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송-
dc.creator이은송-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1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64-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초기 개화파의 형성과정과의 관련 속에서 근대교육개혁론을 재구성하고, 그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근대교육의 특징을 밝힘과 동시에, 이를 통해 한국 근대교육의 발전을 새로운 관점에서 설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초기 개화파는 최초로 근대교육개혁론을 제안한 인물들로, 그들은 외부로부터 근대교육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에 이미 근대교육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구체적인 교육제도개혁안을 구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제도 교육이 성리학적 교육체제를 유지하던 상황에서 지식인들이 서구의 근대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새로운 교육개혁안을 구상하게 되었는가 의 문제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초기 개화파의 사상적 연원과 교육개혁론의 형성 계기에 주목하고, 그들이 전통적 교육의 기틀 위에 새롭게 세우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고, 유지시키고자 했던 것은 무엇인지를 추적하였다. 이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개화파 형성의 시대적·사상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들의 사상 형성 및 정치적 성장과 개화사상을 고찰하였다. 시대적 배경으로는 조선 후기의 사회 내부의 변화와 대외적 외압이 위기의식을 고조시키고, 斥邪정책을 강화시키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위에서 교육현실은 서원이나 향교교육 등의 약화로 가문의 개별적 서당교육이나 서재교육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사상적 배경으로는 서구의 학문을 수용할 수 있는 논리를 확장시킨 기철학의 발전과 북학사상의 실심실학적 학문관이 초기 개화파의 사상적 기초임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초기 개화파가 형성되게 된 계기를 박규수의 서재교육에서 고찰하였고, 그들의 정치적 성장 과정을 188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화사상에서는 박규수의 통상개국론과 실학론이 북학사상을 개화사상에 연결시키는 가교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박규수는 대외적인 위기의식의 고조와 內政의 문란 속에서 세계 정세에 대한 관심과 서양학문 및 천주교 등을 연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그의 실학관은 자문화와 동양학문의 우수성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하고 있다. 초기 개화파의 개화사상은 서구 과학적 지식이나 경험과학을 한층 더 중시하면서 서구의 학문정신이 유학적 전통에서 이어지는 학문정신과 같다는 전제 위에 부강한 국가관과 자유민권사상 등을 담고 있다. 둘째, 초기 개화파의 교육개혁론과 교육실천을 고찰하였다. 초기 개화파의 입장을 先개혁 後교육, 先교육 後개혁, 점진적 변화의 세 가지 입장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근대교육개혁론을 고찰하였다. 先개혁 後교육의 입장은 문벌과 신분제 타파를 급선무로 생각하여 교육을 통한 점진적인 변화보다는 정치적인 개혁을 통한 신교육의 수립을 추구하였다. 이에 반해 先교육 後개혁을 주장하는 유길준은 처지와 형편에 따라 나라를 지킬 수 있는 적절한 개화를 강조하였다. 마지막 입장은 정치나 교육에서 개혁적인 조치보다는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하였고, 문벌이나 권력의 편중문제는 부각시키지 않은 채로 부국강병(自强)을 위한 교육의 정비와 학교교육의 진흥을 강조하였다. 세입장 모두 국가발전을 위한 (서구형) 학교교육의 도입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지만, 점진적 입장은 民權신장 차원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세 가지 입장은 교육개혁의 실천이란 측면에서는 각기 다른 정치적 입장을 취함으로써 차이점을 보인다. 초기 개화파의 학문관이나 교육목적에 대한 관점의 특징은 明明德 新民 至於至善 이나 利用厚生正德 과 같은 전통교육의 교육 목적을 서구의 근대교육의 목적과 일치된 것으로 이해하였다는 점이다.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세 입장 모두 서구적인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기초적인 교육내용에서는 전통교육의 내용도 함께 강조하고 있다. 교육제도와 관련해서는 세 입장 모두 서구의 학교교육제도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세 입장의 교육개혁론은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교육제도에 있어서는 커다란 골격에 있어서는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많다. 取長棄短 이라는 西學 수용논리에 기초하여 서구 근대국가의 발전의 근원인 과학적 학문과 학교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셋째, 초기 개화파의 교육개혁론의 성격과 의의를 규명하였다. 교육개혁론의 성격에서는 초기 개화파가 북학적 학문관에 내재된 서구 문물의 수용논리를 확장시켰고, 서구 근대교육 및 일본의 문명개화적 교육론을 실심실학적 견지에서 수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들의 교육개혁론에 나타난 한국 근대교육의 중요한 특징은 무조건적인 서구화보다는 유교의 바탕 위에 서구 근대교육의 내면화 라고 파악하였다. 그들은 당시 조선의 의리·도덕중심의 세계관이 鎖國의 논리적 기초로 이용되는 것은 비판하고 경계하였지만, 진정한 개화를 위한 교육으로 才德文藝의 公敎를 제시하고, 그 기본취지는 正德·利用·厚生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의 문명개화적 교육론이 유교비판을 통한 철저한 서구화를 표방한 데 반하여, 초기 개화파의 교육개혁론은 북학사상의 실심실학적 학문관의 계승을 통해서 전통교육과 서구교육의 장점을 조화시키고자 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근대교육개혁론의 특징은 한국 근대교육이 치열한 자기 내면화 과정을 통하여 추구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국 근대교육이 선교사들의 교육사업에 의해서 시작되었다는 설이나 일본의 지도로 가능하였다는 주장들이 그롯된 것임을 명백히 해준다. 