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경희-
dc.creator황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민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제재에 대한 흥미가 높고 낮음에 따라 아동의 생활문 짓기 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 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생활문 짓기 능력은 제재 흥미의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생활문 짓기 능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의 생활문 짓기 능력은 제재 흥미와 성별에 따른 상화작용 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4개 공립 국민학교 3학년 아동 187명이었다. 연구 절차는 아동의 제재 흥미검사 그리고 생활문 짓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제재 흥미검사는 국민학교 교사 100명이 제시한 생활문의 글감들을 기초 자료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것이다. 연구 대상 아동에게 이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에게 흥미가 높은 제재와 흥미가 낮은 제재, 각각 2개를 생활문 짓기 과제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 생활문 짓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아동을 두개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의 아동에게는 제재 흥미 검사에서 흥미가 높은 제재로 선정된‘눈 오는 날’과‘소풍’에 대한 생활문을 짓게 하였고, 나머지 한 집단의 아동에게는 흥미가 낮은 제재인‘학교 가는 길’과‘비오는 날’에 생활문을 짓게 하였다. 생활문의 결과는 10개 평가 항목에 대해서 세 명의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평가 분석 결과는 분산 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흥미가 높은 제재로 생활문 짓기를 한 아동 집단과 흥미가 낮은 제재로 생활문 짓기를 한 집단간에는 내용의 독창성, 주제와 제재의 연결, 풍부한 내용, 주제와 제재에 관련된 제목, 글 전체의 통일성, 문장부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제재 흥미는 아동으로 하여금 독창성, 주제와 제재의 연결, 풍부한 내용, 주제와 제재에 관련된 제목, 글 전체의 통일성, 문장부호의 측면에서 생활문을 더 잘 짓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제재 흥미는 사건이 일어난 순서에 따른 짜임새, 독특한 글머리, 창의적인 대화문, 맞춤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는 생활문의 주제와 제재의 연결, 풍부한 내용, 글 전체의 통일성, 독특한 글 머리, 창의적인 대화문에서 나타났다. 여아가 생활문의 주제와 제재의 연결, 풍부한 내용, 글 전체의 통일성, 독특한 글머리, 창의적인 대화문에서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내용의 독창성, 주제와 제재에 관련된 제목, 사건이 일어난 순서에 따른 조직, 문장 부호, 맞춤법에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제재 흥미와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맞춤법에서 나타났다. 즉 제재 흥미가 맞춤법 표기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높은 제재 흥미는 남아의 맞춤법 표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반면에 내용의 독창성, 주제와 제재의 연결, 풍부한 내용, 주제와 제재에 관련된 제목, 사건이 일어난 순서에 따른 짜임새, 글 전체의 통일성, 독특한 글머리, 창의적인 대화문, 문장부호에는 제재 흥미와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The Purpose if this study is to find the qualitative difference of writ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opic interest wh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compose experiential writing. To meet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performance when compose experiential writing with high and low interest topics?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writing performance in regard to the variable sex?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writing performance of interest, sex and jointly? The one hundred and eighty-seven children (100boys and 87 girls) in 4 public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Seoul, chose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subject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the one group were written about high interest topics:‘the snowy day’ and‘a school excursio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ere written about low interest topics:‘on the way to school’ and‘the rainy day’. The experimental procedure were topic interest test and composing experiential writing. The children’s writing were rated by three trained rator including researcher. The rated date were analyzed by General Linear models (GL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riginality of content, connection of theme and topic, richness of content, closeness of theme-topic-title, unity in organization, and punctuation of experiential writing in regard to interest level. The high interest topic affect on improving children’s originality of content, connection of theme and topic, richness of content, closeness of theme-topic-title, unity in organization, and punctuat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lling, chronological organization, unusual beginning, and unusual dialogue of experiential writing in regard to interest level. The high interest topics do nor a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pelling, chronological organization, unusual beginning, and unusual dialogue.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nection of theme and topic, richness of content, unity in organization, unusual beginning, and unusual dialogue of experiential writing performance in regard to sex. The girl got significant high score in connection of theme and topic, richness of content, unity in organization, unusual beginning, and unusual dialogue compare with boy.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tial writing performance in regard to the variable of group and sex, jointly. The boy showed significant high score in spelling when written about high interest topics compare with gir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5 Ⅱ. 이론적 고찰 ------------------------------------------------------ 6 A. 글짓기와 생활문 -------------------------------------------------- 6 B. 제재 흥미와 글짓기 ----------------------------------------------- 31 Ⅲ. 연구 방법 -------------------------------------------------------- 42 A. 연구 대상 -------------------------------------------------------- 42 B. 측정 도구 -------------------------------------------------------- 42 C. 평가 도구 -------------------------------------------------------- 49 D. 연구 절차 -------------------------------------------------------- 52 E. 연구 가설 -------------------------------------------------------- 58 Ⅳ. 결과 및 해석 ----------------------------------------------------- 59 A. 내용 ------------------------------------------------------------- 59 B. 조직 ------------------------------------------------------------- 72 C. 표현 ------------------------------------------------------------- 79 D. 표기 ------------------------------------------------------------- 85 Ⅴ. 결론 ------------------------------------------------------------- 91 A. 요약 ------------------------------------------------------------- 91 B. 논의 ------------------------------------------------------------- 93 참고문헌 ------------------------------------------------------------- 97 부록 Ⅰ. 제재 흥미 검사 ----------------------------------------------109 부록 Ⅱ. 교사설문지 --------------------------------------------------117 부록 Ⅲ. 생활문 과제지 -----------------------------------------------118 부록 Ⅳ. 생활문 견본 -------------------------------------------------120 영문초록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113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동의 제재 흥미와 생활문 짓기 능력과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14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