내용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듀이는 반성적 사고를 요하는 이차적 경험들이 일상적 경험에 의해 검증됨으로써 삶을 더욱 의미있고 풍요롭게 한다는 철학적 입장을 채택하였다. 또한 그는 예술이 경험의 정점이며, 자연에서의 절정사건(culminating event)이라고 봄으로써 예술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그의 자연주의는 의미있고 가치있는 잠재력이 실현되는 예술에서의 창의성을 중시하고 있다. 듀이는 과학이 지는 한계점을 예술로서 보완하되, 예술에 대하여는 느끼고 소유되는 비인지적 유형의 질성의 경험, 즉 미적 향유에 국한시키고 어떠한 종류의 반성적 경험과도 통합되게 그의 철학을 정립시켰다. 예술경험은 예술작품 외에 일상적 경험에서도 충족되는 통합성의 특성을 지닌다. 이 통합성은 주체자가 상황과 유기적 통합을 이루는 예술경험이다. 듀이는 이 경험을 상황 전체를 하나로 통일시키는 ‘직접적 질성’과 ‘달성적 국면’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인간은 사물이나 사태를 접하여 직접적으로 그 질성을 향유할 수 있는 ‘하나의 경험’을 한다. 사태나 상황은 잠재된 가능성의 실현화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것을 주체가 직접 누리는 것은 상황전체를 하나로 통일시키는 질성의 경험 때문이다. 이 직접적 질성의 경험은 前反省的 경험이면서 동시에 반성적 경험을 동반하고 종국의 달성적 국면에 이르러서는 의미와 풍요로움을 주체에게 안겨준다. 이러한 ‘하나의 경험’의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상황 전체를 통일시키는 질성, 즉 遍在的 質性(pervasive quality)이 관여한다. ‘하나의 경험’은 직접적·통합적·달성적·자기완결적 경험이다. 이러한 예술의 통합경험은 교육과 내재적 관계에 있다. 즉 예술에서 산만하고 파편적인 요소들이 제거되고 상호 침투해 통합되는 경험은 곧 교육에서의 이상적이고 완성적인 경험이다. 예술교육은 지식교육, 도덕교육에서보다 통합경험을 근원적이고도 포괄적으로, 그리고 완성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인적 교육인 것이다. 예술교과교육은 이러한 의미에서 중요하며, 미적 향유, 미적 경험, 미적 지식을 중심으로 논의할 수 있다. 미적 향유는 예술유희가 통합적인 ‘하나의 경험’으로 달성될 때, 그리고 예술작품의 질성을 올바로 이해할 때 가능하다. 예술교육은 예술유희가 제공하는 자기충족성과 자기완결성의 활동을 통해 이상적인 자유와 지각의 풍요로움을 맛보게 하는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예술교육은 예술작품의 올바른 감상이나 이해를 위해 지적 내용과 방법을 개발한 비평철학 등의 미적 지식을 전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세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의 발전을 기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analyze Dewey’s theory of art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aesthetic education. It is an inquiry into Dewey’s philosophy of empirical naturalism and the place of art thereof, his conception of art as ‘an experi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aesthetic education. Dewey’s philosophy of empirical naturalism rejects the dualism of nature vs. experience. Man is able to enjoy more meaningful and fulfilled life in his relations with nature when his secondary experience, accompanied by reflective thinking, is supported by his primary experience. He also praises art to such an extent that he regards it as the ‘culminating event’ in nature. His naturalism implies individual creativity in art?art as the activity in which potentially meaningful and valuable things are realized. In this perspective, art is the highest of all human experience and perspective, art is the highest ofall human experience and consequently supplements the limits of science. Although it is strictly definded as the uncognitive experience of (immediate) “qualities” that can be “felt” and “had”, that is aesthetic appreciation, art can be integrated with any type of reflective secondary experience. The conception of art a the experience of the “pervasive quality” in “ an experience” holds good in ordinary experiences as well as the work of art. By “an experience” is meant the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the subject achieves an organic unity with the situation. Dewey explains the “an experience” in terms of the “immediate quality” and the “consummatory phase”. Man is able to appreciate the immediate quality of an object or an event and to enjoy “an experience” filled with meaning. The realization of potentialities in an event of an object, felt and had by the subject-being, is the very experience of the quality that unifies the entire situation. The experience of the immediate quality is pre-reflective in its own, but it is accompanied by the reflective experience and thereby provides the subject with its meaning and fulfillment in the final phase. Dewey’s “an experiences” depends on the pervasive quality that unifies the entire situation from its primacy to its ultimacy. The immediate quality experienced in the primary phase changes itself in each phase until the subject-being enjoys a meaningful, fulfilled experience in the consummatory phase by appreciating the pervasive quality. Such unifying “art as experience’ is intrinsically related to education. The process of articulation, merging, and unity of elements in aesthetic experience is no less than the ideal, consummatory experience in education. Hence the rationale of aesthetic education. It is able to take care of those unifying experiences in a manner more fundamental and complete than that of intellectual or 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aesthetic education refers to this supreme educational function of art as experience. Aesthetic education includes aesthetic appreciation,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knowledge. Aesthetic appreciation is possible when an “art play” achieves the status of ‘an experience”, or when the quality of a work of art is felt and had. Furthermore aesthetic education provides our children with opportunities of self-sufficiency and self-enclosedness in art plays and works of art and thereby makes aesthetic experience possible. Finally, aesthetic education effectively transmits aesthetic knowledge, or intellectual methods for proper appreciation of works of art, developed by aesthetic criticism.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se three functions should be the basis of the curriculum of aesthetic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방법, 내용 및 제한점 ----------------------------------------- 5 II. 듀이의 자연주의 경험론 ------------------------------------------- 8 A. 경험적 방법 ------------------------------------------------------ 8 B. 경험과 자연의 연속성 --------------------------------------------- 19 III. 듀이의 예술론 --------------------------------------------------- 28 A. 하나의 경험 개념의 통일성 --------------------------------------- 32 B. 하나의 경험 의 직접성 ------------------------------------------- 50 C. 예술경험으로서의 하나의 경험 ----------------------------------- 55 IV. 예술경험과 예술교육 ---------------------------------------------- 76 A. 예술과 교육의 내재적 관계 ---------------------------------------- 76 B. 예술교육의 정당성 ------------------------------------------------ 91 V. 결론 --------------------------------------------------------------102 참고문헌 -------------------------------------------------------------111 영문초록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73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듀이의 예술론과 예술교육-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