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놀이상황을 이용한 교사의 언어적 단서 사용이 발달지체아동의 단어확장과 단어조합에 미치는 효과

Title
놀이상황을 이용한 교사의 언어적 단서 사용이 발달지체아동의 단어확장과 단어조합에 미치는 효과
Authors
고미애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을 이용하여 교사가 언어적 단서를 제공한 것이 발달지체아동의 단어 확장과 단어조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놀이상황은 아동과 교사가 상황지식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장난감을 중심으로 한 주제놀이에 적합하게 일상화된 상황적 상황을 재현하도록 대상과 사물을 조합하고 조직화하는 것이다(Nelson, 1986, 김영태, 1991, 재인용). 본 연구에서는 놀이상황으로 식사놀이, 목욕놀이, 침대놀이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교사가 제공하는 언어적 단서의 모델은 Owens(1995)의 연구에서 제시된 수정된 환경언어접근과 대화적인 의사소통기술을 바탕으로 1) 질문하기, 2) 지시하기, 3) 주의끌기, 4) 제안하기, 5) 설명하기, 6) 언어교수, 7) 칭찬하기, 8) 소리내기, 9) 해석하기의 유형으로 제공되었다(O Brien, 1995). 이에 다른 아동의 언어는 1) 설명하기, 2) 명명하기, 3) 동의하기, 4) 요구하기, 5) 제안하기, 6) 기타의 준거에서 수집하여 총 단어 사용빈도와 새로운 단어사용빈도, 단어조합의 사용빈도, 단어조합 유형에 따른 사용빈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놀이상황을 이용한 교사의 언어적 단서사용은 총 단어 사용빈도를 증가시키고, 단어조합의 사용빈도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새로운 단어의 사용빈도는 대상아동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새로운 단어사용을 위해서는 새로운 범주의 단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지적인 요인이 언어발달과 연관되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단어조합 유형에 따른 빈도는 목적-행위, 행위자- 행위에 집중되었고, 다른 유형에서는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지체아동들이 가진 조기 언어발달과정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놀이 상황을 이용한 중재는 놀이지속시간을 확장시켜주어서는 아동의 단어 사용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고, 교사의 언어적 단서는 새로운 단어를 사용하게 하여 아동이 가진 단어를 확장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언어적 단서는 아동의 단어 사용빈도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재가 제공되는 가운데 아동의 반응을 수집하였으므로 기초건에 비해 반응빈도가 증가하는 당연한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중재에 의한 변인간의 기능적 관계를 입증하기 위한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 Play intervention and language are express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ased upon a common symbol . Accordingly, the level of children s language can be foreseen in the development of play intervention is intimately linked with the order of language development over a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the period during the emergence of decentered play and combinational play is also closely linked to the emergence of word spurt and combination words. Play re-enacts the oder of activities and the repetition of ordinary events. Children become involved as the subjects of play, and actors with many others during the time that they begin to role-play. This results in the following phenomenon during the period ; i e. the emergence of combination words is expressed in a related sequence to the repetition of activity. Therefore,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play soon take the form of combination words. Combination words must be preceded by word spurt. When comparing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in regard to the level of play, the amount of communication and word expression is more limited with handicapped children. Play invention is, therefore an appropriate method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 of the handicapped children. It is understood that the intervener stimulate children by using objects and linguistic cues and word spurt brings about combination words. Therefore, the encouragement of linguistic expressions makes the combination words possible.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linguistic cues and modelling by the teacher. When play intervention is presented to children, the expressed words in their play activities becomes extended and the extent of the use and emergence of the combination words increa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 Those word spurt produced by the handicapped children naturally followed combination words. Word spurt and combination words not achieved during play intervention when the children did not respond to linguistic cues and modeling. The of word spurt of the children predicted combination wor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y takes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the qualitative of the handicapped children s language in the early period of the development. However, play intervention must be constructed of various content and environment in order for it to become a more effective and appropriate method for the language development of handicapp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