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정혜승-
dc.creator정혜승-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8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8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습형태, 자기주도성, 과제가치 인식수준이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형태(집합교육, e-Learning, blended learning) × 자기주도성 수준(높음, 낮음)’, ‘학습형태(집합교육, e-Learning, blended learning) × 과제가치 인식 수준(높음, 낮음)’ 의 3 × 2 요인설계를 갖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높음, 낮음)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2. 학습자의 과제가치 인식 수준(높음, 낮음)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 학습형태(집합교육, e-Learning, blended learning)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4. 학습형태와 자기주도성 수준 간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있어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5. 학습형태와 과제가치 인식 수준 간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있어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집합교육, e-Learning, blended learning형태의 세 가지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학습의 질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세 가지 교육 프로그램 모두 동일한 내용과 교수전략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위해 동일한 교수자와 교수설계자가 참여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인 K사의 ‘비즈 파워 리더’ 과정은 중간관리자를 학습대상으로 하였으며, 마케팅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관리자로서의 리더십을 향상을 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집합교육 과정은 총4박 5일 (30시간)의 오프라인 학습으로 구성되었고, e-Learning 과정은 총 30차시의 온라인 학습으로 구성되었으며, blended learning 과정은 온라인 학습(20시간)과 오프라인 학습(1박 2일, 10시간)의 혼합형태로 구성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완료된 후 ‘비즈 파워 리더’ 과정을 수강하는 중간 관리자급의 학습자 24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각각 80명씩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집단에게 집합교육, e-Learning, blended learning 형태로 진행되는 ‘비즈 파워 리더’ 과정을 처치하였다. 세 집단 모두에게 학습에 들어가기 전 자기주도성 검사와 과제가치 검사를, 학습을 마친 후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자기주도성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성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제가치 인식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형태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학습만족도의 경우 e-Learning 보다는 집합교육에서, 집합교육 보다는 blended leaning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학업성취도의 경우 e-Learning 보다는 집합교육에서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았지만, 집합교육과 blended learning, e-Learning과 blended learning 집단 간 학업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학습형태와 자기주도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습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학업성취도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기주도성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e-Learning보다는 집합교육과 blended learning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집합교육과 blended learning간에는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다. 반면, 자기주도성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집합교육보다는 e-Learning에서, e-Learning보다는 blended learning 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형태와 과제가치 인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습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학업성취도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e-Learning보다는 집합교육과 blended learning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집합교육과 blended learning간에는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다. 반면,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집합교육보다는 e-Learning에서, e-Learning보다는 blended learning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과제가치 인식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주도성 또는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높은 학습자는 교사 주도형인 집합교육보다는 학습자 주도형인e-Learning형태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았으며, 집합교육과 e-Learning의 혼합형태인 blended learning형태에서 학습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자기주도성 또는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낮은 학습자는 학습자 주도형인 e-Learning 보다는 교사주도형인 집합교육 또는 blended learning 형태의 학습에서 보다 높은 학습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과제가치 인식 수준을 고려할 때, 집합교육 또는 e-Learning의 단일 형태로만 진행되는 교육방식에 비해 집합교육과 e-Learning의 혼합형태인 blended learning 교육과정이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기존의 집합교육과 e-Learning이 자기주도성 또는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높거나 낮은 특정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이었던 것에 비해, blended learning은 자기주도성 또는 과제가치 인식 수준이 낮거나 높은 학습자 모두에게 학습만족도 측면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influ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types, learners’ self-directedness, task value.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ers’ self-directedness level (high, low)?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ers’ task value level (high, low)?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s(offline learning, e-Learning, blended learning)? 4.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learning types and self-directedness? 5.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learning types and task value? For these questions, three types of learning courses(offline learning, e-Learning, blended learning) were developed for the same learning contents. Then, the three types of learning were applied to three 80-person groups to conduct the total 30-hour learning. Before entering each learning course, all of the three groups were examined for self-directedness and task value. After finishing it, they were examined for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low were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 First, both of the high and low self-directedness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ach type of learning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both of the high and low task valu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ach type of learning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y each type of learning was significant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th, ‘the type of learning × self-directedness’ were found to have the interaction effects only in terms of learning satisfaction. Fifth, ‘the type of learning × task value’ were found to have the interaction effects only in terms of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wo implications are suggested : First, for the choice of types learners’ self-directedness and task value level is need to be considered. If the type of learning differentiated by learners’ self-directedness and task value level is applied, learning satisfaction is influenced. Therefore, for the learners who have high self-directedness or task value the type of e-Learning will be more effective, and blended learning combining offline learning with e-Learning will be the most effective. But for the learners who have low self-directedness or task value the type of offline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will be more effective than e-Learning. Second, for increasing learning satisfaction, blend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offline learning and e-Learning courses in single delivery mode itself.-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5 Ⅰ. 서론 = 8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8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11 C. 용어의 정의 = 12 Ⅱ. 이론적 배경 = 15 A. 자기주도성 = 15 1. 자기주도성의 개념 = 15 2. 자기주도성의 의의 = 18 3.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 20 4.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교수방법 = 23 B. 과제가치 = 25 1. 과제가치의 개념 = 25 2. 과제가치의 의의 = 26 C. Blended Learning = 28 1. Blended Learning의 개념 = 28 2. 기업교육의 발전단계 = 31 3. Blended Learning의 특성 및 기대효과 = 35 D. 선행연구 = 37 1.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37 2. 학습자의 과제가치 수준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39 3. Blended Learning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45 A. 연구 대상 = 45 1. 교육 프로그램 = 45 2. 연구 대상자 = 49 B. 연구 설계 및 연구 도구 = 50 1. 연구 설계 = 50 2. 연구 도구 = 51 C. 연구 절차 = 56 D. 자료분석방법 = 56 IV. 연구결과 및 해석 = 59 A.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결과분석 = 59 B. 실험 결과 = 61 Ⅴ. 결론 및 제언 = 72 A. 결론 및 논의 = 72 B. 시사점 = 76 C.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 77 참고문헌 = 79 부록 = 87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30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기업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 과제가치, 학습형태(집합교육, e-Learning, Blended Learning)가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elf-Directedness, Task Value, and Learning Type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Jung, Hye-Seung-
dc.format.pageⅷ,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