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진희-
dc.creator홍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60-
dc.description.abstractSpecialty and aptitude fine arts activity has been introduced with the recognition of potential character and aptitude of students for the following two important purposes in 1995; firstly, in terms of educational purpose, it is intended to foster creativity and expand mind of student. Secondly, in terms of professional vocation, to provide 21's century with appropriate human resour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on art studying afterwards by surveying eleven general and four art-specialized middle school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pecialty and aptitude fine arts activity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em. Compared the responses each other and analyzed by percentage and chi-square method in Statistics, following results was obtained; 1. The students who liked the art activity and participated in the speciality and aptitude fine arts activity voluntarily showed their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of activity they received. Along with such a satisfaction, they also showed that the activity, which could be achieved by adopting higher standard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of instructors for the activity. 2.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activity,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have been exposed to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but limited to the chances to learn art history, artists and work. Also it was revealed that student have a very limited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art history and artists. 3. Through the activity, students' attitude was changed in such a way as they better prepare for art class, more interested in peer's art work, spends more time in internet to find out art, and exhibitions. 4.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the activity and studied various materials, techniques, history and artists entered to art middle school to learn art more professionally. However, many of them decided to study at private art institutes because the activity did not provide them with adequate, enough and professional educational content with insufficient class hour. Speciality and aptitude fine arts activity shows its positive impacts on art studying activity by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chances to contact art activity. By developing potential capability associated with art, the activity is helping students determine their future too. For the students who do not art professionally, the activity has an effect of improving cultural life by making their environment beautiful and convenient constantly. For these known effects of the activity to be enhanced even further,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governmental and schools' investment needs to be made to better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peciality and aptitude fine arts activity.;특기·적성교육활동은 다양한 특성과 적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한다는 교육적 목적과 함께 분업화되고 전문화된 오늘날의 사회가 요구하는 21세기형 인간을 육성하고자 하는 취지로 1995년부터 학교현장에 도입된 제도이다. 현재 초·중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특기·적성교육활동은 학생의 특성과 적성을 찾아내고 계발시키려면 어릴 적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의 특기·적성교육활동 프로그램으로서의 미술활동이 학생들의 미술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인문계와 예술계 학생들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관계문헌연구와 초등학교에서 특기·적성미술활동에 참여한 4개교의 예술계 중학생과 11개교의 인문계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에서 나타난 내용과 수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설문지를 각 문항별로 백분율로 통계 처리하고 카이 자승 검증을 하였다. 1. 미술에 흥미가 있는 학생 스스로의 특기·적성미술활동의 참여로 학생들 스스로가 만족스러워 하였다. 그러나 학습내용이 연구되고 다양해져야 함과 아울러 강사의 전문적 자질의 여부도 지적되고 있다. 2. 학생들은 다양한 표현재료, 표현기법을 학습하였지만 미술에 관한 역사적 내용과 작가, 작품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의 작가와 전통적인 미술 문화에 대한 것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3. 미술활동을 통하여 준비물과 주제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타 학생의 제작과정과 작품에 관심을 기울이며, 미술에 관련된 인터넷 사이트나 전시회 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4. 좀 더 다양한 재료, 기법, 미술사 및 작가와 작품에 적극적으로 학습한 학생들 대부분은 미술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상급학교로 진학을 원하였다. 그러나 입시를 위해 입시 전문 미술학원을 선택하였다. 이는 특기·적성미술활동이 입시를 준비하기에는 학습내용이 전문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수업 시간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기·적성미술활동은 학생들에게 미술활동을 가깝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잠재된 소질을 계발시킴으로써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환경을 아름답고 편리하게 가꾸는 일들은 미술활동을 생활화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삶을 풍요롭게 영위하도록 돕고 있다. 이러한 특기·적성미술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많은 연구 및 국가의 지원, 학교의 관심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 등 제반에 걸친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 2 II. 이론적 배경 A. 미술학습의 목적 = 4 B. 교과 외 과정 = 4 C. 특기·적성교육활동 = 18 D. 외국의 특기·적성교육활동 = 26 III. 조사 연구 A. 연구의 대상 = 31 B. 연구의 내용 = 33 C. 분석 및 결과 = 34 IV. 결론 = 64 참고 문헌 = 66 부록 = 68 영문 초록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79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특기, 적성미술활동이 미술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예술계와 인문계 중학교의 14,15세 아동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