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이종희-
dc.creator이종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6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고등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들은 서울 시내 S 여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고, 영어 능력이 중급 이상인 20명의 학생들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3주 동안 8차시에 걸친 수업을 진행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실험집단에게는 독해일지 작성 활동 과업을, 통제집단에게는 이해력 점검 활동 과업을 부여하였다. 아울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능력검사와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 추가로 사후 심화 설문지를 배부하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사전-사후 읽기 능력검사 결과의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읽기 능력검사 평균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집단 별로 사후 읽기 능력검사 평균점수를 사전 능력검사와 비교한 결과, 사전 능력검사에 비해 사후 능력검사의 두 집단의 평균점수는 모두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실험집단의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둘째, 집단 간 사전-사후 쓰기 능력검사 결과에서도 사후 쓰기 능력검사의 총점과 평가 영역별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각 집단 별로 사전-사후 능력검사의 총점과 각 평가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 별로 총점 및 내용과 구성 영역에서는 사전 능력검사와 사후 능력검사의 평균점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실험집단 내 사전 능력검사 하위득점자의 경우, 사후 쓰기 능력검사 총점과 작문 구성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에서 통제집단의 하위득점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내 하위득점자의 사전-사후 쓰기 능력검사 점수를 총점과 각 평가 영역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총점 및 쓰기 구성과 내용 측면에 대한 평균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실험집단 하위 득점자들의 쓰기 전반과 구성 및 내용 측면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의 선별차시 독해일지 작문에 대해 T-unit 분석을 실시한 결과, 쓰기 유창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총 단어수와 문장 성숙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T-unit 평균길이(MLTU)는 차시가 거듭될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이 드러났다. 아울러 실험집단 내 사전 쓰기검사 상-하위 득점자의 선별차시 독해일지 작문에 대해 T-unit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분석지표 별로 비교한 결과, 차시 별 T-unit 수와 T-unit 평균길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차시 별 총 단어수와 차시 별 절당 단어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실험집단 하위 득점자들의 쓰기 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실험집단 내 하위 득점자의 전체 독해일지 작문을 질적 분석한 결과, 차시 경과에 따라 어휘 사용이 점진적으로 다양해지는 양상을 보였으나 이와 동시에 연어(collocation)와 형태(form) 측면의 오류도 자주 나타났다. 글의 구성 측면에서는 초반 차시에 비해 점차 다양한 종류의 도입문을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단락 구분을 지어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독해일지 작문의 내용상으로도 독해일지에 읽기 자료에 대한 점진적인 관심과 몰입을 표현하는 동시에 그에 따라 작문의 내용도 풍부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질적 분석 결과는 앞서 실시한 실험집단 하위 득점자의 사후 능력검사 통계검정 결과와 T-unit 분석 결과를 뒷받침해준다. 다섯째, 정의적 측면에서도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읽기 흥미와 자신감 그리고 쓰기 자신감 측면에서 사후 설문조사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장문 독해에 대한 부담감도 수업 후 과제활동을 통해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집단 간 사전-사후 응답비율 변화 양상에 대한 원인은 실험집단에 대한 사후 심화 설문지 응답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쓰기 통합 활동의 일환으로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사례수를 가지고 장기간의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들이 작성한 작문의 질이나 쓰기 유창성은 문법이나 어휘와 같은 언어 지식이 높고 낮음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목표 언어 쓰기 활동에 학습자들이 얼마나 익숙한가에 달려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쓰기 지도 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읽기와 쓰기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서 문학텍스트와 같이 읽기와 쓰기 활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치나 매개를 설정해야 한다. 넷째, 교사들은 독해일지 작성 활동을 교실 상황에서 활용할 경우, 쓰기 유창성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작성한 작문의 실질적인 질과 정확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writing reading journals with young adult literature has on the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ir affective domai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carried out an intensive reading program during the summer vacation, targeting 20 high school students. All the participants were attending a girls' high school in Seoul and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was intermediat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s: one was an experiment group whose post-class task was to write reading journals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whose post-class task was to write answers for comprehension check-up sheets. The study posit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was the participants' reading abilities affected by writing reading journals on young adult literature? Second, how was the participants' writing abilities affected by writing reading journals on young adult literature? Third, how did the participants' affective domain change through writing reading journals? Pre-/Post-tests on reading and writing proficiency were condu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1 and 2. In