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숙향-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creator김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6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10-
dc.description.abstract장애학생이 졸업 이후 지역사회 내에 통합되어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독립적이며 또한 상호의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은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지역사회 내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의 시간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능력이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들의 경우 인지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길을 찾아 목적지까지 이동하며 그와 더불어 필요한 시간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위의 두 가지 능력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장면에서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하는 기술이기에 필요한 모든 상황을 직접 지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제한성을 보완하는 도구로써 스마트폰을 활용하며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 지하철을 이용하여 길을 찾고 도착 시간을 예측하는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이며 대상학생은 중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세 명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지하철을 이용한 길 찾기 과제 수행 능력이 향상되며 중재 종료 후 2주 후와 4주 후에도 유지되는가와 더불어 다른 도시에서도 일반화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길 찾기로 과제 수행 시 필요한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 또한 향상시키며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 되고 중재 종료 후 2주와 4주 후에도 유지 되는지를 함께 알아보았다. 중재는 과제수행 관찰, 실외 중재, 실내 중재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상학생이 과제분석 단계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는 도중 채점 기준에 의하여 오반응을 나타내는 단계에서는 관찰을 중단하고 과제분석의 마지막 단계까지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실외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그 후 동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실내 중재를 실시하였다. 길 찾기 과제 수행의 경우 낯선 장소에서 제시되는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철을 이용하였으며 환승이 필요 없는 지하철을 이용하기, 환승이 한 번 필요한 지하철을 이용하기, 환승이 두 번 필요한 지하철을 이용하기 등 총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도착시간 예측하기의 경우 자신이 이용한 경로를 결정한 직후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대답하기, 정해진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지 여부 판단하기 등 총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각 단계의 수행이 일정한 기준에 도달하였을 때, 관찰자가 동행하지 않는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길 찾기를 수행하는 능력과 전화로 도착 예정 시간을 묻는 상대에게 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였다. 유지 검사는 중재를 마무리 한 후 2주와 4주 후에 실시되었으며, 일반화는 수도권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지하철 노선을 보유하고 있는 부산 지역에서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의 지하철을 이용한 길 찾기 과제 수행률을 증가시켰다. 둘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통하여 학습한 지적장애 학생의 지하철을 이용한 길 찾기 과제 수행률은 중재 종료 후 2주와 4주 후에도 유지가 되었다. 셋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통하여 학습한 지적장애 학생의 지하철을 이용한 길 찾기 과제 수행률은 다른 도시에서도 일반화 되었다. 넷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의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을 향상시켰다. 다섯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통하여 습득한 지적장애 학생의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은 중재 종료 후 2주와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여섯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통하여 습득한 지적장애 학생의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은 다른 상황과 장소에서도 일반화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길 찾기 과제 수행 능력과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유지와 일반화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길 찾기 과제 수행 능력 향상 및 유지, 일반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길 찾기 기술이 갖는 사회적 타당도, 스마트폰의 이용, 문제해결 전략 교수의 효과, 집중적이고 높은 강도의 중재, 이동수단으로 선택한 지하철이 갖고 있는 특성 등으로 논의되었다.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은 길 찾기 과제 수행과 비교하여 적은 향상이 있었는데 도착 시간 예측을 목적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것, 길 찾기 과제 수행에 비해 자연적인 강화의 요소가 적었던 것, 대학학생들이 제한적인 수학적 개념을 갖고 있었던 것 등이 그 요인으로 논의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길 찾기 수행 능력 및 시간 관리에 대한 필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대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장애를 갖고 있는 개인의 필요를 중심으로 일상생활 전반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제공하며 그들의 독립성 증진과 의존성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is to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integrated into communities where they belong and to teach them how to live interdependently as well as an independent citizen after graduation. Mobility and time managing abiliti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ir own daily life in community. However it’s difficult for them to find their way in support of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public transport system and to estimate arrival time because they are not good at collecting and using relevant information due to limited cognitive abilities. Given that mobility and time-management are needed to be applied appropriately for various daily situations,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t could be used flexibly for various situations are effective ways to promote these abilities along with technology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eful information to solve and complement their own limitation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oblem solving strategies with using a smart phone has help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d their ways to reach destination by subway and estimate arrival time. A general smart phone was used for this study such as Apple’s i-phone 3GS and its public applications which were already commercialized and available in the App stor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applied for this study with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ree parts: observation of performance, outdoor and indoor training. In terms of performance, the students conducted assignments according to the task analyzing steps. When students made the wrong response in a certain step, the observations stopped and outdoor training was applied in order for them to experience all task analyzing steps until the end. Indoor training was next and conducted by using video materials. The training areas where students need for school/recreation activities and family/friends relationships were decided by interviews with them, their peers and family members. Within these areas, they were asked to find the ways at one random sampling point to another point by the subways and to predict the arrival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 solving strategies using a smart phone was effective to promote mobility and time-manag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nvestigate if the effects of the study were generalized in different cities, generalization was tested in Busan. Maintenance of the effects was also checked two and four weeks later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ll be provided to apply problem solving strategies with a use of smart phon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help them enjoy their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daily life including various situations at home, school, work and post-secondary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A. 지적장애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7 1. 지역사회 내에서 이동하기 7 2. 시간 관리 12 B. 보조공학과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 18 C. 문제해결 전략과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 2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7 A. 연구대상 27 B. 실험기간 29 C. 실험장소 30 D. 실험도구 31 E. 실험설계 34 F. 실험절차 35 G. 자료측정 52 H. 관찰자간 신뢰도 59 I. 중재 충실도 60 J. 사회적 타당도 61 Ⅳ. 연구결과 63 A. 스마트폰을 이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지하철을 이용한 길 찾기 과제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 63 B. 스마트폰을 이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도착 시간 예측하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68 V. 논의 및 제언 72 A. 논의 73 B. 제한점 86 C. 제언 87 참고문헌 89 부록 100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2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길 찾기 과제 수행과 도착 시간 예측하기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oblem Solving Strategies Using a Smart Phone for Mobility and Time-manag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Su hyun-
dc.format.pagexi,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