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Title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Authors
채종옥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가 유아들에게 동화책을 읽어준 후 경험적 접근법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와 분석적 접근법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 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이 접근법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또 두 가지 접근법의 효과가 추후에도 지속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경험적 접근집단의 유아들과 분석적 접근집단의 유아들은 동화에 대한 반응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1-1. 동화에 대한 반응 유형에서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가? 1-2. 동화에 대한 반응 유형 변화양상에서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가? 2. 경험적 접근집단 유아들이 구성한 이야기와 분석적 접근 집단 유아들이 구성한 이야기는 차이가 있는가? 2-1. 구성한 이야기의 길이에서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2-2. 구성한 이야기의 질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가? 2-3. 구성한 이야기의 유형에서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3. 경험적 접근법과 분석적 접근법의 효과가 사후검사 1의 종료 5개월 후에도 동화에 관한 유아들의 반응에서 지속되는가? 3-1. 동화에 관한 질문과 코멘트의 빈도에서 그 효과가 지속되는가? 3-2. 동화에 관한 질문과 코멘트의 유형에서 그 효과가 지속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K,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각각 20명씩 총 40명이었다. 연구절차는 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및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를 분석하기 위한 2회의 사전검사, 1주에 2회씩 5주간에 걸쳐 실시된 총 10회의 처치, 2회의 사후검사1로 이루어 졌다. 그리고 사후검사 1이 실시된 시점으로부터 5개월 후에 두 가지 접근법의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 2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사 2에서는 도화에 관한 유아들의 질문과 코멘트의 빈도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첫째, 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동화를 듣고 난 다음 개별적으로 면담을 통해서 동화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 동화에 대해서 하고 싶은 말을 해 보도록 하여 수집하였다. 둘째,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는 유아가 동화를 듣고 난 다음 그 주인공이 나오는 이야기를 새로 만들어 보도록 하여 수집하였다. 셋째, 사후검사가 실시된 시점으로부터 5개월 후, 대상 유아들을 각각 5명씩 4집단으로 나누어 동화에 관한 유아들의 질문과 코멘트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험적 접근집단의 유아들은 분석적 접근집단의 유아들보다 동화에 대한 심미적 반응 빈도가 높았다. 2. 경험적 접근집단의 유아들이 구성한 이야기는 분석적 접근집단의 유아들이 구성한 이야기 보다 길이가 길었고, 질적으로 우수하였으며, 해석적 유형의 빈도가 더 높았다. 3. 사후검사1의 종료 5개월 후에 실시한 사후검사 2에서, 경험적 접근집단의 유아들은 분석적 접근집단의 유아들 보다 동화에 관한 질문과 코멘트의 빈도 및 이야기의 의미에 초점을 두는 질문과 코멘트의 빈도가 높았다. 이는 동화의 의미에 관심을 두도록 격려하는 경험적 접근법의 효과가 추후에도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경험적 접근법이 분석적 접근법보다 유아들의 심미적인 동화감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나타낸다.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contrasting approaches of storybook reading, experience approach and analysis approach, on children’s responses to the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lasting effects of two approaches. To guide the investig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oposed: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responses to the literature between experience approach group and analysis approach group?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sponse-type and contents of responses between two group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8n pattern of change in response-types between two group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making stories between experience approach group and analysis approach group?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ngth of the story between two group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quality of the story between two groups? 2-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ype of the story between two groups? 3. Is there any lasting effect of two approaches in children’s responses? 3-1. Is there any difference in frequency of questions and comments between two groups, 5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post-test 1? 3-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attern of questions and comments between two groups, 5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post-test 1? The subject in the study were forth, five-year-old children(twenty children from each kindergarten) from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proceeded through four phases: pre-test which was to identify the children’s response to the literature, 10 sessions of experimental treatment which took 5 weeks (each approach for the children from each kindergarten), post-test 1, and post-test 2 which was administered 5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post-test 1. After storybook reading, the researcher interviewed each child to collect his or her responses to the story. Each child was asked to talk about his or her feeling, thinking, of anything about the story. Each child also was asked to construct a new story which included the characters of the story heard. Five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post-test 1, children’s questions and comments related the story heard were collected by post-test 2.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s responses of experience approach group were more aesthetic than those of analysis approach group. 2. The stories of children in experience approach group were longer in length and had more frequency in interpretive pattern and superior quality than those of children in analysis approach group. 3. Five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post-test 1, the children’s questions and comments on the stories in experience approach group were more frequent and more focused on the moaning than those in analysis approach group. This means that there are lasting effects of the experience approach in which children are encouraged to focus on the meaning of stories hear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 approach is more effective on the children’s aesthetic appreciation of literature than the analysis approa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