특히 초기 개화파는 격물치지와 실사구시의 학문태도가 서구의 과학정신에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서구 근대교육과 학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수용논리의 구상은 서구적 요소를 내면화 하려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것은 조선시대 이후의 학문적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의 근대교육개혁론은 전통교육의 정신을 德 이라는 실심적 용어로 표현하여 계승하고 있는데, 이것은 유교적 덕 이 서구 근대학문 및 교육과 공존할 수 있다는 신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이 우리 근대교육의 성격으로 인정받을 때, 한국 근대교육의 내재적 발전론은 더욱 설득력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도덕성 회복과 윤리정립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대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초기 개화파의 근대교육개혁론은 당시에는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지만, 외압이 강화되는 국제정세 속에서 제도화가 가능하였다. 1890년대의 현실 속에서 초기 개화파는 제각기 서구 근대교육과 학문 수용을 위한 논리를 변화시켰고, 1880년대 초기 개혁운동시기의 조화적 입장이나 내면화하려는 자세가 약화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한국 근대교육 형성의 원동력을 조선 사회의 학문적 성숙으로부터 추적하여 내적 발전논리를 구상하였다는 데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둘째, 초기 개화파의 교육론을 일본의 문명개화적 교육론과 비교함으로써 초기 개화파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그릇된 것임을 해명하였다. 셋째, 한국 근대교육의 始原이 실학에 있다는 주장의 근거를 초기 개화파의 학문관과 교육론에 계승되는 북학사상의 실심실학적 학문관에서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명확히 밝히지 못했던 바이다. ;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the early reformists Idea of Educational Modernization in Korea. The early reformists had suggested Method of Modern Educational reform. They had planned to make new education system before Western educ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Korea. How did the Korean intellecual understand Western education system and prepare new education system on the background of Neo Confucianism? And what was they intended to establish on the traditional foundation? The first is about the epoch of the political regime of Tai-Won-Gun(大院君) against the social changes and modernized reform of education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second is about the contrast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modernized reform of education and the thought of the Sil-Hak. The fact that the modernized educational thought was brought out from the thought of educational reform deserves to be studied. The third is about the reseach of the modernized educational reform which dated from the thought of enlightened reform and the reorganized idea of the reformists and pursuit their works through the educational policy. To catch up the character of the modernized education of Korea, I investigated what they want to succed, what they want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of Korea. The reformist also stressed that the spread of new knowledge and adopt new method by accepting the advanced culture become the basement of promoting the national wealth and power, nevertheless ethics and morality stand still on the bottom of the idea of the refomists. One of the leading reformist Yu Kil-joon(兪吉濬) commented that the moral education is the first fundamental principle in lifelong education. Another leading reformist Park Young-hyo stressed that the basement of politics also rely on the westernized educational idea by learning the western technology and ethics,. This idea is equal to the intention of Sil-sim-sil-hak through the tradition of the thought of Buk-hak Coterie. The idea of the educational reform of the early reformists was not limited in the direction in comparing with the Moon-Myoung-Gai-wha idea of educational reform. Someone got succeeding the Sil-sim-sil-hak and introducing the modern knowledgy and the educational system mixed up with the concept from Dong-do-su-gi-ron(東道西器論). Sometimes