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연-
dc.creator김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2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their transfer plans to 4-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It has an aim to find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ir aspirations and the process of determinating their transfer plans to realize the aspirations. And it deals with the pro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modifying educational aspirations and confirms the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e process. Some discussions have been performed about the problems of junior colleges and social structures related to the students, laying stress on how personal background and junior college factors influence the students aspirations and transfer plans to four-year college or universities. This thesis presents four subjects concretely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determinants of their transfer plans to four-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and the process of modification level of aspirations. First, examining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 this study analyzes which variables are significant among the factors of personal background and those of college background, and which order the influences appear in. Second, it investigates the rate of junior college students who are planning to transfer to four-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Also this study analyzes which variables are significant among the factors of students personal and college background, and which order their influences appear in. Third, it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t their high school days and those at present, and analyzes the students personal factors causing the differences. Four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their plans for transfer to four-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and it analzes the variable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transfer plans of highly motivated students. 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s a pilot study and after that, referring to this, an instrument of questionnaire was made out. The papers for structured interviews were made after the research variables were set, in the basis of theories on a junior college and its students. The function of a junior college regarded as important by members of junior colleges,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the variabl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plans for transfer to 4-year universities were examined in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 group of structured interviews was 20--junior colleg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preparing for transfer to 4-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ransferred, some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of junior colleges interested in transfer, and persons in charge of guidance at junior colleg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the educational level of siblings was added as a variable all groups attached much importance to. Some questions of the paper were improved to be proper for the reality of junior colleges in Korea. A survey was put through whose subject groups were 1,865 second graders in 18 junior colleges. To analyze research problems, χ2 test, t-test,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tical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students aspirations and their transfer plans are as follows: First, junior college students who want to take a bachelor s degree or more are 1,286 out of 1,841(69.9%). Variables influencing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re GPA at junior college, educational aspirations at high school days,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vocational aspirations, the type of department they are in, and the qualitative standard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junior colleges. The last one appears to have a negative effect. That is, the lower it is, the higher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re. Mother s occupation has little influence on the whole, but mothers engaged in the middle or low class occupations lower their children s aspirations for education than mothers who are housekeepers, while mothers who have professional job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children s aspirations. Second, 554 second graders(29.9%) who were questioned about their plans within a year after their graduation answered they were planning to transfer to 4-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The variables influencing plans for transfer are sex, the educational level of fathers , GPA at junior college, parents educatonal expectation, vocational aspiration, expectation for jobs and educational aspiration. The result shows that girls are much more inclined to transfer than boys. And when they aren t satisfied with the prospect of a life time job, the wage level and social status of job, the students have a higher tendency to transfer. Fathers occupations turned out to have little effect in general. But in the case that their fathers have low class vocation or labor work, th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re rather lower than the students