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중학교 영어과 정기고사 출제 및 채점 과정 개선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중학교 영어과 정기고사 출제 및 채점 과정 개선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on improving the process of school-based English assessment in middle school
Authors
나인수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영어교육에서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영어를 잘 가르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영어 성적은 상급학교 진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학생 및 학부모들은 학생의 영어 성적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비해 교사들 사이에서 영어평가는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 가르칠 것인가’를 다루는 영어교수법에 비해 관심을 덜 받고 있다. 실제 학교 현장에서 영어평가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영어교육 연구 측면에서도 영어평가에 관한 연구는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에 비해 활성화 되어있지 않다. 지금까지 진행된 대다수의 영어평가에 관한 연구는 학교 정기고사의 문항 분석을 통한 정기고사 출제문항의 문제점을 밝혀내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왔으며, 문제점이 있는 문항이 출제된 근본적인 원인을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문항 출제부터 채점까지 전반적인 정기고사 시행과정을 고찰하여, 정기고사 문제점의 근본원인을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영어과 정기고사 출제 및 채점 과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적용하여 학교 평가 절차를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정기고사 시행과정을 관찰해야 하는 특성상, 자료수집을 위해 그 학교 현장에 몸담고 있는 사람, 즉 ‘내부자(insider)’인 교사가 필요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반성과 실천이 있어야 평가 절차의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사가 주체가 되는 실행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한 중학교에서 실시한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1학기 기말고사, 2학기 중간고사, 그리고 2학기 기말고사 이렇게 총 4회의 정기고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지속적인 실행과 평가의 사이클을 3회 거쳤다. 1차 사이클에서는 교사의 ‘시작 및 사전 조사, 가설, 실행, 평가, 공유, 후속조치’의 단계를 거쳐, 1학기 중간고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1학기 기말고사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이 후 2차 사이클에서는 실행, 평가, 공유, 후속조치의 단계를 거쳐, 1학기 기말고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2학기 중간고사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최종 3차 사이클에서는 실행, 평가, 공유 및 후속조치의 단계를 거쳤으며, 2학기 중간고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2학기 기말고사에 적용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정기고사 출제문항, 정기고사 출제에 관한 협의회 내용 및 서술형 채점 과정의 녹취물, 온라인 의견교환 내용, 그리고 출제교사 인터뷰 내용이 연구 자료로 수집되었다. 또한, 연구자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학교 평가 절차를 개선하기 어려우므로, 연구자는 연구기간 동안 동료교사와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문제점을 진단한 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함께 개선방안을 실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다. 이렇게 모색된 대안을 두 차례의 사이클 실행을 통해 현장에 실제로 적용하여 봄으로써, 정기고사 시행과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모색된 개선방안을 실제로 적용하였을 때 시험 시행 과정 및 교사 인식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연구는 교사로 하여금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고 실행한 사항에 대해 평가하는 ‘반성적 사고’를 하게 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정기고사를 대상으로 개선방안 모색 및 실행, 평가, 공유, 후속조치의 사이클이 반복되는 동안, 교사들은 1) 시행된 정기고사의 문제점 인식, 2)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정기고사 문제점의 근본적 원인 파악, 3) 개선방안 적용 후 개선된 점 고찰, 4) 개선방안으로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이렇게 실행연구 전반적인 과정을 돌아보며 반성하는 교사들의 모습은 실행연구가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한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또한 정기고사 시행 횟수가 늘어날수록 정기고사 출제문항의 문제점이 개선되었으며, 학교 평가 절차가 점차 체계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실행연구는 교사가 습득한 교육이론에 관한 지식 및 교사가 제안한 아이디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다수 학교에서 편의상 생략하는 ‘출제 계획서’를 정기고사 시행과정에 도입하여, 실제 출제 계획서를 작성 하고 교사들끼리 공유하여 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은 문항 출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함께 나눌 수 있었으며, 동일한 내용을 묻는 문항이 중복 출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한편, 치밀한 문항 검토를 위해 타 학년 영어과 교사를 검토에 참여 시키자는 아이디어를 실제 실행에 옮기고자 하였을 때, 타 학년 영어과 교사들의 협조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와 같은 사례들을 통하여, 실행연구가 교사의 아이디어 및 기존에 알고 있는 교육이론에 관한 지식의 실제 유용성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동료교사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정기고사 출제문항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시작단계에서 고찰하였을 때, 교사들은 각자가 맡은 부분만 출제하는 데에만 치중하여 동료교사와의 출제문항에 관한 의견교환은 거의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 본 실행연구의 사이클이 진행되면서 교사들의 상호작용은 교과협의회, 전화통화, 이메일 및 온라인 메시지 교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 되었다. 그 결과, 정기고사 문항의 문제점이 점차 개선되었으며, 다양한 유형의 문항 들이 출제되어 학생들의 성취도를 다각도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좋은 정기고사 문항을 출제 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실행연구가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여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동료교사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정기고사 문항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좋은 평가 문항 제작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의 연구회 모임이 조성되고, 학교 별로 활성화 되어야 한다. 동료교사들과 바람직한 평가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함을 통해, 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촉진되며, 더 나아가 학교 평가 절차가 개선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연초 수립되는 ‘학교 교육 계획’에 정기고사 전 절차 및 일정을 반영하고, 이를 학기초 교사들에게 미리 공지해야 한다. 