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은순-
dc.creator오은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0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블록의 유형과 수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블록의 수가 적절한 상황에서 블록의 유형(할로우 블륵/ 유니트 블록)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해동은 어떠하며, 이는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블록의 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블록 유형(할로우 블록/유니트 블록)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은 어떠하며, 이는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중소도시에 위치한 어린이 집에 다니는 만 4세 남, 여 12명씩 총 24명이다. 연구대상 유아는 남아 3명, 여아 3명을 한 집단으로 하여 모두 4집단으로 나누어 자연관찰 연구와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집단의 선정은 친구의 놀이 선호도를 조사한 설문지의 내용과 교사의 의견을 토대로 이루어 졌다. 연구는 8주동안 매주 4일씩 오전과 오후에 실시하였으며, 관찰 순서는 적절한 수의 할로우 블록 영역에서 먼저 4회를 실시하고, 다음으로 적절한 수의 유니트 블록 영역에서 4회, 세번째로 부족한 수의 할로우 블록 영역에서 4회, 네 번째로 부족한 수의 유니트 블록에서 4회를 실시되었다. 관찰의 내용은 관찰지와 사진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였다. 적절한 수의 큰 블록 종류로 74개의 할로우 블록을, 적절한 수의 작은 블록 종류로 여러 가지 모형의 소품과 함께 276개의 유니트 블록을 제공하였으며. 부족한 수의 블록으로 할로우 블록 20개, 소품과 함께 유니트 블록 76개를 제공하였다. 관찰도구로는 Rogers에 의해 개발된 관찰 기록표를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놀이의 구체적 상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디오 테이프와 사진을 사용하였다. 관찰은 Smith와 Connolly에 의해 개발된 15초 관찰 표집법을 사용하여, 큰 블록에서 4회, 작은 블록에서 4회, 부족한 양의 큰 블록에서 4회, 부족한 양의 작은 블록에서 4회 실시하여 모두 16회 관찰하였다. 각 회마다 한 유아를 관찰한 시간은 5분으로 16회 동안에 각각의 유아를 80분 관찰하였다. 블록의 유형에 대한 관찰은 유아원 교실에서 자연관찰을 하였으며, 블록의 양이 부족한 상황에서의 관찰은 자료실에서 실시하였다. 관찰자는 연구자와 7년 경력이 있는 어린이 집 담임교사였다. 연구의 결과는 각 요인에 대해 평균빈도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 놀이 상황은 관찰자인 교사와 연구자가 비디오나 사진의 내용을 살펴본 후 합의된 내용을 서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록의 유형에 따라 사회적 참여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큰 할로우 블록은 집단 놀이에 더 적합하며, 놀이의 부재율이 매우 적었다. 작은 유니트 블록은 집단놀이 뿐 아니라 혼자놀이와 병행놀이에서도 고루 관찰되어 유아의 폭넓은 놀이수준을 경험시키는데 적합하였다. 할로우 블록에서의 집단 놀이는 6명이 모두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블록으로 만든 작품을 중심으로 상상놀이를 전개하였다. 유니트 블록에서 유아는 2~3명이 집단놀이에 참여하였으며, 6명이 놀이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아와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이분화된 현상을 보였다. 유니트 블록에서는 상상놀이는 적었으며, 혼자 말과 혼자 소리가 많았다. 블록 유형간에 사회적 행동의 총 발생 빈도에서 차이는 있으나 큰 할로우 블록과 작은 유니트 블록에서 모두 친 사회적 행동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뒹굴기나 싸우기의 행동은 한번도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자가 관찰의 한 항목으로 넣은 동작적 수용하기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사회적 참여수준에서 여아가 부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을 뿐 다른 요인에서의 차이는 없었다. 여아의 부재율이 남아보다 많았다. 사회적 행동에서 위로/칭찬. 소리 놀이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은 빈도를 보여 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사회적 참여수준과 행동에서 성의 차이는 없었다. 놀이 내용면에서 살펴보면 남아는 블록을 가지고 구조물을 만들기를 좋아하였으며, 여아는 만들어진 구조물에서 상상놀이하는 것을 좋아하였다. 셋째, 블록의 수가 부족한 경우에 큰 할로우 블록보다는 작은 유니트 블록에서 혼자놀이, 병행놀이, 집단놀이의 빈도가 높았으며, 방관자와 부재는 낮은 빈도는 보였다. 그러나 블록의 유형에 관계없이 블록과 관계된 상상놀이는 적고, 치기/밀기, 때리기. 빼앗기, 부수기 등 반사회적인 신체행동이 많이 나타났으며. 뒹굴기와 싸우기도 관찰되었다. 큰 할로우 블록보다는 소품이 있는 작은 유니트 블록에서 반사회적 행동의 발생율이 높았다. 넷째, 블록의 수가 부족한 경우에 성의 차이를 보면 남아의 부재율이 여아보다 낮았고, 혼자놀이가 여아보다 높았다. 치기/밀기, 위협하기, 덤벼들기, 갖기/잡아당기기, 울기/소리치기 등 반사회적 행동에서 남아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싸우기와 뒹굴기는 여아의 경우 한번도 관찰되지 않았으나 남아의 경우는 종종 나타났다. 여아들은 방관자의 부재 행동을 남아보다 많이 하였다.;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when they played with small and large blocks during the free play time and played with a reduced quantity of those blocks in the observation room. For the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have been emphasized: 1. What are the level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block (Large hollow block/ small unit block)?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is case? 2. What are the level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in accordance with some reduced quantity of small and large block?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boys and girls? Each of 12 boys and girls in age 4 who send to preschool at city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se 24 children divided into 4 group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boys and girls, and each groups was regarded as an observation unit. The group assignment was made on the basis of a questionnaire and teacher’s advice. They were observed in a preschool classroom and a material room of teachers in the Social Wellfare building. The order of observation was conducted 4 times with hollow blocks, unit blocks, the reduced quantity of hollow blocks and unit blocks in turn. The children were observed for a total of 80 minutes per child, 20 minutes for each type of blocks and 20 minutes for a reduced quantity of blocks. Every child was observed on 16 occasions, four for small and four for large blocks and four for the reduced quantity of large and four for a reduced quantity of small blocks. The observation results were recorded observation sheets revised of Rogers, photographs and videotapes. Two observers, children’s teacher and researcher, each observed two children for alternating 15 seconds. Then observed the second child following the same procedure, until 5 minutes of data per child were collected for each occasion. It suggested 74 large hollow blocks for a large and 276 unit blocks with several accessories for a small and 20 large hollow blocks and 76 unit blocks for the reduced quantity. For a confidence of observed results some statistical method were applied such as the mean value(M), standard deviation(SD), and analysis