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영순-
dc.contributor.author이선화-
dc.creator이선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70-
dc.description.abstractTrauma is an emotional or psychological injury that affects the current behavior and emotion consistently, usually resulting from a past shocking situation. Emotional injury of growing period makes teenagers more confused in their value judgment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stablish positive self-esteem and identity in the era of Internet, standardized education, and competition for university entrance. High school students have the anxiety about the future and their identity is not established affected by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cut-throat competition. Therefore, they need to know themselves to have high self-esteem and they should know their inner voice for their self- realization. Self-healing lessons through self-portraits are very effective because they can recover their sense of stability from their psychological injury. Desirable self-healing lesson plans for the tenth graders will be presented and the healing effect by experiencing the personal inner change through drawing self-portraits which is the way of expressing self-consciousness will be shown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help students to have the insight into themselves by the formation of their positive self-perception and the right judgement. The following are sub-goals according to the purpose. First, we can see the most serious aspect from the innermost of the person who drew it because a self-portrait is made by instinct and self-consciousness and the painter is supposed to think about the way he or she wants to be seen and express their trauma seriously. Second, there will be an improvement in self-healing through self-portrait class. Third, drawing class as a self-healing activity will help students to have insights into themselves by the formation of their positive self-perception and the right judgement. The method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re-to-post and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lasses for the 37 students of S High School in Seoul. Second, analysis of the works of some representative artists who had self-healing activities such as Gogh, Munk, Egon Schiele, and Frida Kahlo was done. Because self-healing through works of art can be regarded as art therapy, there was a research about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therapy and self-healing through self-portrait and psychology. Third, the design of self-portait drawing class was based on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f Kim Jeong-won(2007). The classes were made of 5 periods and there was a pre-to-post and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lasses. This research will help students to live harmoniously in a society by forming their positive self-perception and establishing their views of value and identity for they can ask themselves about their problems for their better futur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portait drawing program as self-healing activities can help students to build up their identities and give them self-healing effects. But, the result cannot be generalized down to all the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boys and girls and the number of them is not large. It is expected to study about systematic self-training programs focused on various activities in the field of fine arts. Since the aim of fine art subject education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sentiment and aesthetic sense, not to grow them as specialist of fine art, it should pursue the realization of self-identity, the ultimate purpose of all-around education, by providing the fine art program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youth. Especially, continual care by teacher and parents i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in youth age on the transient phase of developmental stage.;과거의 충격적인 사건으로 인하여 현재의 행동과 정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인 상처를 외상(trauma)이라고 한다. 성장기에 경험한 정신적인 상처는 입시경쟁으로 인해 개인적인 성향이 강해지는 현실에서 인터넷의 발달과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에 긍정적인 자아관과 자기정체성을 확립하기 어려워 가치 판단력에 혼란을 더욱더 가중시키고 있다. 청소년기의 고등학생들은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과열경쟁의 영향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 놓여있다. 따라서 자아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를 잘 알아야 하며 또한 자기실현을 위해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알아야 한다. 자화상을 통한 자기치유활동 수업은 이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활동이며 이러한 미술활동을 통해 압도된 감정이나 위기 또는 정신적 외상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정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화상 그리기라는 주제로 바람직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자의식의 표출을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표현수단인 자화상 그리기를 통해 개인적인 내면의 변화를 경험하는 계기로 삼아 치유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긍정적인 자아 개념의 형성과 올바른 판단으로 자신에 대한 통찰력과 자신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화상은 본능과 자의식이 만들어낸 작품들이라 할 수 있으므로 그린 사람의 내면 깊숙한 곳에서부터 울려나오는 가장 진지한 면을 볼 수 있으며 자화상을 통해 자신이 어떻게 보여 지기를 원하며 잠재되어 있는 트라우마를 어떻게 표현하여 승화시킬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자기에 대한 성찰지를 써보고 스스로 인식할 수 있다. 둘째, 자기치유활동으로서의 자화상 그리기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조금이나마 자기치유에 향상이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치유활동으로서의 그리기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형성과 올바른 판단으로 자신에 대한 통찰력과 자신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성북구 석관동) S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7명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결과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둘째, 관련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치유활동으로서의 예술표현을 한 대표작가들 중 고흐, 뭉크, 에곤 쉴레, 프리다 칼로의 작품세계를 분석해보고, 예술 작품을 통해 자기치유를 했다는 것 자체를 미술치료적 관점이라고 보고, 미술치료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심리학과 자화상을 통한 자기치유를 살펴보았다. 셋째, 자기치유활동으로서의 자화상 그리기 수업 프로그램 설계는 김정원(2007)의 연구에서 활용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에 기초하였다. 총 4차시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전, 사후 설문조사와 결과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본 연구가 청소년기 학생들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자신의 문제를 자문해 봄으로써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가치관과 자기정체성을 확립하여 사회 속에서 더불어 살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자기치유활동으로서의 자화상 그리기 프로그램이 자기치유효과와 자기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은 남녀공학이며 모집단의 숫자가 많지 않으므로 고등학교에 다니는 모든 청소년들에게 일반화 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앞으로 미술과에서 다양한 활동 중심의 체계적인 자기훈련 프로그램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미술과 교육은 미술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준비가 아닌 학생들이 정서적, 미적, 창의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성장발달에 맞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전인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자아실현을 추구해야 한다. 특히 발달 단계상 과도기에 있는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해서는 교사와 가정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어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방법 및 내용 3 II.이론적 배경 4 A. 미술치유 4 1. 미술치유의 개념과 목적 4 2. 자화상을 통한 미술치유 9 B. 자기표현 30 1. 자기표현의 개념과 필요성 30 2.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방안 32 C. 청소년기의 자화상 교수 - 학습이 가지는 미술교육의 의의 33 1. 청소년기의 의미 33 2. 청소년기의 자화상 교수 - 학습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 33 D. 수업에 적용한 미술교과서의 자화상 영역 내용분석 35 1. 스스로 그린 자신의 초상화 - 자화상 35 2. '나'로부터 시작하는 미술 37 III. 연구방법 43 A. 연구대상 및 절차 43 B. 연구도구 45 1. 수업도구 45 2. 평가도구 58 C. 자료처리 60 IV. 결과 및 논의 63 A. 결과 63 B. 논의 71 V. 결론 74 참고문헌 76 부록 80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75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기치유활동으로서의 자화상 그리기 수업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elf-Portrait Drawing Class Case Study a Self-Healing Activitiets: Subjects : Tenth Graders-
dc.creator.othernameLee, Sun Hwa-
dc.format.pagex,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