교사들이 평가 절차 및 일정에 대해 미리 알고 있다면 교사들이 평가에 대한 계획을 미리 세울 수 있으며, 바람직한 평가 방법 및 문항 제작에 대한 고민을 심도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좋은 평가 방법을 고안하고, 탐구하는 교사들을 위한 격려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교사의 사기 진작 및 학교 정기고사의 문제점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평가는 영어 교수‧학습의 전반적인 과정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정확하고 올바른 방향의 영어평가는 교사들의 영어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영어 학습 및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의 바람직한 교수‧학습 실현을 위해, 좋은 평가 방법을 탐색하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려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한 국가 정책적 차원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Assessment plays a vital role in education because it provides constructive feedback for teachers and students. Over the decades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the effectiv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effective ways of assessing students' performance. There has been comparatively little research into how school-based English assessment was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is to improve the process of school-based English assessment by examining the problems of constructing and scoring test items then, applying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To accomplish this, four English teach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by giving feedback on teacher-constructed test items and sharing ideas to develop good test items. The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was essential in this research because just one teacher cannot improve the assessment process. Using recordings of assessment discussion, transcripts of on-line instant messages and individual teacher interview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chool-based English achievement tests for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by repeating a cycle three times. A cycl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Preliminary investigations, hypothesis, intervention, evaluation, dissemination, follow-up. During the first cycle, the problems of the first semester mid-term tests were examined, then,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were applied to the first semester final tests. After that, the effects of the solutions and the unsolved problems of final test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econd cycle, the solutions to the unsolved problems of final tests were applied to the second semester mid-term tests. The third cycle was repeated in the same say: the unsolved problems of mid-term tests were applied to the second semester final tests. Also, the effects of the solutions were investigated everytime the cycle e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tion research enabled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hich helped solve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 In this research, teachers incessantly asked themselves these questions: 1) What are the problems of this assessment process? 2) What are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olutions? 4) What are the causes of unsolved problems? Also, they continuously evaluated the effects of solutions. These examples show that teachers have thought reflectively about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 Thanks to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the problems of assessment process were solved gradually, and the process of school-based English assessment was systematized. Second, action research can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eachers applied theory to education field. For instance, according to theory, teachers are supposed to write 'Plans of constructing test items' before they develop test items. Teachers in this research actually wrote Plans of constructing test items, and they found out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ssessment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hould take measures in cooperation with schools. First of all,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 interaction around assessment issues should be provided. As mentioned above, cooperation between fellow English teachers is essential to improve the assessment process. In addition, teacher interactions help teachers think reflectively about the problems of education field. Second, the entire process of school-based assessment should be included in 'Plans of School Curriculum', a booklet that has curriculum, school events and school schedule. Since numerous schools do not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ssessment process in Plans of School Curriculum, teachers are notified of the test dates and the deadline of submitting test items just a couple of weeks before it is due. If the entire process of school-based assessment is included in Plans of School Curriculum, teachers will be able to know test schedule and make plans for the tests in advance. Finally,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who strive to be good assessors. For example, the competition for teachers who develop good tests can be held and additional points can be given to teachers who share test materials and high quality test items. Assessment is as important as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good tests an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and encourage them.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