of variances(Anova) For a qualitative analysis. Photographs and videotapes were used. The observed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It was recognized that som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block. The children engaged in more group play with large blocks and more pararell and solitary play with small blocks. All members of the observation unit were participated actively into building processing and in the ensuing dramatic play with large blocks, and in case of the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a half of them were taken part in actively and the rest of them were shown to rare participants. There was little dramatic play in small blocks but much muttering and talking to themselves and making playnoise. Although some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social behavior were existed between small and lare blocks, Generally children showed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 antisocial ones. Fight and Rough and Tumble were never observed during whole of research period. Specially behavioral Accept, whose was taken from the researcher, observed many cases. 2. No sex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except Not present and solitary play. And there was the same result in the social behavior exept comfort/prise and playnoise, too. Preschool boys participated more with solitary play comparing with girl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eschool boys and girls utilized the blocks differently. The boys prefered make building blocks and girls liked a dramatic play with constructed blocks. 3. When it suggested the reduced quantity of block, the small unit block appeared the more of opportunities in all the levels of play than large hollow blocks exept onlooker and unoccupied. But regardless of types of block, there were little dramatic play and many antisocial physical activities like hit/push, hit at with the reduced quantity of two types of blocks. Fight and Rough and Tumble were observed. There were more antisocial activities in the unit block with several accessories than hollow blocks. 4.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behavior exept Not present and solitary play with the reduced quantity of block.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the same result exept comfort/prise and playnoise, too. Preschool boys participated more with solitary play and participated less with Not present comparing with girls. Also boys had many antisocial physical activities like Hit/push, Threat, Take/pull, and Cry/scream than girls. Fight and Rough and tumble were never observed in girl’s play but frequently in boy’s pl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쌓기 놀이에 대한 관점의 변화 ------------------------------------- 8 1. 쌓기 놀이의 교육적 가치 ----------------------------------------- 8 2. 블럭과 쌓기 놀이에 대한 관점의 변화 ----------------------------- 10 B. 블럭의 유형 및 유아의 블럭 선호도 -------------------------------- 13 1. 블럭의 유형 ----------------------------------------------------- 13 2. 블럭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 --------------------------------------- 16 C. 쌓기 놀이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 ----------------------------------- 21 1. 블럭과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 및 사회적 행동 -------------------- 21 2. 성차에 따른 유아의 블럭 선호도 및 유아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행동 ----------------------------------------------------- 27 3. 블럭의 적절한 수와 모양 및 블럭의 수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 ----------------------------------- 33 Ⅲ. 연구의 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연구도구 --------------------------------------------------------- 39 1. 관찰도구 ------------------------------------------------------- 39 2. 구체적인 놀이 상황의 분석 --------------------------------------- 43 C. 연구의 절차 ------------------------------------------------------ 44 1. 도구의 제작 ----------------------------------------------------- 44 2. 관찰자 선정 및 훈련 --------------------------------------------- 45 3. 연구의 과정 ----------------------------------------------------- 45 D. 관찰장소 --------------------------------------------------------- 49 E. 자료분석 --------------------------------------------------------- 50 Ⅳ. 결과 및 해석 ----------------------------------------------------- 51 A. 블럭의 수가 적절한 상황에서 블럭의 유형과 성차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 ------------------------------------ 51 1. 블럭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 --------- 51 2. 성차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 ---------------- 61 B. 블럭의 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블럭의 유형과 성차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 ------------------------------------ 68 1. 블럭의 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블럭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 ------------------------------------------ 68 2. 블럭의 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성차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참여수준과 사회적 행동 ------------------------------------------ 77 Ⅴ. 논의 및 결론 ----------------------------------------------------- 86 A. 논의 ------------------------------------------------------------- 86 B. 결론 및 제언 ----------------------------------------------------- 91 참고문헌 ------------------------------------------------------------- 93 부록 -----------------------------------------------------------------101 영문초록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914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블럭의 유형과 수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