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정실-
dc.creator최정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0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교육과정의 내용과 교육방법의 철학적 기초를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전개되고 있는 지식교육은 지식을 보편적이고 가치중립적인 것으로 봄으로써 학생들의 내적의식과 생활세계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갖는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지식의 본질이 인식주체자와 관련되어 고찰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현상학에 주목하엿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현상학은 지식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훗설을 비롯한 여러 현상학자들의 인식원리와 내용을 방법론의 기초로 삼았다. 특히 대부분의 현상학자들이 훗설의 후기현상학에서 발전된다는 점에서 훗설의 후기현상학을 중점적으로 고찰하고 또한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상학적 접근을 요청하는 기존지식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현상학이 제시하는 지식의 본질, 특히 지식의 구성에 있어서 인식주체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현상학적 인식론에 입각한 지식교육의 특성은 무엇이며, 교육과정에 있어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의미는 무엇인가? 이상의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논의된 것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존지식관을 대표하는 실증주의는 지식이 객관적이고 보편적이어야 한다고 본다. 이것은 주체가 대상 즉 지식에서 분리될 때 가능한 것으로, 이 과정에서 인간의 내적 의식이 배제되어진다. 또한 실증주의는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생활세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증주의에 기초한 교육과정은 그 내용의 선정이나 조직에 있어서 교사와 학습자의 내적의식과 생활세계를 배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대해 현상학은 모든 지식이 인간의 의식에 의해 구성된다고 본다. 이것은 지식이 주체에 관련될 때만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생활세계란 일상적이고 상식적인 세계이다. 현상학은 생활세계가 모든 이론이나 지식의 근거가 된다고 보고, 생활세계를 표출시켜 그 본질적 구조를 탐구한다. 여기서의 본질적 구조란 개체를 통해 상호주관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상학적 논의는 지식교육이 교사와 학생의 의식과 관련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며, 생활세계를 통한 지식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지식교육이란 일반화된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본질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상호주관성을 통한 본질에의 접근은 문화간의 공통성을 기초로 한 교육내용을 가능케 한다. 나아가 현상학적 인식론은 개개인의 지식과 경험이 단지 사적인 협소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대화를 통해 그 경험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교육적 의미를 주고 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제시될 수 있는 문제점으로, 교육실제에서 단순화된 현상학적 접근, 의식과 사회구조와의 관계, 현상학에 있어서 지식조직의 구체성, 현상학적 지식관과 교과의 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교육학, 특히 교육과정철학에서 앞으로 더 깊이있게 연구되어야 할 분야로 남아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a philosophical basis of curriculum contents and it’s instructional method. The frame of inquiry employ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Husserl’s later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nature of knowledge. Dominant thoughts in knowledge education todays consider the knowledge as universal and value-free. As the result, the students inner consciousness and their life-world are basically neglected in the classroom activities related to knowledge education. Regarding this issue,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learners inner consciousness and their life-world. Phenomenology in this study was considered as methodology to delve into the nature of knowledge and the foundation for this methodology was searched through epistemological principles and contents of phenomenologists view including Husserl, a prominent scholar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questio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view of knowledge demand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Second, How important is the role of the knower in related to the phenomenological nature of knowledge? Third, What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education founded in phenomenological epistemology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ructure to curriculum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hrased as follows: It is generally believed in positivism that knowledge is objective and universal, and the subject(the knower) is considered to be separated from the object(the knowledge). Consequently, the positivism rejects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knower in the process of knowing the object (knowledge) and therefore, school curriculum based upon this view pays little attention on the participants’(teachers and students) life situation and their dynamic participation in knowledge constituting activities. On the contrary, phenomenology takes life-world as a foundation for knowledge building and it’s related theories. In phenomenology, knowledge is understood only in relation with the subject (the knower) in the context of his life-world. Hence, one of major tasks of phenomenology is to delve into the essential features of life-world of which structure is constructed inter-subjectively through each particulars. Through this phenomenological discussion,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obtained. Knowledge education can not successfully be performed without positive considerations of the inner worlds of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e phenomenological view provides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life-situation in curriculum activities.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discussed in this study shows u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the commonalties between particulars and this possibility in turn provides us a philosophical basis for contents selection in curriculum. Furthermore, phenomenological epistemology leads us to believe that knowledge and experience of individual can be expanded through dialogues between them. However, some issues remained to be investigated were summarized below. These are oversimplication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educational practic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social structure, specificity of knowledge organization in phenomenology, and classification of subject matter and phenomenological knowledge. These problems need a thorough study in educational research, particularly in curriculum philosoph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과 제한점 ------------------------------------------------ 5 II. 현상학적 인식론 -------------------------------------------------- 9 A. 의식의 지식구성작용 ---------------------------------------------- 9 B. 생활세계의 인식론적 특성 ----------------------------------------- 24 C. 상호주관성의 인식론적 역할 --------------------------------------- 42 III. 현상학적 인식론과 지식교육 -------------------------------------- 57 A. 지식교육의 지향적 구조 ------------------------------------------- 57 B. 교육내용의 개별성과 공통성 --------------------------------------- 73 C. 대화의 교육방법론적 의미 ----------------------------------------- 89 IV. 결론 -------------------------------------------------------------108 A. 요약 -------------------------------------------------------------108 B. 논의 -------------------------------------------------------------112 참고문헌 -------------------------------------------------------------118 영문초록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860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식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