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대도시 저소득층 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itle
대도시 저소득층 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uthors
이연승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n Analytical Survey of Home-Visiting Program for Infants And Toddlers in Urban Poverty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of infants and toddlers home visiting-parent education program model for low-income family. To achieve this purpose, it was surveyed mothers’ need for home visiting program, and tested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ther’s experiences for parent education. First, most of mothers rarely had regular parent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Second, mothers had often got in trouble with children’s sequence, disobedience, and dangerous environment. 2. The mother’s present state recognition and need for child education and caregiving. All of subdomain for child education and caregiving-desirable parenting attitude, desirable habit, selection of books and toys, child health and safety, guidance method as to developmental areas, making teaching materials, and child development knowled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sent state and need. 3. The present state recognition and need as to the variables. First, it was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esent state recognition of emotional areas guidance by child’s sex. In other words, it is regarded that mothers pay more attention to girl’s emotional development. Second it was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esent state recognition in the area of desirable living habit, knowledge for language development, and need of knowledge for cognitive development as to child’s age. Third, it was appeared significantly meaningful in present state in recognition and need for desirable parenting attitude, and it was also appeared significant in need for selection of toys and books, child and health safety and knowledge for cognition, languag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s to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It was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esent state recognition for desirable living habit, knowledge for physical development. And it also different in need for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al knowledge as to mother’s age. Fifth, i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esent state recognition for emotional development guiding method as to mother’s job. That is to say, working mothers recognized themselves that they conduct well for their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4. Opinions for home-based parent eucation program. First, above 66% parents want to participate home based program. Second, parents had positive responses about home visiting. Third, most of mothers want professionals than para-professionals as a home visitor. Forth, 42.7% mothers want home visit once a month, and 28.1% want twice a month. Fifth, 53.9% mothers want home visit in the afternoon, especially between 2:00 ? 4:00 o’clock. Sixth, 62.9% mothers think that one hour is enough for parent education for every visit. 5. Differences for developmental scale index in low-income family child and comparative group. It wa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developmental areas ? comunication skill, academic ability, physical ability, self-help skills and social skills. First, low-income family child significantly retarded than middle-income family child in comunication skill. Second, low-income family child significantly retarded than middle-income family child in academic ability. Third, low-income family child significantly retarded than middle-income family child in physical ability. Forth, low-income family child significantly retarded than middle-income family in self-help skill. And finally, low-income family child significantly retarded than middle-income family child in social skill. 6. Developmental level differences as to variables. The data was analyzed in order to in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s to child’s sex, parent educational background, parent age and family member.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variables. Based on these outcomes, the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needed that the socio-ecological intervention in order to cope with poverty such as home visiting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low-income family mother and public support for children’s safety. Second The home visit program should include desirable parenting attitude, every day habit, selection of toys and books, child’s health and safety, guiding method for developmental areas, and knowledge for child development. Third The program should include androgynous sex role for mothers who has sex stereotyping concept. Forth It is recommended that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hen developing the program. Fifth The qualitative interaction method should be reflected for home visit program of working mother. Sixth Advanced to program model developing and practicing, mother take regard homevisitor as horizantal relationship. Home visitor should have indepth understanding for low-income families; that is low class culture, and low-income of the family. Seventh The frequency of home visiting time will be rearranged by mother’s need and evaluation. Eight The visiting time will be proper 2:00 ? 