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종미-
dc.creator이종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01-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經濟水準과 食生活 향상의 영향으로 지방의 섭취가 날로 증가되어 일부 고소득층에서는 다량의 지방섭취경향을 보이고 있다. 식이지방은 생체내에 필수 지방산 공급과 고열량원이라는 役割외에 생체막 인지질의 필수 성분이고 혈청 지단백의 구성성분이며, Prostaglandin의 전구체로써 이의 合成에 직접 관여한다. 따라서 식이지방의 함량 및 구성 지방산의 balance차이는 이러한 物質 構成에 變化를 초래하는 要因이 되어 과다섭취시에는 Cocarcinogenicity효과와 비만증,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장질환, 간지방을 招來할 수 있고, 이러한 질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病에 대한 抵抗力이 약함은 잘 알려진 事實이다. 또한 이러한 질별 유발은 혈청의 지질 성분의 조성과 혈중지단백 농도 및 이의 분획 비율에 영향이 크다는 報告들이 있는 바 식이 지방의 종류와 양이 지방 대사와 면역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 보는 일이 필요하다. 이에 本硏究는 한국 특유의 식이 지방인 들기름과 한국에서 상용되는 동물성 지방인 라드, 동물성 지방이긴 하나 불포화도가 높아 식물성 지방과 유사하고 혈청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報告된 어유를 식이 지방으로 택해 지방 수준을 2%, 15%, 30% 세 수준으로 해서 이들 세 종류 지방의 수준 차이가 흰쥐의 체내 지방 대사와 면역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 보기 위하여 試圖되었다.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식이내 지방의 종류와 양을 달리했을 때 체중 증가는 식이 섭취량이 적었던 고지방군의 동물들이 식이 지방의 종류와 關係없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체내 축적되는 지방량을 알아보기 위한 epididymal fat pad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라드군이 들기름군이나 어유군보다 지방축적을 더 높여 주는 경향을 보여 체중 증가 경향과 달리 체내 지방축적은 식이 지방의 종류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냈다. 기타의 장기 무게는 체중 증가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혈청의 총지방 함량은 중성 지방과 함께 식이 섭취량이 많았던 저지방군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어유는 이와 반대 현상을 나타냈다. 혈청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라드군이 높고 어유군과 들기름군이 낮았으며 HDL의 농도는 고수준에서 들기름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간과 epididymal fat pad내의 지방함량과 중성지방의 함량은 라드군과 들기름군은 고수준이, 어유군은 저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콜레스테롤 함량은 식이내 지방종류와 관계없이 간내에서는 고지방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epididymal fat pad내에서는 어유군이 저지방군에서 높은 경향를 보였다. 3. 면역 반응의 結果는 PHA에 대한 反應이나 Con A에 대한 反應 모두 라드군과 어유군은 고수준에서 들기름군은 2%, 15% 수준에서 높은 反應 結果를 보였다. 특히 들기름군은 라드군이나 어유군보다 면역 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Plaque forming cell은 지방의 종류와 관계없이 고수준에서 높은 反應 結果를 보였고 IgG, IgA 모두 正常水準 範圍에 있었다. 이상의 結果를 綜合하여 볼 때 라드나 어유보다 들기름은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컸고, 15%이하의 지방 수준에서는 세포성 면역반응능력이 좋아서 심혈관계 질환이나 면역반응에 유익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혈청내 콜레스테롤 수준 저하와 면역능력을 올려주기 위해서는 지방의 수준이 높지 않아야 하고, 식이내 지방의 총량이 적을 때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 하리라고 본다.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study the effect of fat sources on the lipid metabolism and the immune function in young rats. These effects of fat sourc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lard, Perilla oil and fish oil. Three different levels of fat, 2%, 15% and 30%, on the weight basis, were also included. After feeding four weeks period, the rats were killed and anlaysed for the total lipid, T.G. and cholesterol contents in serum, liver and epididymal fat pad. The HDL fraction in serum was observed after the electrophoretic separation of lipoproteins. The immune responses were measured by the blastogenesis of spleen lymphocyte stimulated by PHA and ConA. Plaque forming response to S-RBC was also examined and levels of immunoglobulin in serum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First, therer were lower weight gain for all high fat (30%) groups, even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energy intakes.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gain in high level of fish oil group than in high level of perilla seed oil group and lard group.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s was higher in lard group than in perilla group and fish oil group, indicating that lard group was resulted in higher accumulation of body fat. Second, the contents of the total lipid, T.G.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erilla seed oil, lard and fish oil groups. Perilla seed oil group showed lowest level of total lipid and T.G. in serum regardless of dietary fat level. The feeding perilla seed oil or fish oil to rats was resulted in lower serum cholesterol levels than lard in all three levels of fats tested. The HDL fraction was elevated in perilla seed oil group at the high fat level. Third, the stimulating responses of lymphocytes by PHA did not seem to be influenced by different dietary fat sources. However, ConA mitogenic respon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erilla seed oil group. The lower level of perilla seed oil (2%, 15%) showed slightly higher response of ConA, indicating that lower level of perilla seed oil might have stimulatory response on the immune response. The number of antibody forming cells of spleen against SRBC was increased in 30% fat level for all three kind of fats. However, no effect has been found in plaque forming response by the differences in dietary fat sourc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IgG and IgA levels in all dieary grou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I. 서론 -------------------------------------------------------------- 1 II. 실험계획 --------------------------------------------------------- 3 III. 실험재료 및 방법 ------------------------------------------------ 5 A. 실험동물의 사육 -------------------------------------------------- 5 B. 실험동물의 식이 -------------------------------------------------- 5 C. 식이 섭취량 ------------------------------------------------------ 6 D. 체중 ------------------------------------------------------------- 6 E. 식이의 효율과 열량의 효율 ---------------------------------------- 6 F. 변의 채취 -------------------------------------------------------- 6 G. 각종 장기와 혈액의 채취 ------------------------------------------ 11 H. 식이내 지방산 분석 ----------------------------------------------- 11 I. 각종 장기, 변 및 혈청의 생화학적 분석 ---------------------------- 12 J. 면역기능 실험 ---------------------------------------------------- 13 K. 통계 처리 -------------------------------------------------------- 15 IV. 실험 결과 -------------------------------------------------------- 16 A. 실험시 사용된 흰쥐의 성장 및 면역반응 측정 결과 ------------------ 16 B. 실험기간 동안의 실험 결과 ---------------------------------------- 16 1. 체중 변화와 식이섭취 및 장기의 무게 ----------------------------- 16 1) 체중 증가량 ---------------------------------------------------- 16 2) 평균 식이 섭취량 및 그 효율 ------------------------------------ 19 3) 장기 및 epididymal fat pad의 무게 ------------------------------ 21 4) 지방의 배설과 흡수 --------------------------------------------- 24 2. 체내 지방 대사에 미치는 영향 ------------------------------------ 24 1) 혈청내 지방 함량 ----------------------------------------------- 24 2) 혈청내 지당백의 구성비율 --------------------------------------- 28 3) 간 조직내 지방량 ----------------------------------------------- 28 4) Epididymal fat pad내 지방량 ------------------------------------ 31 3.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 33 V. 고찰 -------------------------------------------------------------- 37 IV. 결론 ------------------------------------------------------------- 43 참고문헌 ------------------------------------------------------------- 45 영문초록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495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식이내 지방종류와 수준차이가 흰쥐의 체내 지방대사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