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아동의 무용활동과 사회성과의 관계

Title
아동의 무용활동과 사회성과의 관계
Authors
황지원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nce in developing sociabiliti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o that,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five variables of sociabilities such as activity, stability, dominance, social gathering, and self-regulation and sociability per se between children who had taken dance lessons and who hadn't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different effect of different duration, frequence, and intensity of dance less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sex were investigated. 552 Children who attended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collected by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them, 266 had experienced dance lesson and 286 hadn't.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Lim, ban sang(1986) was used to measure the dance activity an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Jong bum-mo & Lee jung-sung(1971) was used to measure the sociabilities. Statistics employed for data analyses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dance experienced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all sociabilities variables and sociability per se than non-experienced group. Second,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the dance lesson showed positive relation with social development while the frequence of dance lesson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t. Third, dance experienced group showed higher sociabilities than non-experienced group regardless their sex. However, the sexual differences in sociabilities(girls showed higher stability, dominance, social gathering, and self regulation than boys.) in the sample group disappeared in dance experienced group. The findings indicates that regardless of their sex, experiencing dance lesson not only helps children to develop variables of sociabilities such as activity, stability, dominance, social gathering, and self regulation sociabilities, but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bility per se. Futhermore, regarding the disappeared differences in sociabilities variables, the positive effect of dance experience for boys seems higher than those for girls.;본 연구는 아동에게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만하게 하는 사회적응성을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영역으로써의 무용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무용활동 참여와 사회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아동들의 무용활동참여 유·무와 사회성 및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등과 같은 사회성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부가하여 성별과 사회성과의 관계, 무용 참가 정도(기간·빈도·시간)와 사회성과의 관계를 경험적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정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1년 현재 서울시내에 있는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아동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체계적 유층 집략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무용활동 참여자 266명, 비참여자 286명 등 총 552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무용활동참여와 사회성과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임번장(1986)의 설문지를 기초로 무용활동을 측정하였고, 사회성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범모, 이종승(1971)에 의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표준화된 아동용 인성진단 검사 질문지를 기초로 사회성 요인을 뽑은 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적합한 문장으로 재구성하여 <아동의 무용활동과 사회성과의 관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 검사를 통하여 설문 내용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다음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다음 수정, 완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여 각각 분석하였고, 주요 변인에 대한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에는 Dunkan's method를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아동의 무용활동 참여와 사회성과의 관계에 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아동의 무용활동참여는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모두 참여하지 않은 집단 보다 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사회성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사회성의 발달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무용활동참여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무용 활동을 한 집단에서 사회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 하위 요인별로 보았을 때, 전체 집단에서 여자 아동들이 남자 아동들에 비해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무용을 한 집단 속에서는 성별에 따른 사회성 및 사회성 하위요인들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아동의 무용활동참여 정도(기간·빈도·시간)와 사회성과의 관계에서는 무용활동기간과 시간에서는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나 무용활동참여 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동들은 성별과 관계없이 무용활동의 경험을 통해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모두를 발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자 아동들의 경우 전체집단에서는 안정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요인에서 여자 아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무용활동에 참여한 집단에서는 여자 아동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발달되었다. 이로 보아, 무용활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여자 아동들에게 보다 남자 아동들에게 더욱 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