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미라-
dc.creator한미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특성 및 수준을 진단하고 유아의 행도을 관찰함으로써, 가정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과 유아행동과의 관련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정보육시설의 일반적 특성과 유아행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1) 가정보육시설의 운영상황은 어떠한가? 1-2) 가정보육시설의 보육교사 배경은 어떠한가? 1-3) 가정보육시설의 운영상황에 따라 유아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4) 가정보육시설의 보육교사 배경에 따라 유아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수준과 보육교사의 활동 및 유아행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1)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수준은 어떠한가? 2-2)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수준에 따라 보육교사의 활동은 어떠한가? 2-3)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수준에 따라 유아의 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3개시에 위치한 30개의 가정보육시설과 30명의 주 보육교사, 그리고 만 2, 3세 유아 179명을 관찰대상으로 하였다. 관찰기간은 1993년 10월 말부터 1994년 1월말 까지 3개월 동안 시설의 질적 수준을 평정하였고, 보육교사를 면접하였으며, 유아행동을 관찰측정하였다. 그리고 1994년 3월 초부터 5월 말까지 3개월 동안 유아와 보육교사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시설평정은 Harms와 Clifford(1989)의 Family Day Care Rating Scale(가정보육시설 펑정척도)을 이용하였으며, 보육교사 면접은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에 기초하여 개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유아행동 관찰도구는 Holloway과 Reichhart-Erickson(1988)의 유아행동 관찰기록지와 국내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비교 및 변량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유아의 보육교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찰은 기록과 녹음을 하였으며, 관찰 후에 재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보육시설의 운영시간은 융통성이 있어 취업모의 사정에 따라 자녀를 위탁하기에 적절한 보육시설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2세 미만 영아의 보육을 기피하고 있었으며, 보육에 부적절한 구조적 환경의 시설들이 많았다. 또한 집단 크기가 크고, 보육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높아 자질을 갖춘 보육교사라 할지라도 질적인 보육을 하기에 힘든 상황이었다. 둘째, 가정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26-30세로 기혼이 많았으며,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였고, 보육교사로서 자격을 갖춘 유자격자가 많아 배경수준이 양호한 편이었다. 셋째, 가정보육시설의 운영상황 중 집단크기가 작고 비율이 낮을 때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보육교사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와 비율에는 적정수준이 있어, 집단크기가 10명 이내이며 비율이 1:5 이하일때 가장 바람직한 유아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넷째, 가정보육시설의 보육교사 배경 변인 중 가장 중요한 변인은 전공과 자격이었다. 유아교육전공자와 유자격자의 시설에서 상호작용이 많았으며, 특히 유아와 보육교사의 긍정적인 상화작용이 많았다. 다섯째,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점수는 최적수준 7점 만점에 전체 평균 3.01을 받아 기본 수준이었다. 여섯째, 가정 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수준이 높은 시설에 비해 낮은 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교육계획을 제대로 작성하지 않았으며, 물리적, 인적 환경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또한 실내,외의 물리적 환경이 보육에 부적절하였다. 일곱째,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유아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반면, 낮은 집단에서 유아와 교구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This study has a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behavior by evaluating the quality of family day care and observing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ccording to this aim research questions are included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mily day care and children’s behavior? 1-1) What are management modes of family day care? 1-2) What are backgrounds of caregivers of family day care? 1-3) Do the management modes of family day care give any different effects on children’s behavior? 1-4) Do the caregiver’s backgrounds give any different effects on children’s behavior? 2.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qualitative rating levels of family day care, caregivers’ activities. And children’s behavior? 1-1) What are qualitative rating levels of family day care? 1-2) Which effects do the rating levels of family day care give any particular differences in children’s behavior? 3-3) Does the rating level of family day care give any particular differences in children’s behavior? As subject, this study observed 179 2-3 years old children and 30 caregivers in 30 family day care homes located in 3 cities of Kyungsangnam Do. Harms and Clifford’s (1989( Family Day Care Rating Scale was used to rate skills of the caregivers operating programs of family day care. A questionnaire for interview with caregivers was used to investigate background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of the caregivers. Children’s behavior was recorded by time sampling during free play session in each family day care home, and the interactions of a caregiver and a child were recorded and tape-record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s, and the analysis of variance. All interactions of a caregiver and a child were transcribed and edited with a descriptive form.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1. An opening time of family day care was changeable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working mothers. Generally infants less than 2 year olds were not accepted and group sizes were very big and many children were assigned to a caregiver. Many caregivers remarked that their housing structures were not appropriate for caregiving. 2. The levels of caregiver’s background were good. Sixty percent of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ollege and ninety percent of caregivers were licensed. 3. The caregiver-child interactions were more positive in classroom of low ratio group. In particular, when a group size was less than 10, and the ratio between a caregiver and children was less than 1:5, caregivers interacted positively with children. 4.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of caregivers’ backgrounds were major in college and license of caregivers. 5. Mean score of family day care rating was 3.01, which was a minimal point. 6. Caregivers from family day care of low score didn’t make educational programs, and they didn’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hysical and personal environment as well. 7. Children interact with their peers positively in high quality group, but negatively in low quality gro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보육제도의 변천과정 ---------------------------------------------- 8 B. 가정보육시설의 성격 ---------------------------------------------- 11 C. 보육의 질 구성변인 ----------------------------------------------- 14 D. 질 구성변인과 유아행동과의 관계 ---------------------------------- 16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도구 --------------------------------------------------------- 30 C. 연구절차 --------------------------------------------------------- 32 D. 자료분석 --------------------------------------------------------- 3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8 A. 가정보육시설의 일반적 특성과 유아행동과의 관계 ------------------- 38 B.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평정수준과 유아행동과의 관계 ----------------- 52 Ⅴ. 논의 및 결론 ----------------------------------------------------- 74 A. 논의 ------------------------------------------------------------- 74 B. 결론 ------------------------------------------------------------- 82 참고문헌 ------------------------------------------------------------- 85 부록 ----------------------------------------------------------------- 93 영문초록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855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보육시설의 질적수준과 유아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경남의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