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희선-
dc.creator유희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2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5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2의 화학변화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8개 반 28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4개 반, 비교집단 4개 반을 임의로 무선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을, 비교집단에는 교사 강의식 전통적 수업전략을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수업처치 사전·사후에, 비교집단은 수업처치 사후에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수업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위한 면담이 수업처치 사후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전략을 적용한 비교집단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1) 실험집단에서 과학 개념 이해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성적 상·중·하위 수준에 따른 향상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수준에 따른 과학 개념 이해의 향상 정도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은 과학 개념 이해에 있어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효과적이나 과학성적 집단별, 인지수준 집단별로 특별한 선호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과학 관련 태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에서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해서도 과학성적 집단 및 인지수준 집단에 따른 집단별 향상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에 대해 학생들을 면담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전략이 질문을 통해 사고를 촉진하고 형성평가 이후에 뒤따르는 피드백으로 학습내용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반복학습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러나 질문의 응답에 대한 부담과 총괄평가에 대한 부담으로 질문과 피드백의 유형이 사고 질문의 형태보다는 단답형 등의 단순 기억 질문을 선호하고 설명형 피드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과학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므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이 수업전략을 도입하는 교사들은 특별히 중·하위집단의 학생들이 질문 및 응답을 기피하는 것에 대해 정서적 측면의 배려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s of the teaching strategy which focused on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for the chapter of chemical chang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2 textbook. 280 middle school students of 8 classes were randomly chosen and 4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4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 new teaching strategy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Students' understandings of scientific concept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lso an interview has been made for 24 students randomly chos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bout the newly developed teaching strate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w teaching strategy was more efficient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for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p<.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 related attitudes between two groups. In experimental group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hanc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between the student groups which were high, middle and low rank in the classe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 groups of different cognitive ability. Similar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for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between the student groups of academic ranks and cognitive abilities. Form the interview with th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new teaching strategy was good to motivate students through questions, and then, to make them understood well through teacher's feedbacks. However, some students still preferred simple questions and explanative feedbacks rather than the questions which motivate deep thinking because they felt more pressures with the difficult quest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suggested that we need to employ the new teaching strategy, focused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to our science classroom. Teachers should keep in mind that middle and low rank students tend to avoid questioning and answer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3 3. 연구의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4 1. 구성주의와 평가 = 4 ⑴ 구성주의 평가관 = 4 ⑵ 구성주의 평가관에서의 형성평가 = 5 ⑶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와 Vygotsky의 사회발달이론 = 9 2. 형성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 11 III. 연구 절차 및 방법 = 14 1. 연구 절차 = 14 2. 연구 방법 = 15 ⑴ 연구 대상 = 15 ⑵ 검사도구 및 방법 = 15 ⑶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 개발 = 18 ⑷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23 IV. 연구 결과 분석 및 해석 = 24 1.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통계 분석 = 24 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 비교 = 24 ⑵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 26 2. 학생 면담 조사 결과 분석 = 34 ⑴ 수업 중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 34 ⑵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에 대한 인식 = 40 ⑶ 학습평가의 목적에 대한 인식 = 45 V. 결론 및 제언 = 48 1. 결론 = 48 2. 제언 = 50 참고문헌 = 52 ABSTRACT = 57 부록 = 59 부록 1. 과학 개념 이해 검사지 = 59 부록 2.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 = 66 부록 3.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 = 69 부록 4. 상호작용을 위한 형성평가지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951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