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한민지-
dc.creator한민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구두 반복 학습 전략과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장·단기 어휘 학습 효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의 사용 유무를 독립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생산적 어휘 지식과 수용적 어휘 지식으로 나누어 어휘 학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을 측정하여 장·단기 어휘 학습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은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에 효과적일 것인가? 연구 문제 2.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은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에 효과적일 것인가? 연구 문제 3. 구두 반복 학습 전략 사용에 따른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 효과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 문제 4.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은 어휘 학습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국내 소재 4개의 대학 부설 언어 교육 기관에 속한 3급 및 4급 중국인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1일에는 실험 참여자를 무선할당하여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10분간 목표 어휘를 학습 한 후에 1차 사후 어휘 평가(말하기 시험, 빈 칸 채우기 시험, 번호 고르기 시험)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한국어 빈 칸 채우기 시험을 시행하였으며, 무의미 음절 따라 말하기 과제를 통해서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1일을 진행하고 1주일이 지난 후에 실험 2일을 진행하였다. 실험 2일에는 회고적 어휘 지식 평가와 2차 사후 어휘 평가(말하기 시험, 빈 칸 채우기 시험, 번호 고르기 시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 독립 표본 t-검정, 대응 표본 t-검정 및 상관분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은 단기 어휘 학습에 효과적이며, 생산적 어휘 지식과 수용적 어휘 지식의 습득에 유용하다. 1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집단 간 평균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은 장기 어휘 학습에 효과적이며, 생산적 어휘 지식과 수용적 어휘 지식의 습득에 유용하다.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집단 간 평균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장·단기 어휘 학습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에 따르면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은 생산적 어휘 지식보다 수용적 어휘 지식 습득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은 단기 어휘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수용적 어휘 지식 및 생산적 어휘 지식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은 장기 어휘 학습 효과와 상관관계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몫으로 남겨져 있는 어휘 학습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으로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의 사용을 제시하였다. 구두 반복 학습 전략이 수용적 어휘 지식 뿐만 아니라 생산적 어휘 지식도 학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임을 밝힘으로써, 구두 반복 학습 전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휘 학습 전략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 어휘 학습 전략의 교수 및 을 도모할 발판을 제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and the phonological memory capacity on a short-term and a long-term Korean vocabulary learning. This study adopted using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measured the effect of vocabulary learning by separating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honological capacity on korean vocabulary learning by observing the correlation between (i) the measured phonological memory capacity and (ii) the effect of long-term and short-term vocabulary learning. To verify such effect, this study established the research topics as follows: 1. Is the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effective on a short-term vocabulary learning? 2. Is the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effective on a long-term vocabulary learning?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short-term vocabulary learning and long-term vocabulary learning according to using the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or not? 4.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phonological memory and the vocabulary learning?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topics, the experiment proceeded twice in total with 33 Chinese speakers of the intermediate Korean classes from four different language centers of universities in Korea. On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two groups studied target words for ten minutes, and then they took an immediate vocabulary post-test (speaking test, cloze test, and multiple choice test). In addition to this, in order to validate the homogeneity of each group, the participants took a Korean C-Test, and the phonological memory of each of them was measured by a non-word repetition task. The second experiment was taken after one week from the first experiment. On the second day of the experiment, the retrospective vocabulary test and the delayed vocabulary post-test (speaking test, cloze test, and multiple choice test) were conducted. The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from these two experiments was mad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oral repetition strategy is effective in a short-term vocabulary learning and useful to both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arried out the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immediate vocabulary post-test of the first experiment. Also, the gap of the mea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oral repetition strategy is effective in a long-term vocabulary learning and useful to both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delayed vocabulary post-test of the second experiment. Also, the gap of the mea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based on the result that a short-term vocabulary learning was compared with a long-term vocabulary learning, the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is more effective to the acquired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rather than to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Fourth, the phonological memory affects a short-term vocabulary learning and ha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lso, the phonological memory has a correlation with a long-term vocabulary learning, but such corre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esents the use of the oral repetition strategy which is one of the various vocabulary strategies for Korean learner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in studying Korean vocabulary. As this study proved that the oral repetition strategy is effective in th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s well as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his study urges the necessity for researching the effect of variou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ther than the oral repetition strategy and also provides the opportunity to use any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in Korean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B.용어의 정의 4 1.구두 반복 학습 전략 4 2.생산적 어휘 지식과 수용적 어휘 지식 4 3.음운 단기 기억 능력 5 C.논문의 구성 6 Ⅱ.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7 A.어휘 학습 전략 7 1.어휘 학습 전략 7 2.구두 반복 학습 전략 11 B.작업 기억과 음운 단기 기억 이론 12 1.작업 기억의 구성요소 12 2.Baddeley와 Hitch의 음운 단기 기억 15 C.선행 연구 고찰 16 1.음운 단기 기억과 어휘 학습에 관한 연구 16 2.어휘 학습 전략과 어휘 학습에 관한 연구 17 D.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19 1.연구 문제 19 2.연구 가설 20 Ⅲ.연구 방법 23 A.연구 설계 23 B.실험 참여자 25 C.연구 도구 30 1.실험 도구 30 가.목표 어휘 선정 30 (1)품사의 통제 30 (2)난이도의 통제 30 (3)빈도의 통제 32 나.어휘 목록 제작 33 다.무의미 음절 따라 말하기 과제 제작 34 2.측정 도구 36 가.집단 동질성 평가 36 나.1차 사후 어휘 평가 36 (1)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 37 (2)수용적 어휘 지식 평가 37 다.음운 단기 기억 능력 측정 도구 38 라.회고적 어휘 평가 39 마.2차 사후 어휘 평가 39 바.실험 도구 신뢰도 39 D.연구 절차 41 1.실험 도구 제작 43 2.예비 실험 43 3.1차 실험 45 4.2차 실험 46 E.자료 분석 방법 47 1.채점 47 가.무의미 음절 따라 말하기 과제 채점 49 (1)채점자 내 신뢰도 49 (2)채점자 간 신뢰도 49 나.1차 및 2차 말하기 시험 채점 50 2.통계 분석 방법 51 Ⅳ.연구 결과 및 논의 53 A.구두 반복 학습 전략의 단기 어휘 학습 효과 53 B.구두 반복 학습 전략의 장기 어휘 학습 효과 57 C.구두 반복 학습 전략의 장단기 어휘 학습 효과 비교 62 D.음운 단기 기억 능력과 구두 반복 어휘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68 Ⅴ.결론 73 A.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73 B.연구의 의의 및 제언 75 참고문헌 76 부록 82 ABSTRACT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67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구두 반복 학습 전략과 음운 단기 기억 능력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Oral Repetition Learning Strategy and the Phonological Memory Capacity on Korean Vocabulary Learning-
dc.creator.othernameHan, Min Jee-
dc.format.pagex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