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Title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Authors
원영미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 and child’s adjustment in Kindergarten. Adjustment was measured using the Adjustment to School Scale(Hughes, Pinkerton, and Plewis, 1979). Temperament was assessed using the Parent Temperament Questionnare (Thomas and Chess, 1977).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were assessed using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Lee, 1983).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evaluated using the revised Early Childhood Observation Instrument (Holloway and Reichhart-Erikson, 1988). Subject were 366 children, 188 boys and 178 girls with an average age of 4.5 years attending 14 kindergartens, their mothers, and 14 kindergarten teachers in Pusan. Most of children had their siblings and pre-kindergarten experiences. Most of mothers aged from 31 to 40 years and mean educational attainment was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Seventy-nine percent of the mothers were unemployed, and Father’ occupations were distributed across unskilled, sales, clericals, managerials, and professionals.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icult group and easy group in adjustment(t=2.54, p£.05). Threshold, intensity, approach, adaptability, mood, and distractibi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justment scores. All temperament categories except for distractibility accounted for 4.6% of the variance. 2.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mong temperament and maternal attitude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aternal attitud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ly the main effect of temperament was significa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maternal behavior score group and the low maternal behavior score group in adjustment. Maternal attitudes of encouraging independence and positive evaluation of thei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justment scores. All maternal attutude factors except for attitudes of freedom accounted for 3% of the variance.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teacher-child interaction score group and the low teacher-child interaction score group in adjustment. Teacher-child interaction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justment scores.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ccounted for only 0.1% of the variance. 5. There were no two-way or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temperament, maternal attitud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ly the main effect of temperament was significant. Eight temperament categories, seven maternal attitude factors, and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ccounted for 7,4% of the variance. Adaptability of nine temperament categories, and maternal attitudes of encouraging independence of seven maternal behavior factors, best accounted for most of the explained variance. ;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 변수로서, 모친의 양육태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과 유치원에서의 유아의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함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유치원에서의 유아의 적응은 학교적응건사도구(Hughes, Pinkerton, & Plewis, 1979)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친의 양육태도는, Schaefer와 Bell(1958)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이원영이 번역, 수정한 어머니 양육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유아의 기질은 Thomas와 Chess(1977)의 유아기질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대한 평가는 Holloway와 Reichhart-Erikson(1988)의 개정판 유아관찰도구에 근거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내 14개 유치원 원아 366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그들을 담당하는 고사들이었다. 대부분의 유아들은 형제나 자매를 가지고 있었고, 유치원 이전의 교육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모친은 대부분 30세부터 40세까지의 연령층으로 구성되었으며, 평균 고졸이상의 학력을 소유한 비취업모가 대다수였다. 부친의 직업은 판매직, 숙련직, 사무직, 관리직 및 전문직 등의 직종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t-검정, Pearson 적률상관분석, 분산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까다로운 유아와 순한 유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54, p£.05). 유아의 기질범주 중 반응역, 강도, 접근도, 적응성 기분 그리고 주의 전환성 등은 유아의 적응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주의전환성을 제외한 모든 기질 범주는 총변량의 4.8%를 설명해주었다. 2. 유아의 기질과 모친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모친의 양육태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등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유아기질의 주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중앙값에 의해 이분한 모친의 양육태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양육태도 요인 중 자립심 권장 태도 및 긍정적 평가태도는 유아의 적응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모친의 양육태도 7개요인 모두는 총변량의 3%를 설명해주었다. 4. 중앙값에 의해 이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의 사위집단과 하위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호작용의 총점과 유아의 적응간에도 역시 유의한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회귀분석결과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총변량의 약 0.1%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5. 유아의 기질, 모친의 양육태도 그리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등 세개 변수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유아기질의 주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회귀분석 결과에서 8개 유아의 기질 범주, 7개 양육태도 요인 그리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총변량의 7.4%를 설명해주었다. 기질 범주 중에서는 적응성이 양육태도 요인중에서 자립심 권장태도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