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우애자-
dc.contributor.author홍혜정-
dc.creator홍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74-
dc.description.abstractThe 2009 revised curriculum stated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key words for future society. Emphasis on their comprehensive application requires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educ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us,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methods for education, methods for assessment as well as their opinion on direction for the progres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For research data, systematic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were conducted out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mail and e-mail; and 138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s for research tool, suggestions on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from Cultivation of the Talented through the Harmony of Creativity and Car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Fundamental Solution to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Kim Wang-dong (2010);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were used with som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middle &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78.3% of the middle &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replied that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s important, but 48.6 % of them replied that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s not applied very much in the field of education. Also, as for understanding the intent of th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nly 25.4% of them replied that they understood it well, whereas the rest replied that they didn't understand it very well. Secon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middle &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methods for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such educational methods as are suggested clearly as a curriculum lik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curricular activities Also,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group activities (57.2%) as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the subject of science; science-related issues (52.2%) as the content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54.3%) as a program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However, they replied that, for the progres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o a teacher's professional guidance on creativity, a teacher's providing a role model, providing of sufficient class hours, and reduction in work should be preceded. Thir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middle &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ssessment, they replied that it is most suitable for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o include the affect factor (41.3%) among the item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replied that respect for teacher's autonomy (31.2%) should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o be carried out properly. Lastly, as a result of surveying their opinion on direction for the progres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hey replied that, for the applica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such conditions should be created that teachers can make a sufficient study of the curriculum; and that the precedence should be given to the expansion of teachers' training, the preparation of a system for supporting teachers,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lesson hours per teacher, changes in the mind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owards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eachers may apply well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o the field of education, for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cor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it is required to create guidelines for assessing correctly factor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창의·인성을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로 꼽고 있다. 이를 포괄적으로 적용하는 창의·인성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기존에 적용되는 창의성, 인성 교육과 차별화를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교육 방법, 평가 방법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전국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과 편의 표집을 하여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13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교육과학기술부(2009b)의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과 김왕동(2010)의 ‘창의인성 교육의 근본적 해법’ 및 2009 개정교육과정(교육과학술부, 2009)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78.3%의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가 창의·인성 교육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48.6%의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가 현장에는 별로 적용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창의·인성 교육의 취지에 대한 이해 정도 역시 25.4%만이 잘 이해할 뿐 나머지 교사들은 잘 이해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창의·인성 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교과 활동에서의 창의·인성 교육과 같은 교과 과정으로 명확히 제시되는 교육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교과에서의 창의·인성 교육 방법으로는 조별활동(57.2%)이, 창의·인성 교육 내용으로는 이슈화되고 있는 과학관련 문제(52.2%)해결이,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창의적 체험활동(54.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의·인성 교육이 진행되기 위해서 교사들의 전문적인 창의성 지도 및 교사의 역할 모델 제공, 충분한 수업시간 제공, 업무 축소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셋째,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창의·인성 교육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수행평가 항목 중 정의적 요소를 포함(41.3%)하는 것이 창의·인성 교육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창의·인성 교육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율성 존중(31.2%)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창의·인성 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창의·인성 교육을 적용하기 위해서 교사가 충분히 교과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여건이 조성되어야 하며, 교사의 연수 확대와 지원체제 마련, 학급당 학생 수 및 교사 일인당 수업시수의 감축,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마인드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교육이 2009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사항이므로 현직 과학 교사들이 창의·인성 교육을 현장에 잘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교사들이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중요함만으로 창의·인성 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적용 가능한 학교현장의 여건 조성과 교사, 관리자, 학부모, 학생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이 잘 진행된다하더라도 그에 따른 평가 방식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으면 창의·인성 교육이 제대로 뿌리내릴 수 없을 것이다. 평가에 대한 설문에서 현직 과학 교사들이 창의·인성을 평가한다는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 의견을 잠식시킬 평가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창의·인성에 대한 요소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기준안을 만들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가설 4 Ⅱ.이론적 배경 6 A.창의성 교육 6 B.인성 교육 12 C.창의인성 교육 16 D.선행 연구 28 Ⅲ.연구 절차 및 방법 32 A.연구 절차 32 B.연구 방법 33 Ⅳ.연구결과 및 논의 37 A.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37 B.창의인성 교육 방법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42 C.창의인성 평가 방법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57 D.창의인성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의견 64 Ⅴ.결론 및 제언 67 참고문헌 72 부록 77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05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과 평가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on both th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way of evaluation applied to the subject of science-
dc.creator.othernameHong, Hye Jung-
dc.format.page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