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미영-
dc.creator강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26-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의 미래 사회에서 중시될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공헌하고, 예술적·학문적 성격을 동시에 공유하는 종합교육으로서 무용은 인간의 본능적 신체 움직임으로써 인간이 존재하며 살아 있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으며, 단순한 신체적 움직임이라기 보다는 다분히 심미적이며 인간적인 예술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알고 있는 무용수업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여 좀 더 바람직하고 흥미 있는 무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과 인천지역의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618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의영(1998), 곽갑신(1999), 임숙자(1999), 김나정(2000)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였고, 개인적 특성(성별, 학교별, 학년, 경험유무)의 4개 문항과, 무용의 관심도의 5문항, 그리고 일반적, 심동적, 정의적, 인지적, 심리적 영역에 대한 35문항을 합하여 총4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자료 분석 방법은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release 8.01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고, 설문문항의 신뢰성(reliability)을 확인하기 위해서 Cronbach's α값을 계산하였다. 연구과제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에는 주로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는데 영역별 차이분석은 t-검정과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되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무용에 대한 관심도에 있어서 관심이 있다고 한 학생보다 그렇지 않은 학생이 더 많았다. 둘째,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교별, 학년, 경험유무)에 따른 무용수업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무용수업의 관심도 차이에 있어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무용수업에 더 큰 관심도를 보이고 있다. 학교별에 따른 무용수업의 관심도 차이에 있어서 남녀공학, 여학교, 남학교 순서로 무용수업의 관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남녀공학은 심동적, 정의적, 심리적 영역에서, 여학교는 일반적, 인지적 영역에서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남학교는 모든 영역에서 낮은 관심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년에 따른 무용수업의 관심도 차이에 있어서 1학년, 3학년, 2학년 순서로 무용수업의 관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연구영역 중 1학년이 일반적, 심동적, 심리적 영역에서 무용수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용수업의 경험 유무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에 있어서 무용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경우 무용수업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 일반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무용수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보듯이 무용에 대한 관심이 적게 나타난 것은 대상 학교 6개교 중 4개교가 무용수업을 전혀 실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무용수업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는 심동적 영역의 강화가 함께, 학습자가 원하는 흥미로운 무용수업의 개발이 필요하며, 아직까지 무용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학교에서는 현재의 체육교과 단원구성에서 무용수업 시간비율을 할애하여 무용교육을 실시할 때 학생들이 긍정적 자애개념을 형성하는데 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Dance as general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human life quality' that will be highly considered in the 21st century and shares artistic and academic characters shows that human beings exist and are alive as human being's instinctive movement, and it is not merely movement, but rather indicates aesthetic and humanistic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desirable and interesting dance education by grasping students' interest in dance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I conducted a survey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nd chose 618 copies of questionnaires as study data. Taking the questionnaires used by Kim Ui-young(1998), Kim Na-jung(2000), In Suk-ja(1999) and Kwak Kap-shin(1999) as a basis, I revis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is composed of total 44 questions - 4 ab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experience, school year and school type), 5 about interest in dance, and the other 35 questions about general, psychological, emotional, cognitive and dynamical fields. For data analysis, I used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release 8.01 statistical package, and calculated Cronbach's αvalue to check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inspecting the study task, I mainly used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and t-test and one-way ANOVA for analysing difference between fiel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dance, the bigger number of students say that they are interested in dance. Difference of interest in dance class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x, experience, school year and school type) is described follows. When it comes to difference of interest in dance class according to sex, girl students have more interest than boy students in all fields. Regarding difference of dance class according to school types, girls' and co-ed schools show higher interest than boys' school. In the field of psycho-dynamics, girls' school show lower interest than co-ed. Speaking of difference of dance class according to school years, the first grader show higher interest in dance lesson in general, psycho-dynamic and psychological fields show higher interest in dance class than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rs. In case of difference of interest according to experience of dance class,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ance class have interest in dance class in general, cognitive and emotional field compared to those who haven't. In summary, in educating dance, which is highly valuable in the aspect of education, we need to strengthen dance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interesting dance class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students' forming positive self-concept at the school that does not have dance education y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무용교육 = 5 1. 무용교육의 중요성 = 5 2. 무용교육의 목표 = 8 3. 무용의 가치 및 효과 = 11 B. 학교 체육교육과 무용 = 18 1. 제 7차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배경 = 19 2. 제 7차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 22 3. 제 7차 교육과정 중 학년별 무용단원 = 25 4. 선행연구 = 27 III.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연구도구 = 30 C. 자료분석 = 32 IV. 결과 및 고찰 = 33 A. 중학생의 무용에 대한 관심도 = 33 B.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용수업에 대한 관심도 = 38 1. 성별 = 39 2. 학교별 = 40 3. 학년 = 42 4. 경험유무 = 43 V. 결론 및 제언 = 45 A. 결론 = 45 B. 제언 = 47 VI. 참고문헌 = 48 부록 = 53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02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무용수업에 대한 관심도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