whose fathers have no job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t high school days and those at pres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ducational aspirations in the past and at present, excluding the students who have the same aspiration(914, 49.8%), the study divides the other students into two groups--those who come to have higher aspirations than in the past(412, 22.4%) and those who have lower aspirations than in their high school days. Then the influences on the present educational aspirations of each group are analyzed. In case of the former, the variable influencing the present aspirations is only their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GPA at college,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 the location of a college, and the qualitative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a college, etc. are the meaningful variables. The students who have lower GPA or whose parents educational expections are lower have low educational aspirations. The lower the qualitative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colleges is, the higher their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re. Fourth,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their transfer plans. When they have higher educational aspirations at high school days and at present, the students have a higher tendency to make a plan to transfer. Junior collegians who want to get more than bacheolor s degree are 69.9%(1,286/1,841). The students who don t have transfer plans, though they have high aspirations, are 59.8%(769/1,286) of those who have higher aspirations. While 40.2%(517/1,286) students are actually planning to transfer. The significant variables are sex, the vocation of fathers, vocational aspiration, and expectation for vocations after graduation,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re likely to be determined by expectation or encourgement of significant others, the level of GPA and their aspirations, not by sex and SES. Second,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junior colleges is, the higher their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 is. Third,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transfer plans are affected by sex, educational level of father and vocations of father other than GPA at college, expectation of parents, and vocational and educational aspirations. Especially junior college students want to transfer to 4-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more when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jobs they would have after graduation.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are well aware of the discriminating structure of labor market. This can make Korean society attach great importance to school career. Most junior college students tend to choose their school by their marks of entrance exam, not by their aptitude. So it is founded that the students GPA and junior college characteristics--that is, the location of junior colleg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nclination to transfer-make the students have lower aspirations than at their high school days. Especially a junior college itself was a significant factor in lowering the students aspirations. Therefore junior colleges need to build up a system that can guide the students systematically in shaping their ways. And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peculiar to junior colleges must be developed. For thi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is needed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of junior colleges. The factors of sex, father s vocation, vocatioal aspiration and expectation for jobs have influences on the transfer plans of the students who have high educational aspir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me to understand that the realistic restrains affect the students fulfillment of their aspirations. As a result, according to their sex, SES, the level of expesctation for jobs, educational inequality can be in existence as ever. This study shows that if the students have the same educational level, their educational accomplishment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 and social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variables of personal background and the low estimation of junior colleges have an influence on th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their efforts to realize their aspirations. It is believed that the analysis on the process of modification and actualiz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can be an important theme of research, which sheds light on the problems of inequality in higher education. ; 이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와 이를 성취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 전략으로서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을 살펴보고, 여기에 작용하는 개인 및 전문대학 요인을 밝혀 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문대학생들이 교육포부를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다루는 연구로서 전문대학생들의 고교재학 당시의 교육포부가 현재의 교육포부수준으로 수정되는 과정과 현재의 교육포부수준이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 여부로 구체화되어가는 과정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귀속적.