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구조화된 통합 놀이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구조화된 통합 놀이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종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친구 관계는 일반인과 장애인 모두에게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중반까지는 장애인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점차 장애인의 우정 형성, 친구 관계 향상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들의 친구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접촉과 상호작용의 기회가 많은 통합된 환경이 훨씬 유리하지만, 단순히 물리적 통합 뿐만이 아니라 교사의 적극적인 중재가 자연스런 환경에서 제공될 때 친구 관계의 형성, 유지가 보다 원활하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가 통합 되어 있는 유치원 환경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화된 놀이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에 대한 일반 유아들의 친구 관계에 있어서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신의, 갈등 및 갈등 해결, 애착 및 자존심 고양 등의 하위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 친구 관계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완전 통합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H학교 유치부 만 4, 5세 유아 중 일반 유아는 32명을 무선표집하여 실험집단 16명, 통제 집단 16명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장애 유아는 sociomatric 검사를 통하여 소외, 거부되는 유아 중 담임 선생님의 추천을 받아 대상 유아 4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은 5주 동안 총 13회기의 구조화된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친구 관계 측정 도구는 Bukowski와 Hosa, Newcomb(1987)가 개발하였고 Parker와 Asher(1989)가 수정한 ‘친구 관계 질에 관한 질문지(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를 기초로, 연구자가 내용을 유아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차점수의 차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일반 유아들의 성별에 따른 친구 관계 차이는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조화된 통합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 유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친구 관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친구 관계의 6가지 영역 중 갈등 및 갈등 해결 영역을 제외한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신의, 애착 및 자존심 고양 영역에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2. 일반 유아들의 성별에 따라서 친구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구조화된 통합 놀이 프로그램이 일반 유아에게 있어서 장애 유아와 친구관계를 형성, 유지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유아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하는 통합된 놀이 활동을 통해서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들의 친구 관계가 향상될 수 있으며, 교사의 구조화된 적극적인 중재가 친구 관계 형성에 보다 용이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가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통합 환경에서,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친구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Friend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lives. By the middle 1990s research has showed that friendship is able to establish a strong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much of research focused on only a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friendship, and revealed that it was effective to establish friendship not only as a physical integration but also a teacher's active instruction in natur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structed and integrated play program on friendship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sex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on friendshi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32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t the age of four and five, were selected from H special school, and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16) and control group(16). In contrast, 4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sociomatric test and parent's agreement, and teacher's recommend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n opportunity to implement the constructed and integrated play program 13 times during 5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treatment. To measure the potential difference of friendship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it that Bukowaski, Hosa, and Newcomb(1987) developed and rewritten by Parker & Asher(1989) was used. The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ertain experimental data on the potential difference of friendship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addition, two ways of variance complemented to analyze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females and males on friendship. These are results from this study.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mong 6 sub-categories except conflict and conflict solution.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females and males in friendship.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nstructed and integrated play program was effective i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form friendship. Therefore the validity of the study states that it is easy to develop friendship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f it is given in integrated play environment, teacher's constructed active instruction, initiative social skills, responsive social skills, and teacher's direct instruction. Since friendship is considered as essential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developing and researching programs are accounted for establishing friend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