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임신부의 영양실태와 영아의 성장발달에 관한 연구

Title
임신부의 영양실태와 영아의 성장발달에 관한 연구
Authors
송요숙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에 거주하면서 임신기간동안 임신부의 체중증가가 출산때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되기 시작하는 임신중기 이후 (농촌지역은 평균 임신 28주째, 도시지역은 평균 임신 33주째)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여 임신부의 임신전 및 임신중의 신체적상태와 임신중의 생리적 상태 및 영양섭취실태를 알아보고, 이러한 여러 요인들에 따라 이들 임신부가 출산한 신생아의 출생시 체위가 두 지역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저 하였으며, 영아의 생후 1년동안의 성장발달, 수유 및 이유실태, 이환상태를 조사한 후 수유 및 이유실태, 이환상태등이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저 시도 되었다. 1. 임신부의 임신중 신체적, 생리적 상태 및 영양섭취 상태 농촌 및 도시 두 지역 임신부의 임신전 평균 체중 및 신장은 한국인 성인여자의 표준체위에 속하였으며, 신장은 도시지역 임신부가 농촌지역 임신부보다 유의적으로 컸다. 농촌지역 임신부의 임신 28주 및 도시지역 임신부의 임신 33주까지의 평균 체중증가량도 5.9 ± 3.5kg, 8.5 ± 4.7kg으로 임신부의 정상적인 체중 증가량으로 나타났다. 임신부의 임신중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혈색소 수준, 혈청 총 단백질 및 albumin함량이 두 지역 모두 임신부의 정상수준으로 나타나 임신부의 생리적 상태로 양호한 경향이었다. 한편 두 지역 임신부의 임신중 열량 섭취량은 평균 1928Kcal 및 2027Kcal, 평균 단백질 섭취량은 68.6g 및 75.7g으로 두 지역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지역 모두 열량 및 단백질 섭취량이 임신부의 권장량에는 미달되었으나 성인여자의 권장수준 및 우리나라 성인여자가 섭취하는 수준과 유사하여 우리나라 농촌 및 도시지역 임신부는 임신중에도 임신전과 비슷한 정도의 열량 및 단백질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신생아의 체위 신생아의 출생시 체위는 농촌지역 신생아의 두위는 한국 소아 표준 체위보다 작은 경향이었으나, 도시지역 신생아의 두위 및 두 지역 남녀 신생아의 신장 및 체중이 소아 표준 체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3. 영아의 수유 및 이유실태와 이환상태 생후 1년동안의 영아의 수유방법이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보다 모유영양이 많고 인공영양이 적었으며, 규칙적 수유보다는 불규칙적 수유가 많았다. 이유보충식을 농촌지역세어는 생후 12개월 이내에 모든 영아가, 도시지역에서는 생후 6개월 이내에 모든 영아가 섭취하기 시작하여 도시지역 영아가 농촌지역 영아보다 생후 일찍 이유보충식을 섭취하였다. 출생후 1년동안의 영아의 이환상태는 농촌 및 도시지역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두 지역 모든 초율률 섭취한 영아에서 섭취하지 않은 영아보다, 모유영양아에서 인공영양아보다 생후 3개월간 감염성 질병인 감기로 인한 병원 치료일 수가 낮은 경향이었다. 4. 영아의 신체성장 및 신체기능발달 출생후 1년동안의 영아의 신체성장은 농촌지역 영아의 신장이 한국 소아 표준치에 미달되게 성장한 것을 제외하고, 도시지역 영아의 신장 및 두 지역 남아 및 여아의 체중, 두위가 한국 소아 표준치와 유사한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수유방법 및 이유보충식 섭취시작시기에 따라 신장, 체중, 두위의 신체증가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생후 1년동안의 영양상태는 두 지역 모두 수유방법에 관계없이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지역 영아가 농촌지역 영아보다 생후 12개월때의 사회성숙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머리가누기, 뒤집고 앉기, 손과 팔사용하기, 서고 걷기, 소리내기 및 말하기 등의 신체기능을 생후 일찍 성취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개가누기, 혼자 앉기, 이름 알아듣기와 같은 신체기능 및 유치 출현은 두지역 모두 생후 3개월까지 모유영양아의 경우 인공영양아보다, 이유보충식 섭취시작시기는 빠를수록 일찍 성취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우리나라 농촌지역 및 도시지역 임신부의 임신중 건강 및 영양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그들의 신생아 역시 신장, 체중, 두위가 한국 표준 체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출생후 1년 동안 영아의 신장, 체중, 두위가 수유방법 및 이유보충식 섭취시작 시기에 관계없이 표준치와 유사하게 성장하여 생후 1년동안 영아의 영양상태도 양호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영아가 초유를 섭취하고 3개월가지 모유를 섭취하는 것은 감기와 같은 감염성 질병의 이환율을 낮추기 위해 필요하며, 영아가 다양한 환경을 접하면서 적어도 생후 3개월까지 모유를 섭취하고 생후 빠른 시기에 적절한 보충식을 섭취하는 것은 생후 1년동안의 영아의 신체성장보다 신체기능발달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pregnant women after the 2nd trimester in rural and urban area, and their infants’ feeding and weaning practices, disease states, growth and development until the 1st year of life. And it was observed infants grew and developed according to feeding and weaning practices, and disease sta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an height and body weight of pregnant women before pregnancy were about the same Korean standards in both rural and urban areas, and mean body weight gains until the 28th(rural) and 33th(urban) week of gestation were innormal ranges. Mean values for blood pressure, hemoglobin level,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contents of these women belonged to normal pregnant levels in both areas. Mean daily energy and protein intak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area pergnants, and did not differ from prepregnancy. These energy and protein intakes were below recommended levels for Korean pregnant women but similar to the RDAs of adult women. Mean height, body weight ad head circumference of their newborn infantswere in the ranges of Korean standard in both areas. Infants fed breast milk for 12 mon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than urban area. Weaning supplementary foods were introduced significantly earlier in urban than rural infants, that is to say, they introduced weaning supplementary foods within 6 age of months in urban and 12 months in rural are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ants’ disease states of both areas, but numbers of medical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ld tended to decrease in infants who intake colostrum and breast milk compared with formula feeding for 3 months. When these infants’ physical growth (height, body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for 12 months were measured, they showed similar growth curve to Korean standards in both areas, but height of rural infants was shorter than standard.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infants’ physical increments due to feeding methods and introduction of weaning supplementary foods in both areas. Motor functions of head part, trunk part and language were developed earlier in urban than rural infants, and these functions tended to achieve early in the life in infants of breast than those of formula feeding. The faster weaning foods introduced, the sooner these motor functions achieved. Milk teeth such as incisors tended to erupt earlier in breast than formula feeding infant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pregnant women tended to be good, and growth of their newborn infants were normal resultantly. It could be thought that colostrum and breast milk were needed to reduce infection of early in the life, and infants’ motor functions were affected by environmental stimulation, breast feeding and introduction of weaning supplementary foods. The affection was more marked in motor functional development comparable with physical growth of infants for 1 year of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