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선영-
dc.creator이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81-
dc.description.abstract일반적으로 학습장애 아동들에게 예상되어지는 문제는 학업상의 문제이다. 그리고 학습장애 아동들이 계속되는 실패감으로 말미암아 낮은 자기존중감을 갖게 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학습장애 아동들의 학업 실패와 낮은 자기존중감의 분명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학업 실패와 낮은 자기존중감은 대인관계를 포함한 사회생활과 개인의 자아실현 성취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아동들의 학업 성취도와 자기존중감을 높이는 방법으로 주목되어온 컴퓨터 보조 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에 협력 학습 모델을 적용시켜 실시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연구들은 컴퓨터 보조 학습이나 협력 학습 모델을 별도로 제공하고 학업 성취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학습 모델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의 학업 성취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인천의 H 초등학교의 4, 5학년 학습장애 아동 30명을 선정하였다. 아동들은 전통적인 형태로 보충 수업을 하는 집단, 컴퓨터 보조 개별 학습 형태로 보충 수업을 하는 집단, 컴퓨터 보조 협력 학습 형태로 보충 수업을 하는 집단에 10명씩 무선배치되어 국어과 수업을 받았으며, 각 집단은 1주일에 3차시(40분씩)씩 8주간 수업을 받았다. 자기존중감을 위한 측정 도구는 Coopersmith(1969)가 제작한 아동용 자기존중감 검사도구였으며, 학업성취를 위한 측정 도구는 연구자가 4, 5학년 2학기 교과서에서 채택한 본문을 중심으로 제작한 읽기 이해 문제지를 사용했다. 훈련도구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CD-ROM을 사용하였다.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의 향상 결과 처리는 사전검사점수를 공분산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통적인 형태의 수업을 받은 집단과 컴퓨터 보조 개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 컴퓨터 보조 협력 학습을 실시한 집단간에 학업성취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후분석을 한 결과, 전통적인 형태의 수업을 받은 집단과 컴퓨터 보조 개별 학습을 한 집단간에, 그리고 컴퓨터 보조 개별 학습을 한 집단과 컴퓨터 보조 협력 학습을 실시한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통적인 형태의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과 컴퓨터 보조 협력 학습을 실시한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전통적인 형태의 수업을 받은 집단과 컴퓨터 보조 개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컴퓨터 보조 협력 학습을 실시한 집단간에 자기존중감의 총점과 자기존중감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기존중감을 일반적 자기존중감, 사회적 자기존중감, 가정적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존중감이라는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컴퓨터 보조 학습과 협력학습을 함께 적용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행 연구와 달리 컴퓨터 보조 학습과 협력학습이라는 요소만으로는 학습장애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자기존중감의 향상에는 컴퓨터 보조 협력 학습이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소로 나누어 보았을 때도 통제집단과 컴퓨터 보조 학습 집단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with Cooperative Learning in learning disabled children o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30 learning disabled children were selected(17 from 5th grade and 13 from 4th grade). The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traditional instruction), experimental group 1(CAI), and experimental group 2(CAI with cooperative learning). The experimental group 2 included 10 nondisabled children. This experiment was continued 3 times a week for 8 weeks. Self-esteem was measured by the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test was set questions by researcher. As training tools, CD-ROM title composed of general education contents was used. Pretest and posttest of Self-Esteem Invent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test were exercised. The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by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using SPSS/PC+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and control group i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advance of experimental group 2 is the highest among three groups. And experimental group 1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Scheffe method for post-hoc comparis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1.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1, either experimental group 1 and 2.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and control group in the self-esteem. In the four subsections- general self-esteem, social-peer self-esteem, home-parents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among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and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is concluded that CAI with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reading comprehension as compared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However, when CAI or cooperative learning is given to learning disabled children independently, the effect was not found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in the self-esteem,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3 groups. Because present study practiced in short term, the effectiveness did not revealed. These results implies that progress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could be enhanced by providing with cooperative learning in addition to CAI.-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ⅷ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학업성취와 자기존중감 = 7 1. 자기존중감의 정의 = 7 2. 자기존중감과 학업 성취도간의 관계 = 9 3. 학습장애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학업 성취 = 11 B. 컴퓨터 보조학습 = 14 1. 컴퓨터 보조학습의 개념과 유형 = 14 2. 컴퓨터 보조학습의 교육적 특성 = 16 가. 특수교육에서의 컴퓨터 보조학습 적용 = 17 나. 컴퓨터 보조학습이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18 다. 컴퓨터 보조학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 19 C. 컴퓨터 보조학습에의 협력학습 적용 = 21 1. 협력학습의 정의와 유형 = 21 가. 협력학습의 정의 = 21 나. 협력학습의 유형 = 23 2. 협력학습의 교육적 효과 = 26 가. 협력학습이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27 나. 협력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29 3. 컴퓨터를 통한 협력학습 = 31 Ⅲ. 연구방법 = 33 A. 연구 대상 = 33 B. 연구도구 = 35 1. 자기존중감 검사 = 35 2. 학업 성취 검사 = 37 3. 훈련도구 = 38 C. 실험 절차 = 39 1. 대상선정 = 39 2. 사전검사 = 39 3. 실험처치 = 40 가. 실험 기간 및 차시 = 40 나. 실험 모델 = 41 다. 집단별 실험 처치 = 42 4. 사후 검사 = 45 D. 자료 처리 = 45 Ⅳ. 연구결과 = 46 Ⅴ. 논의 및 제언 = 55 A. 논의 = 55 B. 제한점 = 61 C. 제언 = 62 참고문헌 = 63 부 록 = 74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464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컴퓨터 보조 협력학습이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자기존중감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