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미옥-
dc.creator심미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84-
dc.description.abstractUntil quite recently, the concern with gender has been peripheral in the field of education. Even in the field of sociology of education which have mainly dealt with the inequality problem, the inequality between sexes has not been regarded as a main issu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some researchers have begun to be concerned with it. However, most studies adopted a structural approach which tried to explain why women were disadvantageous in the traditional sex roles, or a psychological approach which concentrated on the problem how home, school, or society forced the sex role stereotypes to women. Generally these studies tended to emphasize more the role of the socio-cultural effects than the autonomy of the subjects. Because of the deterministic view of these approaches, there were few studies which dealt with the process that how women actively accept or reject the sex role norms. But if we want to know how the sex role system could be perpetuated or change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women’s sex role perceptions. In this study, sex role perceptions meant how women agree or disagree to the traditional norm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high school girls obtained sex role perceptions, three major questions were raised: (1) How did background variables ? the socio-economic status, locality, mother’s levels of education, mother’s occupatio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school type etc. ? affect girls’ sex role perceptions? (2) Why did girls agree or disagree to the sex role norms? (3) Which experiences affected girls’ sex role perceptions?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for this study. Samples for analysis were gathered from 7 high schools(3 in a large city, 2 in a small city, 2 in the two rural areas). Subjects for the questionnaire were 449 sophomores.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 of 80 items and contained 6 domains: 1) the sexual division of labour, 2) the gender relation, 3) the equality of opportunity, 4) the moral norms for the sexual relation, 5) the significance of the outward appliance, 6) the beliefs in the difference of abilities between both sexes. Data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ized by using AVOVA, correlation, and Scheffe’s test in order to examin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Subjects for the interview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findings. According to the former studies, women who came from the middle class, who resided in the city, whose mo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 and whose mother’s occupation was professional or managerial tended to disagree to the traditional sex role norms. In order to know why girls agree or disagree to the sex role norms, 21 interviewee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had been expected to show either the general sex role perceptions or the exceptional ones in the aspects of their background variables. 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group for interview were as follows: 1) Girls who had non-traditional sex role perceptions came from upper middle class and resided in the large city. The educational level of their mother was above college graduation and their occupation was professional or managerial. 2) Girls who had traditional sex role perceptions came from lower class and resided in the rural area. The educational level of their mother was below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and they did not have an occupation. 3) Girls who had traditional sex role perceptions came from upper middle class and resided in the large city. The educational level of their mother was above college graduation and their occupation was professional or managerial. 4) Girls who had non-traditional sex role perceptions came from lower class and resided in the rural area. The educational level of their mother was below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and they did not have an occupation. Interview data were recoded, transcribed and analyzed in the light that whether girls agreed to the sex role norms or not. Also the reasons why they agreed or disagreed to the sex role norms and experiences which affected sex role perceptions were studied.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1) Most girls tended to disagree to the traditional sex role norms. For them the ability was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sex in the role taking. But they accepted the sex roles which seemed inevitable in their everyday experiences. (2) The acceptance or the rejection of the sex role norms resulted from the girls’ realistic interest that whether they get the much benefit from sex roles or not. When the rejection of sex roles gave them some benefits such as the economic income and the high social status, they did not agree with the sex role norms. But when the traditional sex role could make them avoid the tensions and conflicts in the home, the school and the job, they agreed to the sex role norms. (3) The socio-economic status,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mother’s occupation did not affect the girls’ sex role perceptions. But the differences of loc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Girls in the large city disagreed to sex role norms more than in the small city or rural areas. (4) Schooling had important effects on girls’ sex role perceptions. School culture in Korea tended to be so competitive that they convinced the abilit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ex. In fact, educational achievement was evaluated