addition, post-class tasks were assigned to the participants of each group in order to give more detailed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 2. Furthermore, Pre-/post-survey and in-depth questionnaires were also condu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3. The data from pre-/post-tests were analysed by using T-tests. Mann-Whitney tests and Wilcoxon tests were also used to analyse the results of pre-writing tests of lower scorers from each group. Furthermore, reading journals were analysed through T-unit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writing fluency and the syntactic maturity of sentence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replies from pre-/post-surveys was converted into percentage to be compared according to the post-class tas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re-/post-reading ability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mean scor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pre-/post-writing ability of each group. However,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lower scorers of the pre-test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resul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total score. Third, although there was a definite increase in the number of total words per session and MLTU(Mean Length of T-unit) per session,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unit analysis on the lower scorers' journal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 of total words per session and the number of words in a clause. Fourth, the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on the lower scorers' journals indicates the following: in terms of vocabulary use, they tried to apply the vocabulary to the appropriate context and sometimes expand the given expressions in various ways. However, there were still many errors in the collocation and the forms. In the organizational aspects, the introduction sentences tended to vary as the session proceeded. Also, some participants tended to classify different contents by paragraphs. As for the contents of writing, participants who expressed their interests in the reading material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contents of their journal writing. Finally, the results of pre-/post-surve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confidence and, motivation in writing. Also, their anxiety caused by reading longer texts was relatively lowered.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research a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First, in order to prove the effects that writing reading journals has on reading ability, a long-term research with more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Second, when teaching writing in EFL classrooms, instructors should consider how familiar their students are with English writing, because their low writing performance is not entirely due to their linguistic knowledge. Third, instructors should not only teach those skills in class, but also consider introducing a proper device or medium?such as a literary text that cater to students? interests?in order to elevate students' confidence and interests in reading and writing. Finally,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pay attention to the accuracy and the practical quality of students' writings although developing writing fluency i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writing reading journ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A.이론적 배경 4 1.영어 학습 자료로서 문학텍스트의 효용성과 가치 4 2.읽기-쓰기 능력 상관관계 10 3.일지 작성 활동과 독해일지 작성 활동의 분류 및 장점 12 B.선행연구 16 1.문학텍스트 활용에 관한 연구 17 2.읽기-쓰기 통합 학습에 관한 연구 21 3.독해일지 작성 활동에 관한 연구 25 Ⅲ.연구방법 29 A.연구대상 29 B.연구도구 및 연구절차 30 1.연구도구 30 2.연구절차 37 C.자료 분석방법 및 연구 진행일정 39 1.자료 분석방법 39 2.연구 진행일정 41 D.연구질문 및 연구의 제한점 42 1.연구질문 42 2.연구의 제한점 43 Ⅳ.연구결과 및 해석 44 A.읽기 능력의 변화 44 1.실험-통제집단 간 사전 및 사후 읽기 능력검사 평균점수 비교 44 2.집단 내 사전-사후 읽기 능력검사 평균점수 비교 46 B.쓰기 능력의 변화 47 1.사전-사후 쓰기 능력검사 결과 47 가.실험-통제집단 간 사전 및 사후 쓰기 능력검사 평균점수 비교 47 나.집단 내 사전-사후 쓰기 능력검사 평균점수 비교 49 다.집단 내 사전 쓰기 능력검사 하위 득점자의 사후 쓰기 능력검사 결과 분석 51 2.실험집단의 독해일지에 대한 T-unit분석 및 질적 분석 55 가.실험집단의 선별차시 독해일지 작문에 대한 T-unit분석 55 나.사전 쓰기 능력검사 상-하위 집단의 독해일지 작문의 T-unit분석 59 다.사전 쓰기 능력검사 하위득점자의 독해일지 작문에 대한 질적 분석 61 C.정의적 영역의 변화 73 1.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73 2.실험집단의 사후 심화 설문지 응답 내용 76 Ⅴ.결론 및 제언 80 A.결론 80 B.교육적 시사점 및 제언 83 참고문헌 85 부록 90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432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영미 청소년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독해일지 작성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that Writing Reading Journals with Young Adult Literature has on the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and the Changes in the Affective Domain of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Jong-hee-
dc.format.pagexi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