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함지선-
dc.creator함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22-
dc.description.abstractThe ultimate goal of dance education is to let learners deliver their thoughts, ideas and emotions through dancing, and it lies in developing the whole man by forming a creative man with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reativity. To achieve this goal of dance education, dance teachers need to have interest what educational philosophy they have and how satisfied they are with their job. Therefore, this study gives chance to examine reality of dance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real condition of and relation between dancer teach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job satisfaction, and it has the purpose to suggest guidelines to become better dance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110 dance teachers who work in culture centers, high schools and other dance educational institutes in Seoul and in the suburb of Seoul.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responses with insincerity are excluded from statistical processing, and the analysis methods as actual proof used in this study are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ova,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data is tested in the level of p<.05, and SPSSWIN9.0 i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rough data analysis written as above, I have g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most of dancing teachers think that their job is a profession (87.3%), and they chose their job because they wanted it(86.4%). Most of them also think positively about their job as a dancing teacher(90%). Second, the focus dancing teachers(50%) think that we should put on our education most urgently is creativity education(39%) and technique-based education(24.5%) properly for the features of ' dancing', and the task we are facing right now is art promotion education(50%). As for teaching methods of dancing, they think that interactive discussion (67.3%) is the most appropriate, and they have positive thinking of special dancing activity(54.5%), educational punishment or feedback(64.5%). Third, dancing teachers have strong discontent with college entrance system(36.4%), and they pointed out improv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49.1%) and that should be improved as a top priority. Fourth, the role model that dancing teachers want to raise is a person with quality of profession dancer(41.8%), and the biggest problem learners has is lack of patience(36.4%) and weak willpower(28.7%). Also, they think teachers will real abilities (60.9%) are the most desirable. Fifth, people who showe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ir work turned out to be those who are thirty-one years old or older, highly educated, married, in charge of preparing classe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having more experiences than others, having high income, and th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were varied much. Sixth, the degree of qualification varied according to age, academic career, whether or not the person is marr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e person is in charge, monthly income, what occupation the person has, and educational career, and privat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varied accoring to academic career, whether or not the person has a chile or children, the nature of the class s/he is in charge, and what kind of occupation s/he had. Seventh, the degree of enthusiasm var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erson is marr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e person is in charge, monthly income, and educational career, and the degree of fellow feelings was dependent upon what characteristics the class the person is in charge had, and the teachers of a class preparing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turned out to have strongest interest, and then the teacher of classes for children showed second strongest interest, and then the those who are in charge of the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ose who are in charge of classes for house-wives and elementary class, and then the teacher in charge of high school students showed least satisfaction with the work. Eigh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work varied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the nature of the work, and people who have monthly income of one million one or more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satisfaction, then those of who had monthly income of 600000-800000 won were in the second place, and those who earn 800000-1000000 won, and then those who earn 600000 one or less had the least satisfaction. Ninth, satisfaction with the supervisor vari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career, whether the teacher had children, the nature of the class, what occupation the teacher