사회심리적 배경 요인과 전문대학 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와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의 결정 요인및 교육포부의 수정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를 살펴보고, 개인 요인과 전문대학 요인 가운데 교육포부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무엇이며 영향력의 크기는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둘째, 전문대학생들 가운데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을 세우고 있는 학생들의 비율을 알아 보고,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에 의미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이며 영향력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셋째, 전문대학생들의 고교재학 당시 교육포부와 현재의 교육포부 사이 차이를 알아 보고, 교육포부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다. 넷째, 전문대학생의 교육포부와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의 관계를 살펴보고, 높은 교육포부를 나타내는 전문대학생들의 편입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조사로서 구조화 면접을 실시한 후에 면담 결과를 참고하여 질문지 도구를 작성하였다. 구조화 면접 조사지는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들에 관한 이론을 근거로 하여 연구변인을 설정한 후에 제작되었으며, 전문대학 구성원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전문대학의 기능,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와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에 관련된 변인들과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알아 보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구조화 면접의 대상집단은 4년제 대학에 편입학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전문대학 2학년 학생들,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4년제 대학에 편입학한 학생들, 전문대학 교수 또는 전문대학 행정가, 전문대학 학생지도 또는 진로지도 실무자이다. 구조화 면접 결과, 모든 집단이 중요하다고 제시한 형제 자매의 교육수준을 연구변인으로 첨가하였고, 질문지 문항은 한국 전문대학의 현실에 적합한 내용으로 수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18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2학년 학생 1,86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χ2검정, t검정, 상관관계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와 편입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사학위 이상의 학위취득을 원하는 전문대학생들은 전체 1,841명 가운데 1,286명(69.9%)이다.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전문대학 학업성적, 고교재학 당시 교육포부, 부모의 교육기대, 직업포부, 전문대학 학과유형, 전문대학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 등이다. 이 가운데 전문대학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전문대학 교육 환경의 질적 수준이 떨어질수록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가 높은 경향이 있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 변인이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에 미치는 전체적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이 변인을 가변수(dummy variable)로 만들어 전업주부인 경우와 각 직업 수준별 영향의 대비를 살펴보면, 중하류계급의 직업을 가진 어머니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문직에 종사하는 어머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 2학년 학생들에게 전문대학을 졸업한 이후 1년 이내 진로계획에 대하여 질문하여 얻은 결과, 4년제 대학 편입학을 계획하는 학생들은 554명(29.9%)이다. 편입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성, 아버지 교육수준, 전문대학 학업성적, 부모의 교육기대, 직업포부, 취업시 직업에 대한 기대, 교육포부 등이었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편입학을 더 많이 계획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특히 전문대학생들은 전문대학 졸업 이후 취업할 경우 갖게 될 직업에 대한 기대로써 평생 직업으로서의 전망, 임금수준,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할수록 4년제 대학 편입학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에 미치는 전체적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가변수로 만들어 무직인 경우와 각 직업 수준별 영향력의 대비를 살펴보면, 하류계급과 근로계급의 직업을 갖고 있는 아버지를 둔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재학 당시 교육포부에 따라 현재의 교육포부가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재학 당시 교육포부와 현재의 교육포부 사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 보기 위하여 우선 교육포부가 동일한 학생들(914명, 49.8%)을 제외하고 고교재학 당시보다 교육포부가 높아진 학생들(412명, 22.4%)과 낮아진 학생들(510명, 27.8%)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 학생들의 현재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교육포부가 높아진 전문대학생들의 경우 현재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교육기대 한가지인 반면, 교육포부가 낮아진 전문대학생들의 경우 전문대학 학업성적, 부모의 교육기대, 전문대학의 소재지, 전문대학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 전문대학의 편입학교육 지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포부가 낮아진 전문대학생들의 경우 현재 교육포부에 미치는 변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학업성적이 매우 낮거나 부모의 교육기대가 낮은 학생일수록 교육포부가 낮다. 그리고 전문대학 소재지를 가변수화해서 군소재 전문대학과 각 소재지별 전문대학을 비교할 때, 광역시소재의 전문대학은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서울시소재 전문대학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대학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전문대학이 편입학교육을 지향할수록 교육포부가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대학생의 교육포부와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은 상관관계가 있다. 곧, 전문대학생은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4년제 대학 편입학을 계획하는 경향이 높다.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을 원하는 전문대학생들은 전체의 69.9%(1,286/1,841명)를 차지한다. 교육포부가 높은 데도 불구하고 4년제 대학 편입학을 계획하지 않는 전문대학생들은 교육포부가 높은 학생들의 59.8%(769/1,286명)이고, 실제로 편입학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들은 40.2%(517/1,286명)이다. 교육포부가 높은 전문대학생들의 편입학 계획에는 성, 아버지의 직업, 전문대학 학업성적, 직업포부, 전문대학 졸업 후 갖게 될 직업에 대한 기대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다.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는 대부분 부모의 기대나 격려, 자신의 학업성취수준, 고교재학 당시 교육포부 및 직업포부수준과 같은 사회심리적 변인들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사회심리적 모형의 내용에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한국 전문대학의 특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로써 전문대학생들이 4년제 대학에 개설된 학과와 유사한 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경우와 전문대학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이 열악할수록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입학 계획을 세울 때는 교육포부에도 영향을 미치는 전문대학 학업성적, 부모의 교육기대, 직업포부 및 교육포부 이외에 개인의 귀속적 배경 변인인 성, 아버지 교육수준, 아버지 직업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대학생들이 졸업 후 갖게 될 직업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할수록 편입학 계획을 많이 세운다는 결과는 자신들이 졸업 후 곧바로 직면하게 될 노동시장의 차별적 구조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한국의 학력사회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고교재학 당시 보다 교육포부가 낮아진 전문대학생들은 교육포부가 높아진 학생들보다 현재의 교육포부형성시 자신의 학업성적과 재학하고 있는 전문대학의 특성, 곧 학교소재지, 전문대학 교육의 질적 수준, 편입학을 격려하는 풍토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혀 냈다. 