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6 Download: 0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Title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Authors
이원영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유아들은 부모와 관계를 맺어가는 동안 한 인격체로 성장해간다. 부모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으며 유아들은 성장해가지만 유아의 성장은 부모에게도 영향을 준다. 즉,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아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자녀관계의 현상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중에 유아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 변인과 유아발달과의 관계 즉,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유아발달,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의 복합적인 작용과 유아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해 있는 유치원 및 새마을 유아원의 유아 및 그들의 어머니였다. 유아 763명과 어머니 763명, 총 1,523명이 무선표집에 의해 선정되었다.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은 본 연구자가 제작한 「자녀교육관측정척도」로, 양육태도는 SCHAEFER의 「어머니 양육태도 측정척도(MBRI)」로, 유아발달은 Alpern과 Boll이 제작한 유아발달측정척도(Developmental Profile)로 각각 측정하였다.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측정척도는 5단계 평정척으로 되어 있으며 어머니 자신이 기록하게 되어있다. 유아의 발달은 유치원 교사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4학년 학생들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자료는 SPSS통계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처리 되었으며 일원변량분석, 공변량분석, 집단변인상관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은 유아중심적이기보다는 성인중심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흥미·필요를 고려하기보다는 교과목위주의 교육을, 놀이보다는 문자지도와 특기지도를, 과정중심보다는 결과중심을, 유아의 자발성보다는 주입식에 의한 교육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경향이었다.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이 전반적으로 성인중심적 경향이기는 하지만 교육정도가 높은 어머니들이 상대적으로 유아중심적인 경향이었고 유치원의 어머니들이 새마을 유아원의 어머니들보다 유아중심적이었다. Schaefer의 이론에 의하면 애정적-자율적 태도를 가진 어머니들의 자녀가 창의적, 자발적, 협동적 태도를 갖는다고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어머니들은 보편적으로 애정적-통제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정적이지만 긍정적 평가는 하지 않으며 엄포를 많이 사용하고 의존성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대상이었던 어머니들의 양육태도는 전체적으로 애정적-통제적 태도였으나 상대적으로 비교해 볼 때 교육정도가 높은 어머니들일수록 통제를 덜하고 자율성을 부여하는 경향이었다. 새마을 유아원 어머니들이 유치원의 어머니들보다 통제성은 더 심한 경향이엇다.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에는 일치성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성인중심적인 교육관을 가진 어머니들이 통제적이었으며 의존성을 조장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성인중심적인 자녀교육관과 애정적-통제적인 양육태도를 가진 어머니들일지라도 자율성을 주고 긍정적 평가를 하는 정도에 따라 유아의 발달은 차이가 있었다. 애정적-통제적이라도 자율성을 더 주고 긍정적 평가를 해주는 어머니의 자녀들이 의사소통능력 및 지적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연구대상 어머니들의 양육태도는 전반적으로 통제적이었기 때문에 자조성이나 사회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 유아원 어머니들의 양육태도가 보다 더 통제적이었고 유아들의 지적발달 및 의사소통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유아들을 교육시키고자 설립된 새마을 유아원 유아들의 발달수준이 낮고 또 어머니들의 양육태도로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인 것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1. 부모교육은 새마을 유아원과 유치원에 따라 다르게 시행되어야 한다. 2. 부모교육은 저소득층 뿐 아니라 중류계층을 대상으로도 행해져야 한다. 3. 중류계층 어머니들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은 부모의 자질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저소득층 어머니들을 위한 부모교육은 가정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저소득층 유아를 위한 교육내용에는 지적발달 및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고, 중류계층의 유아를 위한 교육내용에는 사회성 및 자조성을 기를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A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develops,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educational views influence the growth of the child and the child, in reacting to his parents’ attitudes, has, in turn, an effect upon his parent’s reac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trend of childbearing attitudes and educational views among mothers; to investigate how these variables affec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 and finally, base on these findings,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ing much needed parental effectiveness training programs. In this study, due to the fact that of the two parents the mothers spend more time with their children than do the fathers, mothers only were surveyed. For this survey, 763 Seoul area kindergarten and Saemaul nursery school children and their 763 mothers were sampled randomly, making a total of 1,523 subjects. The mother’s educational views were evaluated by an instrumen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herself. Also used was the Developmental Profile developed by Alpern and Boll and also the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chaefer.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were coded and analyzed by SPSS computer programs. One-way ANOVA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and canonical correlation are appl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Maternal educational views showed a tendency to be adult-oriented rather than child-centered. Their view showed that they had a tendency to consider assigned school curriculum to be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interests and needs of the child; dancing, music, and painting lessons to be more important than play; the end result more important than the process; learning by lecture more important than learning by doing. Although maternal educational views as a whole showed a tendency to be adult-oriented, the mothers with more formal education were more child-centered than were the mothers with less formal education. Also, the mothers of kindergartners showed the same tendencies as did the mothers of Saemaul nursery schoolers. Schaefer suggests that the affective-autonomous attitude is most desirable. A child who has this type of mother displays a creative, spontaneous, and cooperative attitude. However, this study indicates that mothers in general have affective-restrictive attitudes. The surveyed mothers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affective, yet do not give a positive evaluation of children’s behavior and use fear control extensively and thus make their children dependent. Here again, the mothers as a whole showed a tendency to use affection-control, but the mothers with more education used less control and gave their children more freedom than did the mothers with less education. The mothers of Saemaul nursery schoolers used more control than did those mothers of kindergartners. Kindergartners and Saemaul nursery schoolers were examined in five areas of development: intelligence, communication, physical, social, and self-help. Both groups showed equal development in the latter three areas but the kindergartners level of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exceeded that of the Saemaul nursery schoolers. This indicates an obvious educational unbalance. Even though the mothers were adult-oriented and had affection-control attitudes,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child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tent of autonomy and positive evaluation the mothers gave. It was discovered that if a mother who has an affective attitude and give more autonomy and positive evaluation to her child, then the child shows a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and intelligence. However, since mothers in general, especially those mothers of Saeaul nursery schoolers, have control-oriented attitudes, the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levels of their children are low.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recommended to correct the undesirable characteristics of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also to improve the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in general and especially those in Saemaul nursery schools. 1. Parental involv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eparately for both kindergarten and Saemaul nursery schools. 2. Parental involv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for the poor but also for the middle class. 3. New programs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lower class family, such as the home-based program, must be instituted. 4. The program for the poor should include a method of enhancing both cognitive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while the program for the middle class should include methods to further sociability and self-help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