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임수영-
dc.creator임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6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9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dagogic corpus as a method of teaching English grammar in EFL classes,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probable difference between simple grammatical rules and complex grammatical rules in learners' acquisition using pedagogic corpus and to observe the attitudes of learners toward pedagogic corpus. For this to be realized, a total of 4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 a 5-week period. During this period an experimental group learned grammatical rules using a set of corpus-based tasks: a data-driven learning, while a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grammatical rules explicitly by a teacher. The rules which both of two groups had to learn could be categorized into simple rules and complex rules. The objective of from the 1st lesson to the 5th lesson was to learn simple grammatical rules and that of from the 6th lesson to the 10th lesson was to learn complex grammatical rules. The learners’ grammatical competence was tested right before and after learning each kind of rules: simple grammatical rules and complex grammatical rules. In addition, learners were asked question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rpus. Results indicate that as for simple grammatical ru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rpus-based grammar task was helpful for the learning. On the other hand, as for complex grammatical rules, in the control group, the teacher’s explicit instruction presented a more positive result in the degree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grammar rules. Especially in the low level learners of English proficiency, the explicit instruction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learning grammar than the method of using corpu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using corpu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because they thought that corpus enabled leaners to be exposed to a lot of authentic expressions related to the target grammar structur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ive use of materials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grammar rules since it could provide learners with sufficient and authentic input of language. Secondly,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make and use pedagogic corpus to teach grammar, considering th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of students and the complexity of grammatical rules to be learned. This study has proposed to see the effects of using corpus materials on the understanding of grammar rules. If more systematic corpus-based teaching models are developed to apply to other field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our classrooms, they will give some new prospects for our English teachers.;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교육용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며, 이 때 코퍼스 활용 문법 학습의 효과가 학습자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문법 규칙의 복잡성과 난이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학습자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코퍼스 활용 문법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반응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주 소재 여자 고등학교의 1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본 실험이 진행된 수업은 학교 정규 수업 외에 방과 후 특별 수업으로 배정된 80분짜리 수업으로서 학교 측에서는 두 집단의 영어 능력이 동일하다는 판단 하에 두 집단이 같은 내용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게 주 2회, 매 수업마다 다른 문법 규칙을 가르치는 수업이 5주 동안 총 10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 집단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미리 만들어 놓은 교육용 코퍼스를 활용해 목표 문법 구조에 노출된 후, 문법 규칙을 발견하며 학습하는 암시적 교수 방법으로 학습하였고, 통제 집단은 교사의 명시적인 규칙 설명을 통해 목표 문법을 학습하였다. 총 10차시의 수업 중에서 1-5차시에는 단순한 문법 규칙들을, 6-10차시에는 복잡한 문법 규칙들을 수업했다. 그리고 두 집단에게 실시된 2번의 사후 평가를 분석하여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교수 방법이 문법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10차시의 모든 수업이 종료된 일주일 후 실험 집단에게 코퍼스에 대한 정의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의 분석과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학습이 학습자의 단순한 문법 규칙 이해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코퍼스를 활용하여 암시적으로 문법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명시적으로 문법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하여 문법 이해도 향상에 있어서 더 우수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입증되었다. 