특히 전문대학생들의 교육포부 하향화 과정에서 전문대학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 진학에 실패한 학생들이 전문대학 교육목적을 인지하지 못하고 진학하였더라도 앞으로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적 진로지도체제를 확립하고, 4년제 대학과 차별화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고유 영역을 확보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대학 졸업 학년생들 가운데 교육포부가 높은 학생들의 교육포부를 실현하기 위한 편입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성, 아버지의 직업, 학업성적, 직업포부 및 직업에 대한 기대 등이었다. 이 변인들은 표본 전체 학생들의 편입학 계획에 영향을 미친 변인들와 동일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을 성취하기 위하여 교육포부를 실천적 행동으로 옮길 때에는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보다 더 현실적 제한을 가할 수 있는 변인들이 작용함으로써 전문대학생들 사이에서도 개인의 성이나 사회경제적 배경, 직업기대수준 등에 따라 교육 불평등이 지속될 가능성을 보여 준다. 곧, 같은 교육수준의 학생들일지라도 개인의 학업능력뿐만 아니라 귀속적 배경 변인과 전문대학에 대한 사회의 낮은 평가가 작용하여 교육성취의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이 고등학교 재학 당시로부터 졸업학년까지 교육포부를 수정하게 되는 과정과 4년제 대학 편입학을 계획하는 과정에 대한 분석이 고등교육 불평등의 양상 가운데 한가지를 밝혀 낼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영역임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9 C. 용어의 정의 ----------------------------------------------------- 10 1. 교육포부 ------------------------------------------------------- 10 2. 편입학 계획 ---------------------------------------------------- 11 II. 이론적 배경 ----------------------------------------------------- 13 A. 학교교육과 사회경제적 성취 -------------------------------------- 13 1. 기능론적 접근 -------------------------------------------------- 13 2. 갈등론적 접근 -------------------------------------------------- 16 B. 사회변화와 전문대학 --------------------------------------------- 19 1. 2년제 고등교육제도의 발달 -------------------------------------- 19 2. 전문대학 교육의 확대와 확장 ------------------------------------ 22 3. 고등교육체제의 계층적 분화 ------------------------------------- 29 4. 전문대학 기능의 정체성 ----------------------------------------- 40 C. 전문대학생의 교육포부 ------------------------------------------- 48 1. 교육포부와 사회경제적 성취 ------------------------------------- 48 2. 교육포부관련 요인 ---------------------------------------------- 50 D. 전문대학생의 교육성취 ------------------------------------------- 63 1. 교육성취 전략으로서 4년제 대학 편입학 -------------------------- 63 2. 편입학관련 요인 ------------------------------------------------ 64 E. 교육포부와 교육성취의 관계 -------------------------------------- 72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74 A. 연구 대상 ------------------------------------------------------- 74 B. 연구 절차 ------------------------------------------------------- 77 1. 조사도구의 작성 ------------------------------------------------ 77 2. 질문지 조사의 실시 --------------------------------------------- 83 C. 연구 변인 ------------------------------------------------------- 84 1. 독립변인 ------------------------------------------------------- 84 2. 종속변인 ------------------------------------------------------- 88 3. 분석방법 ------------------------------------------------------- 89 D. 연구가설 -------------------------------------------------------- 93 Ⅳ. 연구결과 -------------------------------------------------------- 95 A. 연구 요인별 특성 ------------------------------------------------ 95 1. 개인 요인 중 귀속적 배경 변인 ---------------------------------- 95 2. 개인 요인 중 사회심리적 배경 변인 ------------------------------ 99 3. 전문대학 요인 --------------------------------------------------102 4. 전문대학생의 교육포부와 진로계획 -------------------------------104 B. 개인 및 전문대학 요인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 분석 ---------------106 1. 교육포부 -------------------------------------------------------106 2. 편입학 계획 ----------------------------------------------------118 C. 교육포부와 편입학 계획에 미치는 개인과 전문대학 요인의 영향 분석 129 1.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130 2. 편입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133 D. 전문대학생의 고교재학 당시 교육포부와 현재 교육포부의 차이 분석 -137 1. 고교재학 당시 교육포부와 현재 교육포부의 차이 ------------------137 2. 고교재학시와 현재 교육포부 간 차이 집단의 개인 및 전문대학 요인에 따른 교육포부 차이 분석 ----------------------------------------138 3. 고교재학시와 현재 교육포부 간 차이 집단의 현재 교육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138 E. 교육포부와 편입학 계획의 관계 분석 ------------------------------141 1. 교육포부와 편입학 계획의 관계 ----------------------------------142 2. 개인 및 전문대학 요인에 따른 교육포부가 높은 전문대학생의 편입학 계획 차이 분석 -------------------------------------------------142 3. 교육포부가 높은 전문대학생의 편입학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143 Ⅴ. 논의 ------------------------------------------------------------146 Ⅵ. 요약 및 결론 ----------------------------------------------------156 참고문헌 ------------------------------------------------------------175 부록 Ⅰ. 개인 및 전문대학 요인과 교육포부 및 편입학 계획 간 상관관계 194 부록 Ⅱ. 고교재학 당시보다 교육포부가 높아진 학생과 낮아진 학생의 개인 및 전문대학 요인에 따른 교육포부의 차이 분석 ---------------195 부록 Ⅲ. 교육포부가 높은 전문대학생의 개인 및 전문대학 요인에 따른 편입학 계획의 차이 분석 ------------------------------------197 부록 Ⅳ. 구조화 면접 조사지 -----------------------------------------201 부록 Ⅴ. 질문지 조사지 ---------------------------------------------207 영문초록 ------------------------------------------------------------2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624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전문대학생의 교육포부와 편입학 계획 결정과정-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