it was spoken as an unfinished work in comparing with the modernized wastern educational methods. But I have emphasized that the feature of the modern idea of education of early reformists was not different from the major character of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 Even though the early reformists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moral sense abused as a means of a logical basement of the seclusionism, they issued the importance of introducing the technology & Virtues & Science to enlighten cultural reform in reality with emphasizing the moral excellence, employing knowledge and public welfare. The triangular position of the modernized education of Korea was never settled not by the external influences of the cultural reform of Japan but by succeeding the idea from the enlightened reformist group. The early reformist group emphasized that the distinction of rank and class and the discrimination of social status must be abolished, but they did not deny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Human Relations(人倫). The moral and ethics have a universal value that is induced from the historical process. Self-examination for Humanlike or Friendly Manner is the common value from the moral education presented by the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To pursuit the common value, the reformist took the moral and ethics to set up the new educational purposes. This research has following significance; Designing the though of the enlightened reform thought the Sil-sim-Sil-hak(實心實學) of Book-hak(北學), the reformists accepted the civilizational thought of education from Japan or West without a behind devotion. I could get at the truth that the maturation of education enabled the modern education to ripen through the above mentioned circumstan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 1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 3 3.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 9 Ⅱ. 초기 개화파 형성과 개화사상 ------------------------------------- 12 1. 초기 개화파의 형성 배경 ----------------------------------------- 12 가. 시대적 배경 --------------------------------------------------- 12 나. 사상적 배경 --------------------------------------------------- 24 2. 초기 개화파의 사상 형성과 개화사상 ------------------------------ 43 가. 박규수의 학문과 書齋敎育 -------------------------------------- 43 나. 박규수 문인의 성장과 개화사상 --------------------------------- 54 Ⅲ. 초기 개화파의 근대교육개혁론과 교육실천 ------------------------- 72 1. 초기 개화파의 근대교육개혁론 ------------------------------------ 72 가. 초기 개화파의 학문관 ------------------------------------------ 72 나. 초기 개화파의 교육에 대한 인식 -------------------------------- 83 다. 근대교육개혁론의 세 가지 방향 --------------------------------- 90 2. 초기개화파의 교육실천과 그 영향 ---------------------------------107 가. 초기 개화파의 교육실천과 원산학사 -----------------------------107 나. 고종의 교육정책과 근대 학교교육의 등장 ------------------------112 Ⅳ. 초기 개화파의 교육개혁론의 성격과 의의 --------------------------119 1. 교육개혁론의 특징 -----------------------------------------------119 가. 실심실학적 이해 -----------------------------------------------119 나. 후쿠자와의 문명개화론적 논의와의 비교 -------------------------129 2. 근대교육개혁론의 의의 -------------------------------------------143 가. 교육개혁론의 교육적 의의 --------------------------------------143 나. 근대교육개혁론의 교육사적 의의 --------------------------------146 Ⅴ. 결 론 --------------------------------------------------------151 1. 요 약 ----------------------------------------------------------151 2. 논 의 ----------------------------------------------------------154 參考文獻 ------------------------------------------------------------157 ABSTRACT ------------------------------------------------------------1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504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기개화파의 근대교육개혁론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