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와 지각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와 지각에 관한 연구
Authors
진연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교사의 자질을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이 기대하는 무용교사자질과 실제 지각하는 무용교사자질에 대해 학교급별, 무용전공별, 무용경력별로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무용교사의 자질을 규명하고 현직에 있는 무용교사의 자질향상에 이바지하는 것과 동시에 더 나아가 무용교육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예술 중·고등학교의 무용전공학생으로서 총 3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지는 최정윤(1990), 김경숙(1995), 김순칠(1989)의 설문문항을 기초하여 재구성하였으며,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수준과 지각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별 학생이 기대하는 교사자질과 실제 지각하는 교사자질로 나누어 5단계 평정척도에 의해 총 3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무용교사의 자질 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기대와 지각간의 차이와 학교급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무용전공별, 무용경력별의 차이는 t-검정과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사의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영역 모두에 있어 학생의 기대수준에 비해 지각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 차이에 있어 학생이 기대하는 무용교사의 자질은 전문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 인성적 자질 순으로 높은 기대수준을 나타낸 반면, 실제 지각하는 무용교사의 자질은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 순으로 낮은 지각수준을 나타났다. 따라서 기대와 지각간의 차이가 인간관계적 자질에서 가장 컸고, 인성적 자질, 전문적 자질 순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에 따라 무용교사의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는 높은 수준에서 차이가 없으며, 지각은 낮은 수준에서 중·고등학생간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무용교사자질의 세 영역 모두 학생의 기대수준과 지각수준간의 차이에 대해 중·고등학생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고등학생 모두 기대수준에 비해 지각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별에 따라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는 높은 수준에서 차이가 없으며, 지각은 낮은 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기대와 지각간의 차이에 대해 전문적 자질과 인간관계적 자질에서는 무용전공학생 세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성적 자질영역에서는 한국무용학생집단의 차이가 가장 컸고 발레, 현대무용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의 기대와 지각의 차이는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학생집단 모두 무용교사자질의 세 영역에 있어 기대수준에 비해 지각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무용경력별에 따라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는 높은 수준에서 차이가 없지만 지각수준은 경력이 많아질수록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학생의 기대와 지각간의 차이에 있어서도 무용교사의 자질 세 영역 모두 무용경력이 많아질수록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경력이 3년 이하, 4-6년, 7년 이상의 집단 모두 무용교사의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에 대해 기대수준에 비해 지각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무용경력이 많은 학생집단이 무용교사의 인간관계적 자질에 대해 기대수준과 지각수준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ceived quality and expected quality for the dance teachers among the who major the dance at secondary art school. For that purpose we classified the dance teachers quality into three domains[1. Professional quality 2. Personality quality 3. Human Relations quality ].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quality and expected quality for the dance teachers by the three dimensions ; the school system[mid school-high school of art], the major field of dance[Korean dance-Ballet-Modern dance] the career for the dance[under 3 years, 4~6 years and over 7 years]. By this study we intended to contribute to elevate the qualities of dance teachers and to improve the education of dance by the defining the dance teachers desirable qua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357 students of the mid and high school of art in Seoul. The questionnaire were made in three domains; 1.Professional quality 2.Personality quality 3.Human Relations quality on the basis of surveys of Choi Jeung-Yun(1990), Kim Kyoung-Suk(1995) and Kim Sun-Chil(1989). This was consisted of total 36 items that were evaluated by Likert scale with five response options in expectation and perception levels. In the survey ANOVA was applied to prove that there are differences for the perceived quality and expected quality between the major fields of dance and between the career for the danc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perceptio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syste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expectation and perception for the all of three domains[1. Professional quality 2. Personality quality 3. Human Relations quality ]. That is to say, the level of perceived quality of the dancing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of expected quality. The gap of human relations quality is the biggest in three domains. personal quality was middle and Specialistic quality was shown in the gap of difference. (2) As to all three domains of dance teachers quality[1. Professional quality 2. Personality quality 3. Human Relations quality ], the level of perception for the quality of dance teacher was shown lower than that of expectation in both of mid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both group of mid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gap size of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level and perception level. (3) As to all three domains of dance teachers quality[1. Professional quality 2. Personality quality 3. Human Relations quality ], the level of perception for the quality of dance teacher was shown lower than that of expectation in all major fields of dance;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 and perception among three groups of major fields of dance. But in the domain of personality, it was shown Korean dance > Ballet > Modern dance in the order of gap between expectation and perception level. (4) As to all three domains of dance teachers quality[1. Professional quality 2. Personality quality 3. Human Relations quality ], the level of perception for the quality of dance teacher was shown lower than that of expectation in all career steps for dance; under 3 years, 4~6 years and over 7 years. The gap size was shown increasing according to years for the dance career in all three domains of dance teachers qu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