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현대교육과정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의 문제

Title
현대교육과정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의 문제
Authors
소경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1970년대 이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잇는 현대교육과정 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을 분석함으로써 그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현재교육과정 이론은 타일러에 의해 대표되는 전통적 교육과정 이론이 안고 있는 문제점, 즉 실증주의적 관점을 극복하려는 과정에서 발달해온 것이다. 그 동안 현대교육과정 이론은 교육과정 이론의 연구 관심 및 방법을 다원화 하는데 적지 않은 공헌을 해 왔다. 그러나 현대교육과정 이론은 교육과정 이론의 핵심적인 탐구문제라 할 수 있는, 가치로운 교육내용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입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대교육과정이론이 안고있는 이와 같은 근본적인 한계를 그 이론에 가정되어 있는 지식관의 문제와 관련 지어 분석·설명하는 데에 일차적 목적이 있다. 현대교육과정 이론의 지식관에 대한 분석은 현대교육과정이론을 대표하는 슈왑의 실제성 이론과 파이너의 재개념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그리고 각 이론의 지식관은 인식과정에 있어서 개인의 위치와 역할 및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분석되었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교육과정 이론에서는 인식과정에 있어서 개인을 의미형성의 주체로 파악하고 있다. 즉 현대교육과정 이론에 있어서 개인은 세계를 주어진 것으로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적극적으로 그것을 해석하고 구성하는 능동적인 주체로 이해되고 있다. 둘째, 현재교육과정 이론에서는 사회가 개인의 주체적인 인식과정에 구체적인 맥락을 제공해주는 환경적인 조건으로 이해되고 있다. 즉 현대교육과정 이론에 있어서 사회는 서로 다른 관심과 이해관계를 가진 집단이나 계층의 집합을 의미하며, 이러한 사회는 지식이 생성되고 변화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주체적인 의미창출과정을 억압하고 구속하는 것으로서 극복되어야 할 대상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며, 현대교육과정 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은, 의미 형성의 주체로서의 개인의 역할과, 그와 같은 개인의 주체적인 의미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실체로서의 사회의 역할을 올바르게 부각시켜주고 있다는 점이 논의 되었다. 특히 이들의 논의는 인식과정에 있어서의 사회의 의미를 구체적인 실체로 파악함으로써 그것을 이론적이고 논리적인 수준에서 분석하는 입장이 야기할 수 있는 폐쇄적이고 정태적인 지식관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식의 다양성과 변화가능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현대교육과정 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은 나름대로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즉 그것은 인식과정에 있어서 개인의 주체적 능동적인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그 과정에 있어서 개개인의 인식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유일한 기반이라 할 수 잇는 공적 기준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적 기준에 대한 고려가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식의 진위에 대한 판단을 주관적이고 임의적인 과정으로 이해될 수 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상대주의의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사회로부터 주어지는 객관적인 기준은 오히려 개인의 자유로운 의미형성과정을 구속하고 억압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교육과정 이론의 지식관이 안고 있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상대주의적 지식관의 일반적인 문제점과의 관련 속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현대 교육과정 이론이 교육내용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이들의 주관주의적·상대주의적 지식관에 기인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현대교육과정 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사회의 성격을‘공동체’로 파악하고자 하는 관점이 검토되었다. 사회의 성격을 공동체로 파악하는 관점은 인식의 과정에 있어서의 개인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그러한 개인의 인식과정의 기반이 되는 공적인 기준의 중요성을 올바르게 존중해주는 관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관점에서는 사회적 인간활동(practice) 및 전통(tradition)의 성격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한편으로 사회적 인간활동으로 구성되어 잇는 전통이 개개인의 인식과정에서의 공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는 점과, 다른 한편으로 그와 같은 공적 기준으로서의 전통은 그 내부의 갈등적인 요소로 인하여 다양성과 변화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주고 있다. 따라서 사회의 성격을 공동체로 파악하는 관점은 현대교육과정 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의 긍정적인 측면을 수용하면서도, 그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인 관점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안적인 관점은 또한 인식과정에 있어서의 사회의 역할을 이론적이고 논리적인 측면에 국한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관점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of knowledge of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in order to identify its problems and to explore an alternative perspective.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have been developed against the positivistic trends of the traditional curriculum theory represented by Ralph Tyler. Although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have contributed to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through introducing new topics and method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curriculum, they have theories own difficulty in that they do not provide any clear and positive claims on curriculum cont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is fundamental difficulty in relation with their view on the nature of knowledge. The analysis on the view of knowledge of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actical and reconceptualization theories. The analytical frame is as follows: First, how is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individual in the knowing process defined?; Second, how is the nature of society in the knowing process defin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identify the individual as a subject of meaning-making in the knowing process. In other words, they regard the individual as an active agent interpreting the reality, rather than as a passive being responding to it. Second,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consider society as an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ovides the individual subject with a concrete context and the influences the process of knowing. In these theories, society means a collection of groups or classes with different concerns and interests. On the one hand, it provides context in which the knowledge can be created and changes. On the one hand, it provides context in which the knowledge can be created and changes. On the other hand, it is considered as an object to be overcome, since it arrests the subject meaning-creating process of the individual.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view of knowledge of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ha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It highlights rightly, the role of the individual as a subject of meaning-making and the society as a concrete reality influencing the subjective meaning-making of the individual.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ociety in the knowing process as a concrete reality may overcome the closed and static view of knowledge that can be found in the philosophical arguments on the importance of social aspects of knowledge. It also provides a new explanation for the diversity and changeability of knowledge. However, the view of knowledge of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raises a serious problem. As it emphasized the subjective and active role of the individual excessively, it overlooks the importance of public criteria, the only basis that can verify validity in the knowing process of the individual. Without considering public criteria, truth judgement of knowledge will be just understood as a subjective and arbitrary process. As a result, the view of knowledge will be faced with the difficulty of relativism. In this study, the difficulty in the view of knowledge of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is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general difficulty of the relativistic of knowledge.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reason that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can not present any clear claims for curriculum content results from this subjective and relativistic view of knowledge. Finally, 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difficulty of the view of knowledge of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this study reviews a perspective that interprets the nature of society in terms of a‘communit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ociety as a community not only recognizes the subjective role of the individual. This perspective highlights some points on the basis of analysis on the nature of practice and tradition. On the one hand, it highlights that the tradition consisted of practices provides the public criteria in the knowing process of the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it emphasizes that the tradition as public criteria, can include diversity and changeability. Accordingly, the perspective considering the nature of society as a community can be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accepts the positive aspect of the view of knowledge of contemporary curriculum theories and can overcome the problem and difficulty of it. This alternative perspective can also provide some lessons for overcomi ng the difficulty of curriculum philosophy, that is, the difficulty to explain the role of society only in log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