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준-
dc.creator김정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2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발달적 도덕교육 접근방법 중의 하나인 가설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과정을 소개하고, 유아의 도덕적 추론 진보에 미치는 토의의 효과를 밝힘으로 교사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잇는 적합한 도덕교육 자료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가설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가 분배정의 추론의 진보에 미치는 효과는 유아의 토의참여 여부와 성별, 그리고 참여 여부와 성별에 의한 상화작용 효과가 있는가? 가설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에 참여한 유아들의 토의 양상은 어떻게 전개되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Y 유치원의 5세아 남녀 12명씩 총 24명이었다. 연구자는 실험집단 12명의 유아를 두 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한 주에 한 번씩 10주동안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에 참여하게 하였다. 연구절차는 유아의 분배정의 추론 수준을 알아 보기 위한 사전검사, 10주간의 처치(토의), 그리고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가설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를 위해 사용된 이야기 그림자료로서, 이는 연구자가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극화 제작한 것이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아들의 도덕 추론 수준을 측정하기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Damon의 사회 도덕성 면접(Social/moral interviews for young children)중에서 분배정의 추론 검사를 연구자가 수정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인 통제를 위해 교정 평균값을 구하고 사전검사 점수를 매개 변인으로 공분산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녹음된 토의 내용은 10회 토의중 1차, 4차, 7차, 10차 4회분의 토의 사본을 작성하여 질적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토의사본에 나타난 교사와 유아의 발화수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토의가 거듭되면서 나타나는 변화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에 참여한 유아들은 토의에 참여하지 않은 유아들보다 분배정의 추론의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분배정의 추론의 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 여부와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도 없었다. 유아들은 토의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추론을 이야기하고 추론을 정당화 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교사는 토의를 유도하고 지속하기 위해 문제를 명료히하고, 토의를 유도하고, 갈등상태와 논쟁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개입하였다. 이러한 개입은 가치로운 토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의가 진행될수록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A major concern in the area of moral education is whether or not procedures exist that can effectively raise the development of mature moral reasoning in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the moral discussion on children level of moral reasoning. To meet this purpose, six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I. What is the effect of moral discussion on children’s level of moral reasoning.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ussion group (experimental group) in their level of positive justice reasoning in comparison with the non-discussion group (control group)?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evel of positive justice reasoning in regard to the variable of sex?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evel of positive justice reasoning in regard to the variable of group, sex, and jointly? II. What is the moral discussion mode? 1. What is the childrens moral reasoning progress? 2. What is the teacher’s intervention? 3. What is the child-child interaction? The children in private Y kindergarten in Seoul, chos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 neighborhood of upper-middle class. Twenty four children( 12 boys and 12 gir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one of the Y kindergarten classes. Twelve experimental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en-weeks discussion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procedure were pre-test, moral discussion on dilemma situation for 10 stories, and post-test. The pre and post test interviews for the positive justice reasoning were tape-recorded. Te children’s responses were rated by the two trained rators. The rated data were analyzed by adjusted mean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statistical control. The discussion procedures were video and audio tape recorded. The moral discussions on 4 dilemma situation were transcripted, and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zing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 The moral discussion on dilemma situation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facilitate childrens moral reasoning. 1. The moral discussion on dilemma situation significantly raised the experimental subjects’ positive justice level to compare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level of moral reasoning in regard to the variable of sexe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 to the variable of group and sex, jointly. II.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howed more capable of in-depth moral discussion with the teacher’s intervention. 1. Children’s moral reasoning and discussion skill improved over the ten-weeks discussion period. 2. Teacher’s interventions were needed to initiate the discussion, lead to discussion, clarifying and refocusing on the dilemma. 3. Child-child interactions were increased over the ten-weeks discussion period. Children could talk about their moral reasonings, agreeable pionts, debates each other, and justify their reason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7 II. 이론적 배경 ------------------------------------------------------ 8 A. 유아의 도덕성에 대한 인지발달적 관점 ----------------------------- 8 B. 가설적 갈등상황 토의의 인지발달적 접근 --------------------------- 30 C. 가설적 갈등상황 토의가 도덕적 추론발달에 미치는 효과 ------------- 39 III. 연구 방법 ------------------------------------------------------- 49 A. 연구 대상 -------------------------------------------------------- 49 B. 연구 도구 및 측정도구 -------------------------------------------- 50 C. 연구 절차 -------------------------------------------------------- 57 D. 연구 가설 -------------------------------------------------------- 62 IV. 결과 및 해석 ----------------------------------------------------- 63 A. 분배정의 추론에 미치는 토의의 효과 ------------------------------- 64 B. 토의의 전개 양상 ------------------------------------------------- 77 V. 논의, 결론 및 제언 ------------------------------------------------ 99 A. 논의 ------------------------------------------------------------- 99 B. 결론 및 제언 -----------------------------------------------------103 참고문헌 -------------------------------------------------------------107 부 록 -------------------------------------------------------------120 부록I. 교사 설문지 부록II. 연구 도구 - 가설적 갈등상황 이야기 자료 부록III. 검사도구 부록IV. 유아의 분배정의 추론양상 부록V. 토의사본( 1차, 4차, 7차, 10차 ) 영문초록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80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설적 갈등상황의 토의가 유아의 도덕적 추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분배 정의 추론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