had, and people who have monthly income of one million one or more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satisfaction, then those of who had monthly income of 600000-800000 won were in the second place, and those who earn 800000-1000000 won, and then those who earn 600000 one or less had the least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 was not small. Tenth, as to the dancing teachers, the reason for becoming dancing teachers, what images of dancing teachers the teacher has in her/his mind, how the teacher thinks of corporal punishments on the students, what the teacher thinks is the most urgent thing that has to be corrected, what image of dancing teacher the teacher has affected on the teacher's satisfaction and produced great deal of differences of th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무용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로 하여금 무용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사상, 사고, 감정 등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학습자들의 창의성 개발과 함께 창조적 인간을 형성하며 더 나아가 전인적인 인간을 개발하는데 있다. 무용지도자는 이와 같은 무용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이끌고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때문에 그들이 어떠한 교육관을 갖고 학습자들을 교수하고 있으며 그들의 그러한 직업에 어느 정도 만족을 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용지도자의 교육관과 직업만족도의 실태와 그 관계를 밝혀 무용교육현실을 되짚어 보는 기회를 마련하고 그것을 토대로 좀 더 나은 무용지도자로서의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1년 현재 서울시와 경인지역에 위치한 문화센터, 무용학원, 인문계 또는 예술고 강사나 전임지도자 등의 무용교육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무용지도자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회수된 자료 중 무성의한 반응을 보인 설문자료는 통계처리에서 제외시켰으며 여기서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검증(t-test),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활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무용지도자들은 대부분이 무용지도자라는 직업에 대해 전문직(87.3%)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본인이 원해서(86.4%) 무용지도자의 길을 선택했으며 무용지도자의 길을 택한 것에 대해 대부분의 경우가 긍정적(90%)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둘째, 우리 교육에서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은 ‘무용’이라는 특징에 적합하게 창의성 교육(39%)과 테크닉 위주 교육(24.5%)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추구해야 할 당면과제는 예술 진흥 교육(50%)이고, 학생들의 무용 교수방법으로는 상호적 대화방법(67.3%)이 가장 적절하며 무용 특별활동(54.5%)이나 교육적 체벌 또는 피드백(64.5%)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개혁의 대상으로 대학입시제도(36.4%)에 대한 불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예산 중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확충해야 할 부분은 교육시설 및 환경의 개선(49.1%)을 가장 높은 비율로 지적하였다. 넷째, 무용지도자들이 양성하고 싶은 학습자 상이 전문무용수로서의 자질을 갖춘 사람(41.8%)이고 학습자에게 가장 문제시되는 점은 인내력 부족(36.4%)과 나약한 의지(28.7%)이며, 바람직한 지도자 상으로는 실력 있는 지도자(60.9%)라고 생각하는 지도자들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배경변인에 따른 직업만족도의 차이에 대하여 연령이 31세 이상 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자녀가 있을수록, 지도대상수준이 대학 입시반인 경우,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근무처가 예체능계인 경우,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인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개인적 자질표출 요인에 대하여 연령, 학력, 결혼여부, 지도대상수준, 월평균 수입, 근무처, 교육경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개인적 ·심리적 만족 요인에 대해서는 학력, 자녀여부, 지도대상수준, 근무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유인요인에 대하여 결혼여부, 지도대상수준, 월평균 수입, 근무처, 교육경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동료관계 요인에 대하여는 지도대상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학입시반, 유아반, 중등반, 주부반, 초등반, 일반 고등반의 순으로 직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일 자체 성격에 대한 만족요인에 대하여 연령, 월평균 수입, 근무처, 직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적 만족요인에 대한 월평균 수입의 경우는 100만원 이상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60~80만원 미만, 80~100만원 미만, 60만원 미만의 순으로 나타나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이상인 경우 사회적 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홉째, 대감독자만족요인에 대하여 연령, 학력, 자녀여부, 지도대상수준, 월평균 수입, 근무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그 중 월평균 수입의 경우는 100만원 이상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60~80만원 미만, 80~100만원 미만, 60만원 미만의 순으로 나타나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이상인 경우 대감독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열째, 무용지도자의 교육관 중 무용지도자가 된 이유, 무용지도자에 대한 생각, 지도자의 교육적 체벌이나 피드백에 대한 생각, 가장 시급한 교육개혁 대상, 바람직한 무용지도자상의 변수에 직업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용어의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5 1. 교육관 및 지도성 = 5 1) 교육관의 개념 = 5 2) 교직과 교육관의 관계 = 6 3) 무용지도자의 지도성 = 9 2. 직업만족도 = 10 1) 직업만족도의 개념 및 요인 = 10 2) 직업만족의 중요성 = 16 3) 직업만족에 관한 이론 = 18 3. 교육관과 직업만족도의 관계 = 21 III. 연구방법 = 23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 23 2. 조사도구 = 25 3. 자료처리 = 28 IV. 결과분석 및 고찰 = 2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9 2. 무용지도자의 교육관 조사결과 = 31 3. 무용지도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업만족도의 차이 = 41 4. 무용지도자의 교육관과 직업만족과의 관계 = 57 V.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영문초록-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9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무용지도자의 교육관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