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중등 수학 교과서의 평가문항 및 활용도 분석

Title
중등 수학 교과서의 평가문항 및 활용도 분석
Authors
구자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구체화시켜 놓은 공식적인 자료이며, 특히 교과서 평가문항은 문제 상황에 따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달리 하므로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학교 현장에 반영하는 기능을 한다. 교육부가 1997년에 고시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토대로 탐구하고 예측하며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 수학을 사용한 또는 수학을 통한 정보를 처리하고 교환하는 능력, 실생활이나 다른 교과 영역에서 수학적 지식을 사용하여 문제를 구성하고 해결하는 문제 해결력, 창의력,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성향, 사고의 우연성, 자신감 등의 '수학적 힘'을 기르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교과서는 수학 교육과정의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평가문항이 교육과정의 목표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변화가 있는지,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은 교과서 평가문항이 얼마나 변화되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의식 조사를 통해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문제점과 학교 현장의 평가에서 교과서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내용 영역별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문항을 계산, 이해, 추론, 문제해결, 의사소통의 행동 영역으로 나눌 때 그 비율은 각각 어떠한가? 2.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문항들을 위의 다섯 가지 행동 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할 때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3. 수행평가 문항은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가? 또 어떤 비율로 다루어지는가? 4. 교사들이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데 교과서를 활용하는 비율은 어느 정도이며, 교과서 문항의 타당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5. 6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비교하여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행동 영역의 문항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위의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평가문항을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로 분류하여 그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교과서 평가문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서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문항을 빈도분석 한 결과 몇몇 내용 영역에서 추론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의 행동 영역 문항수가 약간 증가하는 작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문항을 다섯 가지행동 영역으로 분류하여 χ² 검정한 결과 빈도분석에서 보여지는 평가문항의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므로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평가문항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를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7차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 수행평가 문항은 교과서에서 대단원별로 한 문항 정도의 비율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문항의 유형은 형성평가에 포함된 문항이나 단원의 끝 부분에 학생들의 활동을 강조하는 유형의 문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과서 평가문항에 대한 수학 교사의 활용도 조사 결과 교사들은 진단평가 문항을 구성하는데 있어 많은 교사가 교과서의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형성평가 문항 구성하는 경우 대부분의 교사는 여러 자료를 참고로 하여 직접 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평가문항이 실제 수업에서 평가문항으로 타당한가에 대한 조사는 '보통이다'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6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비교하여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행동 영역의 평가문항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는 다섯 가지 행동 영역 모두 '보통이다'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은 교과서의 평가문항이 7차 교육과정의 수학 교육 목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7차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서와 교수·학습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사들이 진단평가 문항을 구성하는데 있어 교과서의 활용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과서는 대단원별로 한 페이지에 네 문항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교과서를 제작할 때 진단평가 문항에 좀더 큰 비중을 두어 교수·학습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항들이 많이 제시되어야함을 시사한다. 둘째, 형성평가 문항을 제작하는데 있어 80%이상의 교사는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형성평가 문항을 직접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과서 문항을 그대로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 다양한 수준의 문항이 제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높음을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교과서는 형성평가 문항수가 축소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난이도의 문항들에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많은 교사들은 진단평가와 수행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가 수업시간의 부족이라 답하였다. 교사들이 수업 진행에서 적절히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량의 경감과 함께 평가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6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결과, 수학 교육의 목표에만 차이가 나타날 뿐 평가의 목적, 평가의 내용, 평가의 방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의 8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편에는 이전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생각된다.;The textbook is the comprehensive official materials which include the definite goals and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ssessment items reflects these goals and contents into the classroom.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announced in 1997 by Ministry of Education, aims to improve the ability of researching, guessing and thinking logically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of processing and exchanging mathematical data, of solving problems needed in the other subjects, of thinking mathematically and creatively and of being confident. That is, to develop 'mathematical power' is the aim of our curriculum. It also means mathematics textbook should be a tool for realiz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classroo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assessment items of the mathematics textbook under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re reflecting the Curriculum, in what ways the textbooks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differ from those of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how much mathematics teachers think textbook has been changed, and to indicate the problems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uggestions of applications of textbook in the school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s follows: 1. What is the ratio of the Behavior part of calculation, comprehension, inferenc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in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divided into the Content part and the Behavior part? 2. How has the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been changed comparing to those of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bove five criteria? 3. In what ways are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eing shown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what ratio? 4. How much are teachers using textbook when making up of the assessment items? And how much do they aware about the validity of assessment items in textbook? 5. How much do teachers aware about the change of assessment items in Behavior part from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o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To solve above the five research questions, it's necessary to analyze the ratio of diagnostic evaluation and formative evaluation in each Seventh and Six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teachers are surveyed for checking their awareness about assessment ite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frequency distribution analysis, it's shown that the number of inference and problem-solving behavior part has been slightly increased in the content part from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o the Sixth one. Second, after the Chi-square analysis of five criteria(calculation, comprehension, inferenc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and formative evaluation in both National Curriculums, it's found that the change of assessment items from the result of 1. is meaningful and more over, that assessment items of the textbook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reflects the educational goal of the Curriculum somewhat completely. Thir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 is manifested in each chapter and the item was one of the formative evaluation items in the same chapter or the one encouraging the student's activity at the end of the chapter. Fourth,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assessment items, it's found that most teachers copy the textbook assessment items as a diagnostic evaluation items and make the formative evaluation items directly using lots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y chose the average answer for the question of the validity of the textbook assessment items. Finally, the assessment items in five behavior parts were found to be changed in a average level. It seems that teachers think th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doesn't reflect well the goal of the curriculum. The main suggestions from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it's shown that teachers are using textbook especially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It means that diagnostic evaluation items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one, which have a great potential to be developed. Second, most teachers who answered not to use the textbook assessment items as a formative evaluation items said that in the textbook assessment items are so flat and difficult. In future mathematics textbook, there should be less assessment items and various assessment items according to learner's needs and levels. Third,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class time is not enough long to take diagnostic evaluations or formative evaluations. To make students take some test and get back their effective feedback, not only the less responsibility for the study but also enough time is needed. Fourth, after the analysis of the Seventh and Sixth National Curriculum, it's found that it's the only educational goal in mathematics that has been changed. The purpose, content, method of assessment have been little changed. This indicates that the coming Eighth National Curriculum should supplement the defect of current curriculum with alternative propos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