4:00 in the afternoon of the day, but have flexibility by the receipients. The educating duration persist will be proper for one hour, but have flexibility by the receipients. Nineth The goals for home visit program should be focused on whole-child development and social and cognitive preparation for the future school experience for children. Meantime it take mothers’ need also to develop parenting skill and increasing positive self-esteem.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저소득층 가정의 영아기 후기에 있는 유아(18개월에서 36개월)를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어머니들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사회조사 방법에 의해 분석하는 한편, 저소득층 가정 유아들의 발달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함으로서 얻은 결과는 6가지 분야로 정리할 수 있다. 1. 부모교육에 관한 어머니들의 경험 첫째, 어머니들은 자녀를 교육하고 양육할 때 시부모나 친정부모의 조언을 가장 많이 참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정기적이고 계획적인 부모교육 또는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들은 자녀를 양육하면서 어려웠던 점으로는 “아이가 아플 때”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그다 음으로는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을 때”, “위험한 주위환경” 그리고 경제적 이유로 아이에게 잘 해주지 못할 때”에 많은 응답을 보인 사실은 저소득층 가정이 낮은 수입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나타나기 마련인 열악한 주거환경과 생활조건을 갖고 있음을 단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2.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및 양육에 대한 상황인식과 요구정도 자녀교육과 양육에 대한 모든 하위영역(바람직한 양육태도, 바람직한 생활습관, 책과 놀이감의 올바른 선택, 유아의 건강과 안전, 발달영역별 지도방법, 교구의 제작 그리고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에서 현재상황에 대한 인식과 는 크게 달리 높은 요구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즉 어머니들은 자녀교육 및 양육 전반에 있어서 현재상황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았지만, 요구는 보다 높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배경변인에 다른 자녀교육 및 양육의 현재상황인식 및 요구정도 첫째, 유아의 성별에 다른 차이로는 “정서발달에 대한 지도방법”의 현재상황인식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을 뿐이다. 즉 어머니들이 자녀가 여아일 경유에는 남아일 때보다 정서발달에 대한 지도를 잘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어머니들이 여아의 정서발달에 좀 더 치중하고 있는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는 “바람직한 생활습관”의 현재상황인식, “인지발달에 대한 지도방법”의 요구정도 그리고 “언어발달에 대한 지식”의 현재상황인식등 세가지 측면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들은 어머니의 연령과 마찬가지로 유아의 연령이 높아지거나 혹은 낮아짐에 다라 불규칙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부모의 학력에 따른 차이로는 “바람직한 양육태도”의 현재상황인식과 요구정도, “책과 놀이감의 올바른 선택”의 현재상황인식, “유아의 건강과 안전”의 현재상황인식, 그리고 “인지, 언어, 사회, 신체발달에 대한 지식”의 현재상황인식 등 11개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대체로 부모의 학력이 높은 경우가 학력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특히 요구정도보다 현재상황인식에서 학력에 따른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차이로는 “바람직한 생활습관”의 현재상황인식,”인지 및 사회성발달에 대한 지식”의 요구정도, 신체발달에 대한 지식”의 현재상황인식 그리고 “사회성발달에 대한 지식”의 요구정도 등의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혹은 연령이 낮아짐에 따라 일치적인 차이가 아닌 불규칙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다른 차이로는 “정서발달에 대한 지도방법”의 현재상황인식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직업을 갖고 있는 어머니들이 직업이 없는 어머니들마다 유아들의 정서발달에 대한 지도를 잘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정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방법에 대한 의견 첫째, 가정중심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66%이상이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어머니들은 그 이유로 “시간의 여유가 없다”와 부담스럽다”에 80%이상을 응답하고 있었다. 이러한 어머니들에게는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먼저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가정방문자가 교육을 위해 각 가정을 방문하는것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가정방문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가정에서 어머니들을 가르칠 가정 방문자로 유사전문가보다는 전문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방문의 횟수에 대해서는 어머니들의 42.7%가 월 1회 28.1%가 월 2회를 원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 월 1회 이상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가정방문 시기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53.9%가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를 가장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가정방문시 1회 교육시간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2.9%가 1시간이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5.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의 전체발달지수에 대한 차이 저소득층 집단과 비교집단인 중류층 유아간의 유아발달지수는 5개 영역(의사소통능력, 지적능력, 신체적능력, 자조성능력, 그리고 사회성 능력)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간의 발달지수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5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저소득층 유아들의 의사소통능력이 중류층 유아들에 비해 지연되어 있었다. 둘째,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간의 지적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즉 저소득층 유아들의 지적 능력이 중류층 유아들에 비해 지연되어 있었다. 