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실-
dc.creator김영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7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9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6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on children’s reading ability. To this end, four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1. Does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 the child-initiated utterance, typically repetition utterance when children listen a text of story book? 2. Does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 the child-initiated utterance, typically question utterance when children ask for a question for a story book? 3. Does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 the child-initiated predicting utterance when children tryout a text? 4. Does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 the pretend reading using contextual cue? The 19 children of four years old at a S.E. kindergarten in Seoul City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These children received eleven times of context-supportive reading activit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in the order of pre-test for pretend reading, pre-storybook reading activity, context-supportive reading activities as treatment, and post-test for pretend reading. Utterance during the activities was tape-recorded, and classified by two raters. They used the categories for classifying the child’s utterances based on previous studies. “Easy To Read Book”, a story book specially made for the study, was used for testing the effect on pretend read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planned & trend analysis using repeated design and matched pair t-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d, child-initiated utterance, typically repetition utterance for listening a text of a story book. 2.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d child-initiated utterance, typically question utterance for asking a question for a story book. There was a simplest linear trend of increasing utterance. 3.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d child-initiated predicting utterance during tryout. 4. The context-supportive reading instructional strategy increased children’s pretend reading trial using contextual cues.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후 상황적 읽기 교수 전략을 사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황적 읽기 교수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텍스트를 듣는 과정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발화수, 특히 자발적인 반복의 발화수가 증가할 것인가? 둘째, 상황적 읽기 교수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질문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발화수, 특히 자발적인 질문의 발화수가 증가할 것인가? 셋째, 상황적 읽기 교수전략을 사용함으로써, 돌아가며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예측의 발화수가 증가할 것인가? 넷째, 상황적 읽기 교수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유아의 전후 상황을 단서로 이용한 그림책 읽기시도가 증가할 것인가?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S유치원의 원아 19명이었다. 연구 기간은 6주로서, 11회에 걸쳐 상황적 읽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절차는 유사 읽기 시도에 대한 영향을 보기 위한 사전검사, 사전활동, 실험처치로서의 상황적 읽기 활동 그리고 유사읽기 시도에 대한 영향을 보기 위한 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활동중 유아의 발화는 녹음, 기록되어 2명의 분석자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 도구로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작성한 유아의 발화 유형 분류 기준을 사용하였다. 유사읽기에의 영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만든 그림책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수집된 자료는 반복 설계에 의한 사전 경향성 분석과 두종속 표본t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적 읽기 교수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텍스트를 듣는 과정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발화수, 특히 자발적인 반복의 발화수가 증가하였다. 둘째, 상황적 읽기 교수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질문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발화수, 특히 자발적인 질문의 발화수가 증가하였다. 셋째, 상황적 읽기 교수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돌아가며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예측의 발화수가 증가하였다. 넷째, 상황적 읽기 교수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유아의 전후 상황을 단서로 이용한 그림책 읽기 시도가 증가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7 II. 이론적 배경 ------------------------------------------------------ 9 A. 적극적, 구성적 과정으로서의 문자언어인식의 발달 ------------------ 9 B. 전후 상황적인 읽기 교수 전략 ------------------------------------- 23 1. 읽기 발달 과정 -------------------------------------------------- 23 2. 전후 상황적인 읽기 교수 전략 ------------------------------------ 29 III. 연구의 방법 ----------------------------------------------------- 43 A. 연구대상 --------------------------------------------------------- 43 B. 측정도구 --------------------------------------------------------- 45 C. 실험절차 --------------------------------------------------------- 52 D. 연구가설 --------------------------------------------------------- 59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61 A. 상황적 읽기 교수전략이 그림책읽기 활동에서의 유아의 자발적인 발화에 미치는 영향 ----------------------------------------------- 61 B. 상황적 읽기 교수전략이 유아의 유사읽기 시도에 미치는 영향 -------- 88 V. 논의 및 결론 ------------------------------------------------------ 92 A. 논의 ------------------------------------------------------------- 92 B. 결론및 제언 ------------------------------------------------------ 98 참고문헌 -------------------------------------------------------------102 영문초록 -------------------------------------------------------------109 부 록 -------------------------------------------------------------111 A-1. 사전검사용 그림책및 사후 검사용 그림책 A-2. 상황적 그림책 B. 유아의 발화 유형의 예 C. 문해 환경 평가 척도-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943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상황적 읽기교수전략이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발적 발화를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