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한국의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식생활 변천 : 조선말기부터 1980년대까지

Title
한국의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식생활 변천 : 조선말기부터 1980년대까지
Authors
정혜경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우리사회에 만연된 영양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해방 이후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식생활분야도 급격한 변천을 겪게 되었다. 고도의 경제 성장은 풍요롭고 다양한 식생활을 만들어 냈으나, 그 이면에는 상대적 영양불량의 문제, 식량지급률 저하 및 식생활패턴의 서구화라는 문제를 낳게 되었고 이에 대한 해결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사적인 산물이므로 우리나라의 식생활 변천과정 속에서 다루어 보았다.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변동이 식생활에 미친 영향을 문헌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식생활이라는 포괄적인 문제를 편의상 첫째, 식품의 수요 공급의 체계 둘째, 식사패턴 셋째, 영양 및 건강상태라는 세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대별 분류는 조선말기를 기점으로 하여 그 후 개항기, 일제 식민지시대 그리고 해방 이후부터 경제개발 시기 이전까지 그리고 경제개발기 이후부터 현대까지로 하였다. 그 결과 식료품의 수요 공급체계, 다양한 식사형태, 영양 및 건강상태는 사회경제적 변동요인에 의하여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음을 볼 수 있었다. 조선 후기에 와서 현대와 비슷한 형태의 식생활 전통이 수립되었고 그 후 개항기 및 일제시대를 거치는 동안 우리의 문호가 개방되면서 외국 세력의 진출은 한국 식생활에 서양생활이 접촉되는 계기가 되었지만 쌀의 해외 유출을 가져와 일반서민의 식생활은 쌀 소비량의 감소로 인해 더욱 곤궁하였다. 특히 일본은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및 강제공출이란 식민지 농업정책을 통하여 수탈하였다. 이에 따라 특히 농촌 빈민, 화전민, 토막민의 식생활은 매우 곤궁하였고 열악한 영양 상태로 인한 감염성 질환의 이환율이 매우 높았다. 해방이후 미 잉여 농산물 도입의 일환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밀은 쌀 중심의 식생활패턴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그후 1960년대이후에 이루어진 경제개발은 기아와 빈곤문제를 해결한 계기가 되었지만 일부 지나친 영양 과잉으로 비만의 문제를 낳았고 외식증가, 다국적 식품기업의 국내 진출은 식생활의 서구화경향을 낳게 되었으며 이는 서구형 성인병 발생률 증가 경향을 낳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식생활변화는 내용을 다루어 봄으로서 이러한 현대의 식생활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urrent nutritional problems of Korea. Sinc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dietary pattern of Korea has undergone a considerable change accompanied by an unprecedented growth of economy. As a result, Koreans enjoy a wealth and variety of food. Such a drastic dietary change, however, brought about newly-developed food and nutritional problems such as decreased food sufficiency ratio, malnutrition due to overnutrition and westernization of Korea diet.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changes on dietary pattern in Korea. The search covered five historical periods with the emphasis on three major nutrition areas, food production-demand, changes in diet pattern, and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Korean people. The five historical demarcations were: Later Half of Chosun, civilization period, Japanese colonialism,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to preeconomic development period and from past economic development to present. In the Later Half of Chosun period, the diet pattern was similar to the current one. During civilization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variety of food items. However, the quality of the diet was not improved, due to forced exportation of the staple food, rice to Japan, Japanese colonialism exploited Korean people by employing a variety of colonial agricultural policies such as land Redistribution, increased rice production for export, food-confiscation, which caused a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diet. This was more serious for poor people as demonstrated in the increasing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due to communicable diseases.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U.S. food surplus such as wheat flour entered into Korea changed the traditional rice-based diet pattern and caused a decrease in food sufficiency ratio. Economic growth of Korean ecmomy since 1960’s alleviated the problems of poverty, frequent famine and undernutrition,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raditional Korean diet pattern. The changes include increased frequency of eating way from home, introduction of multnational food industry into Korea, westernization of Korean diet, which brought about a new problem such as over-nutrition, increased incidence of obesity and other metabolic diseases. In conclusion this literature search docum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ir influence current Korean diet.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solutions to the current food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