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부경-
dc.creator조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2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inical supervision model for student teaching in kindergarten.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needs of professor, teacher, and student teacher for a clinical supervision model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ing? 2. What is the ideal clinical supervision model based on the need assessment? 3. Are any improvements needed of the result of the clinical supervision model? Three different methods and processes are adopted for this study and they are as follows: 1. For question 1(Need assessment on Clinical Supervision model), the subjects were 228 seniors, 32 kindergarten teachers, and 81 professo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by preliminary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ly, such as paired t-test, one way ANOVA, x²-test, mean, and percentile. 2. For question 2(Design a Clinical Supervision model), based on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and need assessment, a Clinical Supervision model was designed. 3. For question 3(The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designed model), the designed model was applied to two seniors in order to see if the clinical supervision model was needed any modification. After four weeks input, the model was modified based on the data of the audio tapes of conferences, questionnaires, and anecdotal not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assumptions and processes of the clinical supervision model, professors,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reeing the degree of need for improving present situation. All of these groups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the degree of need than present situation. 2. The Clinical Supervision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had three stages: PRE-OBSERVATION CONFERENCE-(1) establishing the professor-student teacher relationships, (2) planning the instruction, (3) planning the strategy of observation, (4) planning the strategy of post-observation conference. OBSERVATION-(1) practicing the instruction (2) observing the instruction, and POST-OBSERVATION CONFERENCE-(1)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data (2) planning the next schedule (3) evaluating the whole processes of supervision. 3. The results of application of the model showed that the professor-student teacher relationships were established easily and the explaining clinical supervision processes to the student teacher was necessary. Planning the instruction was helpful to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 teacher, but the behavior clarification for observation was not important. VCR was most effective means for the observation and there was no problem in the decision of the post-observation time. The participation-observation of the professor did not bring forth psychological burden on the part of student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data were effective and after supervising one time, the stage continued on the planning instruction. The whole processes of supervision were evaluated by the professor himself. Clinical supervision model developed by the modification is shown as follows: -- 1. Establishing the professor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l student teacher relation ships l stage 1. Pre- Observation l l and explaining Clinical l Conference l--------l supervision processes ------------------------------ l-- 2. Planning the instruction ←---- l l l l l-- 3. Planning the strategy of l l l observation l l -- 4. Planning the strategy of post- l l observation conference l l l ----------------------------- -- 1. Practicing the instruction l l stage 2. Observation l-------- l l ----------------------------- -- 2. Observing the instruction l l ----------------------------- -- 1. Analyzing and discussing l l stage 3. Post-Observation l l the data l l Conference l---------l-- 2. Planning the next schedule ---→ ----------------------------- l -- 3. Evaluating the whole processes of supervision by professor and self-evaluation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생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임상장학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실습지도시 임상장학의 기본가정 및 방법에 대한 교수, 교사, 교생의 요구는 무엇인가? 2. 교육실습지도시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임상장학 모형의 기본구조는 어떠한 것인가? 3. 