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이이의 주기철학에 나타난 교육사상

Title
이이의 주기철학에 나타난 교육사상
Authors
장선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栗谷 李珥의 主氣哲學에 함축된 교육사상과 명시적으로 언급된 교육론을 상호 관련지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속에서 근대 교육의 자생적 발전 연원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모색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한국 교육사상의 내적 繼起性을 체계화시켜, 한국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제기되는 교육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을 우리 민족의 사상적 흐름 속에서 찾으려는 노력이다. 이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이 교육사상이 형성된 시대적, 사상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이가 살았던 16세기의 조선은 정치, 경제 그리고 국방이 매우 불안한 시기였지만, 폐법과 잘못된 제도의 개혁을 통하여 민생과 국력을 회복할 수 있었던 시기였다. 이이는 주희의 성리학, 이황의 主理的 理氣論 그리고 서경덕의 氣哲學을 비판 종합하여 보다 실재론적인 主氣論을 형성하였다. 둘째, 이이의 主氣哲學의 기본 토대인 主氣的 理氣論을 고찰하였다. 이이는 변화, 생성의 본질인 理를 無形無爲한 것으로, 변화 생성의 에너지인 氣를 有形有爲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理와 氣의 개념으로 이이는 존재하는 것은 모두 有爲한 氣에 無爲한 理가 편승하여 발현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이는 理와 氣가 각자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도 처음부터 渾然된 상태에서 만물을 생성 변화시키게 된다는 理氣之妙說을 통하여, 理와 氣, 자연과 인간, 이념과 현실, 利害와 義理 등을 中和시킨 존재론을 전개하였다. 셋째, 이이가 제시한 主氣的 인간론, 인식론, 사회론에 함축된 교육사상과 명시적 교육론을 관련지어 이이의 교육사상을 분석하였다. 인간을 氣質性만을 가진 존재로 보는 主氣的 인간관과 기질을 변화시켜 本然性을 회복해야 한다는 이이의 주장에서, 인간은 누구나 기질의 차이에 관계없이 교육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교육이 가능한 존재라는 평등적 교육 인간론을 살펴보았다. 마음이 사물의 理를 궁구함으로써 眞知를 인식할 수 있다는 主氣的 인식론에 함축된 감각적 경험적 요소와 氣를 다스리는 공부방법, 인식 지평을 넓히는 窮理 공부론을 연결시켜 이이 교육 방법론의 경험성과 실증성을 밝혔다. 그리고 安民과 常經의 道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時宜에 적합한 법과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는 진보적 사회관과 인재 양성을 위한 학교 교육 제도, 과거제도, 교사 선발 제도의 개선, 교육과 경제와의 관계 및 향약 등을 관련지어 이이 교육론의 체계성과 中和性을 고찰하였다. 넷째, 앞에서 살펴본 교육사상에 근거하여 이이 교육사상의 특징과 그것의 근대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이 교육사상의 특징을 교육 평등사상, 교육의 체계성, 교육의 실용성 그리고 교육의 中和性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이이 교육사상이 갖는 근대성의 의미를 교육사상사적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이이의 교육사상의 근대성은 실학사상의 비조로서 그리고 근대 교육사상의 시원으로서 우리 민족의 자생적 근대성의 연원을 깊게 해준 것임을 논의하였다. 이이의 교육사상은 도구이성과 가치이성의 균형을 요구하는 현대 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This study focuses on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ducational idea appeared in LeeIh s(李珥) Ju-Ki(The primacy of Ki) philosophy(主氣哲學).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progressive and rational features of LeeIh s educational idea, and to trace the possibility of self-generating and autonomous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al ideas in Korea s educational history. This is a part of strenuous efforts to systematize the inner momentum of the ideological development of our nation and to find out the solution of the educational problem brought up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society. The reason to choose LeeIh s idea as the theme of this study is that his idea is not only the progenitor of practical science[Silhak Idea: 實學] including the self-generating modern thought, but also the modern and rational educational theory to educate and to discipline the young to live upright lives in order to realize the way to establish an ideal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llowings. First, it reviews the formation of LeeIh s educational theory in light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his time. The 16th century s Chosun society[朝鮮], a Confucious feudal one pursuing ideal politics, was unstable in politics, economy, and national security. Therefore, the society needed to recover national power and stability to solve these challenges. LeeIh s philosophy during this era was influenced by Chushi s[朱熹] Confucianism of China Suh Kyung Duck s[徐敬德] Ki philosophy and Lee Whang s[李滉] Ju-Li theory( the primacy of Li: 主理論)) of Korea. The writer examines that LeeIh accepted those philosopher s ideas critically, and that he used their ideas as a major foundation to formulate his unique Ju-Ki theory. Second, the study analyzes Ju-Ki theory, LeeIh s ontology. LeeIh s found that the nature of formlessness and inactivity of Li and the form and activity of materialistic Ki was mixed mysteriously. He explained the principle of this phenomenon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s of Li-Tong-Ki-Guk[理通氣局] and Ki-Bal-Li-Sung[氣發理乘]. LeeIh advocates Li-Ki-Zi-Myo[理氣之妙] which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both Li and Ki, but not separating each other in which they function to create and transform all things. LeeIh also found that the Ki is always associated with Li; therefore, through transforming Ki all aspects can be rational. All these things leads to the practical philosophy. Third, the writer studies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LeeIh s educational ideas. The humanism based on Ju-Ki-theory which stems from the principal of combination of Ki and Li, leads to the educational philosophy featuring temper transformation. The writer realizes that the more rational estemology becomes the theoretical backbone for "strenuous effort" which can be obtained from training the body and mind, reading Greating Book[四書三經] and executing knowledge. The writer observes the essence of LeeIh s educational idea and its meaning based on social environment and ideology at his time. The essence of LeeIh s educational idea emphasizes the neutralization of confucious humanistic morality and present-realistic problems. Fourth, in this study the features of LeeIh s educational idea are summarized as the equalization, the systematization, the practicability, and the neutralization of education becomes the practical science stressing the reality. The practical science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n ideological basis for our nation s modernization. And it contributes to formulate our inherent ideology. Accordingly, LeeIh s educational ideas are significant, though his ideas were hardly practiced because of social consequences at that time. The modern essence of his educational idea becomes the founder of the practical philosophy after his death. Taking it into thought of materialistic and physical needs beyond time and space, LeeIh s educational idea pursued the cultivation of morality. Such ideas are important, for they introduce the direction of Korea s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the present and the future. Our society needs those ideas because the education of the moral practice of human is being weakened, while the objective and scientific knowledge becomes significant more and more each d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