따라서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학습이 교사의 명시적인 규칙 제시가 있는 학습보다 영어 문법 규칙의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생의 영어 능력에 따른 상, 하위 수준별로 살펴보면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 실험, 통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교육용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학습이 학습자의 복잡한 문법 규칙 이해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교사의 명시적인 문법 규칙 제시가 있었던 통제 집단이 실험 집단에 비하여 문법 이해도 향상에 있어서 더 우수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입증되었다. 따라서 복잡한 문법 규칙의 경우는 명시적으로 규칙을 제시한 문법 학습이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학습보다 문법 규칙의 이해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별로 살펴보았을 때 실험, 통제 집단의 하위 집단에서만 사전, 사후 문법 규칙 이해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하위 집단의 경우 복잡한 문법을 학습할 때 명시적으로 규칙을 제시한 학습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학습은 문법 이해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서는 단순한 문법 규칙에서는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학습이 학습자들의 수준에 상관없이 학습자들의 문법 규칙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복잡한 문법 규칙에서는 명시적으로 규칙을 제시한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 규칙의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셋째,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코퍼스 활용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학생들이 꼽은 영어 문법 학습의 최대 어려운 점은 ‘문법 지식을 문법 문제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이 도움이 되는 가장 큰 이유로 ‘문법 규칙이 적용된 다양한 예문들을 보면서 익힌 문법 규칙을 새로운 문장에 적용하기가 쉽다’는 점을 꼽았다. 실험 집단에게 실시한 설문에서 66.7%의 학습자들이 단순한 문법 규칙의 학습과 복잡한 문법 규칙의 학습의 경우 모두 코퍼스 자료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코퍼스 활용 문법 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이 정의적으로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언어 교육 연구자들과 교사에게 문법 학습에서 코퍼스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문법 문제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학습자들은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수업에서 실제적인 언어 구조에 많이 노출되게 되는데, 이 때 코퍼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예문들은 학습자들이 문법 규칙이 적용되어 있는 문장 구조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코퍼스를 통해 학습자들은 목표 언어의 특정 문법 패턴의 충분한 실증적인 예시들을 접할 수 있고 코퍼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자료들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문법 규칙을 찾아가는 자료 중심 학습법은 학습자의 독립적 학습 태도를 장려하고 학습 내용의 장기 기억 저장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교사의 적극적인 코퍼스 활용 문법 수업을 장려할 만하다. 둘째, 문법 학습에 있어서 무조건적으로 코퍼스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하고자 하는 목표 문법 규칙의 난이도와 복잡성에 따라서, 그리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서 적절하게 판단하여 교육용 코퍼스를 제작하여 활용하는 것이 교사의 몫일 것이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는 단순한 문법 규칙의 경우는 코퍼스를 활용한 암시적 문법 수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복잡한 문법 규칙의 경우, 코퍼스를 활용해 암시적으로 학습을 한 집단보다 교사가 명시적으로 규칙을 제시한 집단이 문법 이해도가 높았으며 특히 하위 집단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사실 상위 학습자들에게 코퍼스 학습이 효과적이었다는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이나 하위 학습자들에게도 수업 운용 방법에 따라 코퍼스 학습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겠다. 교사가 목표 문법 규칙의 복잡성을 잘 고려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는 코퍼스 자료를 제작하고 소집단 활동과 같은 다양한 학습 활동을 통해 수업을 보완해 나간다면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효과 있는 코퍼스 활용 수업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나, 다른 영역의 수업, 즉, 쓰기나 어휘 수업 등에 있어서도 코퍼스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 방법과 수업 모형 등에 대한 후속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II.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4 A.코퍼스 4 1.코퍼스와 용어 색인 4 2.코퍼스와 언어 학습 8 3.선행 연구 10 B.문법 교수 및 학습 12 1.의사소통 능력과 문법 교수 12 2.문법 지도 방법론 16 3.규칙 복잡성과 난이도에 따른 문법 교수법 24 III.연구 방법 및 절차 27 A.연구 질문 27 B.연구 대상 및 기간 28 C.실험 도구 28 1.문법 능력 평가지 28 2.문법 수업 자료들 30 3.설문지 31 D.실험 절차 32 1.실험 이전 절차 32 2.실험의 절차 및 주요 활동 34 E.연구의 제한점 39 IV.실험 연구 결과 및 논의 40 A.코퍼스의 활용이 단순한 문법 규칙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40 1.집단 차이에 따른 문법 능력의 변화 분석 40 2.학습자의 영어 수준에 따른 문법 능력의 변화 분석 41 B.코퍼스의 활용이 복잡한 문법 규칙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44 1.집단 차이에 따른 문법 능력의 변화 분석 44 2.학습자의 영어 수준에 따른 문법 능력의 변화 분석 45 C.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47 1.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에 대한 사후 설문 분석 47 V.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7 부록 66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67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이 문법 규칙의 복잡성에 따라 고등학생의 문법 이해와 정의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Corpus-Based Learning on Learning Simple and Complex Grammatical Rules of Korean EFL Learners-
dc.creator.othernameLim, Soo young-
dc.format.pagex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