very high I the schools and homes. The educational achievement influenced to the sex role perceptions. The mor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ccomplished, the more the girls disagreed to the traditional sex role norms. School type also affected the girls’ sex role perceptions. Girls from the coeducational schools disagreed to the sex role norms more than the girls from the single sex schools. It was appeared that the experiences in coeducational schools could give girls much the confidence in women’s abilities. ; 교육학에서 성별 불평등은 주변적인 문제로 취급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은 불평등을 핵심적 주제로 다루는 교육사회학 영역에서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성별 불평등의 문제를 경시하는 것은 교육사회학이 발전시켜 나가야 할 교육 이론의 설명력의 폭을 제한하게 하며, 남녀평등을 위한 실천력있는 교육을 지향해 나가기 어렵게 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성별 불평등의 문제는 교육사회학 영역에서 더 이상 방치되어서는 안되며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주제로 부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성역할 인식 형태와 성역할 인식의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역할 인식은 문화 속에서 구분되는 남녀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규범을 개인이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표는 여고생들이 전통적 성역할 규범을 어느 정도 수용하고 있으며, 어떤 이유로 수용하게 되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 주요 문제는 세 가지이다. 첫째, 여고생들의 성역할 인식이 그들의 사회적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배경변인으로 미루어 볼 때 선행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대에 일치하는 성역할을 지닌 학생들과 예외적인 모습으로 성역할을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이 자신에게 부과되는 성역할을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 또는 거부하는가? 셋째, 가정과 학교의 배경변인들은 성역할 인식의 형성에 어떤 과정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대도시(서울) 3개교, 중소도시(강원도)2개교, 농촌(강원도) 2개교 등 모두 7개교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449명이었다. 이들에게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와 그 후의 면접을 통해 얻은 자료를 필요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여자고등학생들은 전통적 성역할 규범에 대한 불만과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성역할이 전통적으로 규정됨으로써 야기되는 성별 불평등에 반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물학적인 차이와 자신의 경험을 통하여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것으로 생각되는 성역할은 현실적 맥락을 근거로 인식하여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선행연구에 의하면 계층, 지역, 어머니의 교육 수준, 어머니의 직업 유무와 직업의 종류, 학업성취, 학교의 공학여부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 여고생들의 성역할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계층, 어머니의 교육 수준, 어머니의 직업 유무와 직업의 종류에 따른 여고생의 성역할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 학업성취, 공학여부 등에 따른 여고생의 성역할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도시 지역의 여고생들은 중소도시나 농촌지역의 여고생들에 비해 전통적 성역할 규범에 반대하는 경향이 더 높다. 또한 학업성취가 우수한 학생일수록 전통적 성역할 규범에 반대하는 경향이 높다. 그리고 남녀공학의 학생들이 여학교의 학생보다 전통적 성역할 규범에 더 반대한다. 셋째, 성역할 인식은 매일의 일상적 생활 속에서 확인되는 구체적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 성역할의 수용, 부분적 수용, 거부는 학생 자신이 처한 구체적 현실상황 속에서 어떤 행동이 가능한가에 대한 판단과 어떤 행동이 실제적 보상을 주며 갈등이나 긴장을 피할 수 있는가 등의 현실적 계산을 한 결과, 그 중 가장 실리적인 것을 선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넷째, 학생들은 가정, 학교, 사회 등 여러 영역에서 현실을 구체적이며 생생하게 경험한다. 이들 영역들은 유기적이고 밀접하게 상호 관련을 맺고 있으며, 학교는 여고생의 성역할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고생들은, 모든 학생이 그러하듯, 학교를 성취에 의해 평가 받는 곳으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성취에 의한 보상을 가능하고도 당연한 것으로 믿고 있다. 능력이 우수한 여고생들은 학교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을 확신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적 성역할 인식을 갖게 된다. 결론적으로 여고생의 성역할 인식은 개별 학생들의 현실 생활 장면에서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확인되는 신념이라 할 수 있다. 어떤 기회가 열려져 있는가, 무엇이 가능한가, 어느 것이 이익이 되며 갈등이나 긴장을 피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일상적 체험과 평가를 통해 여고생들은 사회구조를 파악하게 되며 자신이 인지한 사회구조를 준거로 삼아 전통적 성역할 규범을 수용, 혹은 거부하게 된다. 여고생들에게 가정, 학교, 사회는 일상적 현실이며, 이 현실에 대한 그들의 이해수준과 상황 평가가 자신들의 성역할을 수용, 혹은 거부하는 준거로서 작용하고 있다. 여고생들은 사회구조를 추상적 개념이 아닌 일상적 체험을 통해 파악하며, 파악된 현실은 그들의 추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과 의의 ----------------------------------------------- 3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문제 ------------------------------------------------------ 14 II. 이론적 배경 ------------------------------------------------------ 16 A. 성역할과 관련된 배경변인 ----------------------------------------- 16 B. 여성에 대한 역할 기대와 성역할 ----------------------------------- 22 C. 성역할과 학교교육 ------------------------------------------------ 24 III. 연구 가정 ------------------------------------------------------ 38 A. 성역할 인식의 배경변인별 차이 ------------------------------------ 38 B. 성역할 인식의 이유 ----------------------------------------------- 40 IV. 연구 방법 및 절차 ------------------------------------------------ 42 A. 연구 방법 -------------------------------------------------------- 42 B. 연구 대상 -------------------------------------------------------- 46 C. 조사 도구 -------------------------------------------------------- 49 D. 분석 방법 -------------------------------------------------------- 54 E. 연구 일정 -------------------------------------------------------- 55 F. 연구의 제한점 ---------------------------------------------------- 56 V. 결과의 분석 ------------------------------------------------------- 58 A. 성역할 인식의 배경변인별 차이 ------------------------------------ 58 B. 성역할 인식의 이유 ----------------------------------------------- 64 C. 성역할 인식과 변화 : 논의 ----------------------------------------100 VI. 결론 및 제언 -----------------------------------------------------106 참고문헌 -------------------------------------------------------------111 부 록 1 -------------------------------------------------------------121 부 록 2 -------------------------------------------------------------124 영문초록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223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자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의 배경과 수용, 거부 과정-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