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순정-
dc.creator김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4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쉼터여성이 남편의 아내학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남편으로부터 어떠한 형태의 학대를 어느 정도 받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남편으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이들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아내학대의 부정적인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아내학대로 인해 신체적·심리적 손상을 당한 피해여성의 회복과 보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치료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쉼터여성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유사한 일반여성을 비교집단으로 표집하여, 남편의 학대에 대한 인식경향, 학대의 경험정도, 신체적·심리적 증상에 있어서 쉼터여성과 일반여성을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아내학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집단간의 인식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쉼터여성과 일반여성간의 남편으로부터 받는 학대의 경험정도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즉, 일반여성에 비해 쉼터여성이 남편으로부터 학대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쉼터여성과 일반여성간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에서 두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즉, 쉼터여성이 일반여성에 비해 신체적·심리적 나쁜 증상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넷째, 쉼터여성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린 시절 폭력관찰경험과 부모로부터 받은 체벌경험, 남편으로부터 받은 학대의 경험정도를 살펴본 결과, 주로 남편으로부터 받는 학대의 경험정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편으로부터 받은 학대가 현재 쉼터여성의 신체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위의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쉼터여성이 일반여성에 비해 신체·심리적 건강에서 더 취약한 가장 큰 원인이 바로 남편으로부터 받는 학대의 경험이다. 따라서 남편의 학대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 가해자인 남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와 남편의 학대로 인하여 피해여성이 가지고 있는 수치심, 무기력감을 감소시키면서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책이 필요하다. 먼저 가해자인 남편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성역할태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분노상황이 일어났을 경우 분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시킨다. 마지막으로 아내를 학대하는 남편의 경우 표현능력이 부족하면 할수록 갈등을 신체적 폭력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들을 위해서 비폭력적으로 자기주장을 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다음으로 아내학대 피해여성을 위해서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수치심과 무기력감을 감소시키면서 스스로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아내학대 피해자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가족, 친구, 이웃, 동료 등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사회지지체계를 활용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학대’라는 공통의 문제를 가지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한 자조집단을 구성하여 아내학대 피해자로 하여금 자신감, 신뢰감, 자존감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내학대로 인해 피해 받고 있는 여성들이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서비스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따라서 가정폭력과 관련된 상담의 전문성과 상담인력의 전문화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법적 근거의 마련과 함께 정부의 가정폭력상담정책을 연구하고 전문적인 상담인력의 양성과 교육, 재교육과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수행하는 중추적인 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he shelter women and ordinary women are aware of the wife abuse of a husband and to analyze what kind of abuse and how much abuse a wife is received from a husband, and to disclose what kind of effect the wife abuse makes on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then to bring the negative effect of wife abuse to light. And through this, it is to find the remedy to recover those women who have suffered physical·psychological damage due to the wife abuse and to make them lead a healthier life.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awareness tendency, experience degree of abuse, and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targeting ordinary women who have similar socio-demographical features to the shelter women and examined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how they are aware of the wife abuse of a husb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degree of abuse from a husband between the shelter women and ordinary women. That i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shelter women have received more abuse from their husbands than ordinary wome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between the shelter women and ordinary women. That is, the shelter women came to harm in physical·psychological symptoms more than ordinary women. Fourth, as a result that I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al features, the experience of observing violence in childhood, the experience of suffering corporal punishment from their parents, and the experience of abuse by their husbands about the effects on the physical·psychological health of the shelter women,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is mostly because of the experience degree of abuse by their husbands. To find the remedy for wife abu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we should reduce the sense of shame and lethargy that the victimized women of wife abuse have and help them improve the self-respect of their own. Second, we should use various social support networks to be able to provide them with support such as family, friends, neighbors, and coworkers etc. who are around them. Lastly, in order to solve various difficulties that arise from the common problem of 'abuse', we should organize a self-help group and have the victimized women strengthen the sense of confidence, trust and pri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A. 아내학대의 개념 = 4 B. 아내학대의 발생요인을 설명하는 이론들 = 6 1. 심리내적 이론 = 6 2. 사회심리적 이론 = 7 3. 사회구조적 이론 = 11 C. 학대경험과 여성의 건강 = 17 1. 아내학대의 반복성 = 17 2. 아내학대가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19 D. 연구문제 = 22 III. 연구 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조사도구 = 28 C. 조사절차 및 자료의 분석 = 29 D. 연구의 제한점 = 31 IV. 연구결과 = 32 A. 쉼터여성과 일반여성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비교 = 32 B. 쉼터여성과 일반여성의 폭력적 행동 인식, 학대경험, 신체심리적 건강의 차이 = 40 1. 폭력적 행동에 대한 인식 = 40 2. 남편의 폭력적 행동 경험 = 42 3. 신체심리적 건강 = 44 C. 학대경험이 쉼터여성의 신체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45 V.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5 부록 = 62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0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쉼터여성의 학대경험과 신체심리적 건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쉼터여성과 지역사회 거주 여성들과의 비교-
dc.format.pagevi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