구성된 임상장학모형의 실시결과는 어떠한가? A. 실시결과 B. 모형수정 연구의 방법과 과정은 다음의 세단계로 이루어졌다. 1. 임상장학에 대한 요구사정: 요구사정을 위한 대상은 1988년에 교육실습경험을 한 4년제 대학 11개교의 유아교육과 4학년학생 228명, 교사32명, 교수71명으로 총 331명이었다. 면접대상은 교수3명, 교사3명, 교생10명으로 총 1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2차의 예비조사와 전문가의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와 예비조사시 관계문헌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한 면접지였다. 질문지조사자료분석을 위하여 Paired-t검증, One Way-ANOVA, x²검증을 적용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면접자료의 경우는 연구자가 면접지의 문항별로 응답내용을 정리한 뒤 질문지 결과에 보충시킬 필요가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2. 임상장학모형 구성: 관계문헌을 토대로 논의한 결과와 요구사정결과를 이론적, 실제적 준거로 하여 모형을 구성하였다. 3. 구성된 모형의 실시 및 수정: 모형 실시 대상은 국립K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학생 중 부속유치원에서 실습할 학생 2명과 연구자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된 임상장학모형을 장학도구로 하여 4주간 각각6회와 5회씩 실시되었다. 협의회 녹음테이프, 매 장학후 교생과 연구자가 응답한 질문지, 연구자의 메모를 종합한 뒤, 연구자가 작성한 분석기준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결과를 토대로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유치원교육실습 지도시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임상장학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장학에 대한 교수, 교사, 교생의 요구: 임상장학의 기본가정 및 방법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교수, 교사, 교생들의 현재상황인식과 요구정도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이들 모두 현재 상황보다 요구정도에 높은 반응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2. 임상장학모형 구성 본 연구에서 구성된 모형은 관찰전협의회, 관찰, 관찰후협의회의 3단계였다. 관찰전협의회 단계의 활동내용은 (1) 지도교수와 교생의 관계형성 (2) 수업에 대한 계획 (3) 관찰방법에 대한 계획 (4) 관찰 후 협의회 방법에 대한 계획이었다. 관찰단계의 활동내용은 (1) 수업실시 (2) 관찰이었으며, 관찰후협의회는 (1) 자료분석 및 토의 (2) 앞으로의 활동계획 (3) 장학과정에 대한 평가를 그 활동내용으로 하였다. 3. 구성된 모형이 실시결과 및 수정 모형실시결과, 교수와 교생의 관계형성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생에서 임상장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도움이 되지만 대상활동을 반드시 명료화시키고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보였다. 관찰도구는 비디오카메라가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관찰후협의회 시기는 문제시되지 않았다. 교수의 참여관찰시 교생과 유아 모두 특별한 신경을 쓰지 않았고, 관찰후 교생과 교수가 함께 자료를 분석, 토의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1회장학후 1단계의 수업계획단계로 계속되었다. 장학에 대한 평가는 주로 교수 혼자 하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실시결과를 토대로 볼 때 모형의 기본틀에 큰 문제는 없었으며 각 단계별로 활동내용이나 방법에서 약간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있었다. 수정된 모형을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1. 지도교수와 교생의 관계형성 및 임상장학 ------------------------ ㅣ 방법에 대한 구체적 설명 ㅣ 1단계: 관찰전 협의회 ㅣ--------ㅣ 2. 수업에 대한 계획 ←---------------- ------------------------ ㅣ 3. 관찰방법에 대한 계획 ↑ -- 4. 관찰후 협의회 방법에 대한 계획 ㅣ ㅣ - 1. 수업실시 ㅣ --------------- ㅣ ㅣ ㅣ 2단계: 관찰 ㅣ-----------------ㅣ_ 2. 수업관찰 및 기록 ㅣ --------------- ㅣ ------------------------ -- 1. 자료분석 및 토의 ㅣ ㅣ 3단계: 관찰후 협의회 ㅣ--------ㅣ 2. 앞으로의 활동계획 →---------------- ------------------------ ㅣ 3. 지도교수의 장학과정 및 자기평가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5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임상장학의 개념 --------------------------------------------------- 6 A. 임상장학의 의미 --------------------------------------------------- 6 B. 임상장학의 모형 --------------------------------------------------- 12 C. 임상장학에 관한 연구의 동향 --------------------------------------- 19 III. 연구의 방법 및 과정 ---------------------------------------------- 30 A. 임상장학에 대한 요구사정 ------------------------------------------ 30 B. 임상장학 모형구성 ------------------------------------------------- 34 C. 구성된 모형의 실시 및 수정 ---------------------------------------- 34 IV. 유치원 교육 실습 지도를 위한 임상장학 모형구성 -------------------- 37 A. 모형의 기초 ------------------------------------------------------- 37 B. 모형의 목적 및 가정 ----------------------------------------------- 48 C. 모형의 단계, 활동내용 및 방법 ------------------------------------- 48 D. 기대되는 효과 ----------------------------------------------------- 54 V. 구성된 모형의 실시결과 및 수정 ------------------------------------- 55 A. 실시과정 및 결과분석 ---------------------------------------------- 55 B. 모형수정 ---------------------------------------------------------- 80 VI. 결론 및 논의 ------------------------------------------------------ 85 A. 결론 -------------------------------------------------------------- 85 B. 논의 및 제언 ------------------------------------------------------ 87 참고문헌 -------------------------------------------------------------- 91 부 록 -------------------------------------------------------------- 98 영문초록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174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육 실습 지도를 위한 임상장학모형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