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이소연-
dc.creator이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진행상 보조용언 '-고 있다', '-어 가다', '-어 오다'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I장에서 연구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연구 문제로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보조용언의 사용이 보조용언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진행상 보조용언이 가지는 동작 진행의 지향점 함의 여부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진행상 보조용언 '-어 가다'를 도달점 표시 부사어의 공기 여부에 따라 나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용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 문제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시제상 사용 능력에 따라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에도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한국어의 시제와 상 사용 능력을 기준으로 학습자의 집단을 분류한 뒤 첫 번째 연구 문제에서 설정한 동일한 연구 가설 두 가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II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진행상 보조용언을 사용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표성 차이 가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어 진행상 보조용언, 그리고 한국어 진행상 보조용언에 대응될 수 있는 중국어 표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절차를 상세히 밝혔다. 예비 실험을 통해서 한국인 20명의 한국인 모어 화자가 100%의 정답 일치도를 보인 문항들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고 학습자들은 문항에 제시된 각각의 상황에 알맞게 진행상 보조용언 세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연스러운 문맥으로 대화쌍을 완성해야 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6개 대학의 대학생과 대학원생 및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고급 숙달도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IV장에서는 실험 결과 및 해석을 기술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진행상 보조용언의 지향점 함의 여부에 따라 진행상 보조용언의 사용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진행상 보조용언 '-어 가다'의 도달점 표시 부사어 공기 여부에 따라 보조용언 '-어 가다'의 사용에도 차이가 있었다. 한국어 시제상 사용 능력으로 상, 하를 구분한 집단들 중 하 집단에서도 전체 학습자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지향점 함의 여부에 따라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에 차이가 있었지만 도달점 표시 부사어 공기 여부에 따른 보조용언 '-어 가다' 사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 집단의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은 지향점 함의 여부에 따른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도달점 표시 부사어 공기 여부에 따른 상 집단의 진행상 보조용언 '-어 가다'의 사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 결론과 함께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그동안 한국어 교육계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한국어 학습자의 상 습득, 그 중에서도 진행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용언의 습득 양상을 밝혔다. 둘째, 국어학에서는 풍성한 논의가 이루어졌지만 한국어 교육에는 아직까지 적용되지 못한 한국어의 진행상 보조용언의 의미 기능을 각 보조용언의 사용 상황에 맞게 재정리하여 그 차이를 명확히 밝혔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 양상을 지향점 유무와 필수적인 부사어 공기 여부에 따른 사용 양상의 차이까지를 살펴보았다. 진행상 보조용언 각각에 대한 의미 기능을 사용 상황에 맞게 재정의한 것과 한국인들의 실제 발화에서 자주 함께 쓰이는 도달점 표시 부사어와 공기하는 보조용언 '-어 가다'를 추가하여 살펴본 것은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진행상 보조용언을 교수하는 데에 있어서 구체적인 교수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선행용언으로 진행상 보조용언 '-어 가다'와 '-어 오다'의 심리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의미 기능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앞으로는 학습자 언어권 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한국어 상 습득 연구 또는 다양한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인 의미 기능이나 양태적인 의미 기능에 대한 연구, 그리고 이에 대한 습득 연구들을 기대해 본다.;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CLK) uses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such as ‘-ko issda’, ‘-ə kada’, ‘-ə oda’. In section one, the goal of this study was stated and the previous works were examined to set the research topics. In this part, first it was studied whether the ability to us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by CLK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s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Building on this, it was studied whether the existence of directing point in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made the difference on how CLK uses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Furthermor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ə kada’ was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of adverbial phrase with completion point and studied whether the inclusion of adverbial phrase made difference on CLK’s ability to use them. Based on above studies, two hypotheses were set. First, CLK finds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with directing point such as ‘-ə kada’, ‘-ə oda’ difficult to use than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ko issda’. Second, when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ə kada’ was used with adverbial phrase with completion point, it makes harder for CLK to use it than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ə kada’ without adverbial phrase. In second part of section one, it was studied whether CLK’s ability to use Korean tense aspect made the difference on how CLK uses th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In order to exam it, the level of learners were sorted into low and high group based on their ability to use the tense and aspect of Korean. After this experiment, two hypotheses mentioned above were examined. In section tw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which can affect how CLK us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was studied. In additi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and Chinese equivalent to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were examined. In section three, the steps of the experiment were described in detail. The test learners were given a problem of completing the fluent conversation pairs by selecting one of thre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In section four,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its analysis was addres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its analysis, it is shown that CLK made the difference on usage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directing point.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inclusion of adverbial phrase with completion point made the difference on the usage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 such as ‘-ə kada’ by CLK. The above findings were confirmed by the experiment with test learners. The experiment with test learners sorted as low group showed there is difference on how CLK us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directing point. It was same result as the test result from overall test learners. Nonetheless the inclusion of adverbial phrase with completion point made no difference on the usage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with low group. On the other had, the experiment with test learners sorted as the high group showed that the inclusion of adverbial phrase with completion point such as ‘-ə kada’ made difference on how CLK us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However this group showed the existence of directing point had no effect on how they use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Lastly the significant, conclusion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 were addressed in section five. This research have following significant as first it focused on neglected part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revealed how CLK acquired aspect, especially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Second it clarifie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by distinguishing them according to its usage. Third it even examined how CLK uses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depending on existence of directing point and the inclusion of adverbial phrase. In overall this study has clarify the function and meaning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according to its use and examined the usage of adverbial phrase with completion point such as ‘-ə kada’ based everyday conversation. Hence to those who look to formulate specific educating plan to teach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to foreign Korean learners, it will be used as the valuable data base.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limit as it has not considered one of function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such as ‘-ə kada’, ‘-ə oda’ express the psychological attitude. Yet it was outside of this research's study scop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선행 연구 3 C.연구 문제 11 Ⅱ.이론적 배경 13 A.유표성 차이 가설 13 B.한국어 진행상 보조용언 17 C.한국어 진행상 보조용언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 25 Ⅲ.연구 방법 27 A.실험 참여자 28 B.실험 도구 31 C.분석 방법 38 D.연구 절차 39 Ⅳ.연구 결과 및 해석 41 A.보조용언의 유형에 따른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 41 1.진행의 지향점 함의 여부에 따른 보조용언 사용 42 2.도달점 표시 부사어 공기 여부에 따른 -어 가다의 사용 47 B.시제상 사용 능력에 따른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 55 1.진행의 지향점 함의 여부에 따른 보조용언 사용 55 2.도달점 표시 부사어 공기 여부에 따른 -어 가다의 사용 64 Ⅴ.결론 및 논의 73 참고문헌 78 <부록 1> 시제상 사용 능력 분류용 검사지 81 <부록 2> 진행상 보조용언 사용 양상 측정 검사지 84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1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보조용언 ‘-고 있다’, ‘-어 가다’, ‘-어 오다’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sage of Korean Progressive Aspectual Auxiliary verbs ‘-ko issda’, ‘-&#601; kada’, ‘-&#601; oda’-
dc.creator.othernameLee, Soh Yon-
dc.format.pagei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