셋째, 저소득층 유아들의 신체적 능력은 중류층 유아들 보다 의미있게 뒤떨어져 있었다. 넷째, 저소득층 유아들은 중류층 유아들보다 자조성 능력이 지연되어 있었다. 다섯째, 저소득층 유아는 사회성 능력에 중류층 유아보다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6. 배경변인에 따른 저소득층 유아의 발달 수준 차이 저소득층 유아의 발달수준이 유아의 성별, 부모의 학력, 부모의 연령, 가족수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변량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배경변인에 다른 발달수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와 이미 타당성있게 받아들여진 원칙과 이론들을 종합하면, 한국 대도시 저소득층 유아(18~36개월)들을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저소득층 가정의 어머니들에게는 직업교육을 실시하거나 보조교사 또는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가정방문자로 고용하는 등 가난의 악순환을 극복할 수 있는 사회생태학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유아들을 위한 안전한 놀이시설에 대한 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저소득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과 양육에 대한 현재상황인식과 요구정도 조사결과 어머니들은 자녀양육 및 교육전반에 걸쳐 현재상황에 대한 인식수준은 낮은 반면, 요구는 실현성없이 높게 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은 바람직한 양육태도, 바람직한 생활습관, 책과 놀이감의 선택, 유아의 건강과 안전, 발달영역별 지도방법, 그리고 아동발달에 대한 구체적이며 현실성 있는 이해를 위한 자식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어머니들은 자녀양육시 나마보다는 여아에게 좀 더 정서적인 양육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어머니들이 남아와 여아에게 기대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그러므로 가정방문 프로그램에서는 성에 대한 고정적인(stereotype) 개념보다는 적극적이며 현대사회에 보다 적합한 양성적(androgynous)역할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같은 저소득층이라도 학력이 높은 어머니들이 학력이 낮은 어머니들보다 자녀에 대한 교육 및 양육을 잘 실행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난 점은 가정방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할 대 어머니들의 교육수준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하게 준비하여야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직업을 가진 어머니들은 직업이 없는 어머니들보다 자녀의 정서발달에 좀 더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직업을 가진 어머니들이 직장생활 때문에 자녀에게 소홀할 지 모른다는 우려에서 나타난 반작용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직업을 가진 어머니들을 위해서는 질적인 상호작용에 치중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된다. 여섯째, 어머니들은 가정방문자로 전문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가 전담할 수 없는 현실적 제약이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초기에는 전무가가 담당하고 그 후에는 유사전문가로 대체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어머니들이 가정방문자로서 전문가를 원하는 것은 전문가로부터 무엇인가를 배우고 싶은 욕구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의 모형개발이나 실시에 앞서 어머니들에게 가정방문자와 부모는 가르치고 배우는 수직적 관계가 아닌, 동등한 관계임을 인식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대상인 부모와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전문가를 가정방문자로 사용하려면 우선 가정방문자들이 빈곤계층의 사회, 경제, 문화적 상황, 그리고 저소득층 가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Gordon 프로그램과 HIPPY 프로그램 등은 가정방문과 함께 부모집단모임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보고 있으므로 프로그램 실시 이후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부모집단모임의 실시여부에 대해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어머니들은 월1~2회의 가정방문을 하는 것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전의 많은 가정방문 프로그램에서는 월1회 도는 2회의 가정방문으로는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하여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주 1회 혹은 2회의 가정방문을 실시하면서 혹은 실시 후에 나타난 어머니들의 요구 및 평가결과에 다라 다시 조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여덟째, 가정방문의 시기는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방문자의 수적인 한계를 고려할 대 시간의 차이를 두고 가정방문을 계획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피하다. 또한 어머니들의 요구가 오후2시에서 4시사이에 집중되어 있기는 하나, 어머니 개인의 사정과 시간에 따른 융통성있는 가정방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홉째, 가정방문시 1회 교육시간에 대해서 어머니들은 1시간에 가장 많은 응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evenstein,. Gordon, HIPPY 혹은 HATAF 프로그램들은 1회의 가정방문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통 1시간에서 1시간 30분정도로 정하고 있으나 어머니의 사정에 따라 융통성있게 실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저소득층 어머니들의 개인적인 입장이 고려되어 융통성있게 실행되어져야 헐 것이다. 열째,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의 발달수준검사의 결과를 보면, 저소득층 유아는 중류층 유아와 비교해 볼 때 의사소통능력, 지적능력, 신체적능력, 자조성능력 그리고 사회성능력 등 모든 영역에서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저소득층 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프로그램을 다르기 보다는 저소득층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미래의 학교 경험에 대비해 지적, 사회적으로 준비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어머니들이 자녀양육기술 및 정보에 낮은 실행도를 보인 반면 요구정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어 어머니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목표는 자녀양육기술의 발달과 긍정적 자아개념의 증진에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위와 같은 결론에 기초하여 볼 때,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행방법에 대해서는 심층적인 기초연구가 보다 많이 수행되어야 하겠다. 특히 유아의 연령 및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어머니들은 자녀교육 및 양육의 현재상황인식 및 요구정도에 대해 매우 불규칙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유아의 연령 및 어머니의 연령을 참고한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한 가정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위한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시내 일부지역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 및 유아에 기초한 것이다.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개발은 각 지역의 사회생태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