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김나나-
dc.creator김나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24-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불안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실 안과 밖에서의 한국어 불안 정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고찰에 의해 도출된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한국어를 사용 시 느끼는 불안이 학습자 변인(거주기간, 학습기간, 숙달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이 실시되었다. 또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불안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t-검증이 실시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한국어를 사용 시 느끼는 불안이 문항별로 차이를 보이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어 불안의 문항별 응답률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먼저 불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언어불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언어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불안 측정 도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절차를 소개한 후 본 연구에서 실험 대상이 된 연구 참여자에 대해 기술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를 밝히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본 실험의 실험 절차를 밝히었다. Ⅳ장에서는 연구결과 및 그에 따른 해석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한국어 사용 시 느끼는 불안이 학습자 변인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거주기간, 학습기간,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불안 양상을 살펴본 결과, 거주기간의 경우 교실 안에 있어서는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안 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교실 밖에 있어서는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학습자보다 거주기간 6개월 ~ 1년 미만의 학습자가 더 높은 정도의 불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1년 이상이 되면서부터 다시 불안 정도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졌다. 학습기간의 경우, 교실 안에서는 학습기간 3년 미만까지는 학습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안 정도가 계속 낮아졌으며 학습기간이 3년 이상이 되면서 다시 가장 높은 정도의 불안이 보여졌다. 교실 밖에서의 경우, 학습기간 6개월 미만의 학습자보다 학습기간 6개월 ~ 1년 미만의 학습자가 조금 더 높은 불안 정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학습기간 1년 이상이 되면서부터 3년 미만이 될 때까지는 학습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안 정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역시 학습기간이 제일 긴 3년 이상이 되어서 가장 높은 불안 정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숙달도의 경우, 교실 안과 밖에서 모두 초급 학습자보다는 중급 학습자의 불안 정도가 높았으며 가장 낮은 불안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고급 학습자이었다. 다음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안과 밖에서의 불안 정도의 차이가 거주기간, 학습기간, 숙달도의 각 변인별로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학습자가 교실 안에서보다 교실 밖에서 높은 불안 정도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안과 밖에서의 한국어 불안의 문항별 응답률을 살펴보아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장면별 한국어 불안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Ⅴ장은 결론 및 논의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얻게 된 결론과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한국어교육에의 시사점을 밝히었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한국어교육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학습자의 언어 학습과 사용에 있어서의 한국어 불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교실 안에서의 불안뿐만 아니라 이제껏 연구가 전무하였던 교실 밖에서의 불안 양상을 밝히었으며 국내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한국어 불안 척도를 개발한 데에 의의가 있다.;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anxiety felt by Japanese speakers of Korean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level of Japanese Korean learners’ anxiety based on certain variables. This thes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an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study and a survey of past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was used to construct and implement the research; a summary of the methodology and an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nd an overview of the importance of and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implemented in this study were described through a survey of related past research including the questions already answered by the work that has been done and further questions raised by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garded the differing levels of anxiety experienced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To verify intergroup differences,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null hypothesis being true, a t-test was also conducte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ed the percentage rate on how Japanese learners of Korean responded to their anxiety. The second chapter serves as an introduction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conducted in this study. Firstly, a close look was taken at anxiety and its manifestations. Secondly, language anxiety was specifically examined. Finally, the anxiety scales that are used to measure language anxiety were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described. The procedures used to conduct the research and certain information about select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dditional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used to quantify anxiety were examined. In the fourth chapt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its interpretation were summarized; a brief synopsis follows. Firstly, the effects of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study, and proficiency on the amount of anxiety report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were discussed. In the case of inside-the-classroom anxiety, the longer a student lived in Korea, the lower the anxiety level appeared to be. In the case of outside-the-classroom anxiety, students who had lived in Korea more than six months had higher levels of anxiety than those who had lived in Korea for less than six months. Moreover, after a student had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one year, anxiety levels started to decrease. Inside-the-classroom anxiety showed a similar trend: in general, the students’ level of anxiety fell the longer they studied – but there were some important exceptions. Surprisingly, when the time period reached three years, the level of anxiety again returned to high levels. And in the case of outside-the-classroom anxiety, a student who had studied six months to one year had higher anxiety than a student who had studied less than six months, but after one year the level of anxiety again decreased. The highest anxiety levels were again found when a student had studied Korean for three years. In the case of proficienc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intermediate students had the highest levels of anxiety while advanced students had the lowest anxiety levels. N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anxiety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 each of subject groups –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study, and proficiency –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all the students had higher anxiety levels outside of the classroom than inside, although some of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each of the questions addressed by the survey was closely examined to more strictly quantify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xiety in using Korean according to the situation under which the language was used. In the final chapter,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also described.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anxiety scale to reflect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in Korea speaking the langu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선행연구 4 C.연구문제 14 Ⅱ.이론적 배경 16 A.불안 16 B.언어불안 19 C.불안 측정 도구 27 1.외국어교실 불안 척도 27 2.불어 입력,처리,출력 불안 척도 29 3.일본어 불안 척도 30 Ⅲ.연구방법 33 A.연구 절차 33 B.연구 대상 34 C.연구 도구 36 1.불안 측정 도구 36 1.1교실 안 불안(KLAS-IN) 37 1.2교실 밖 불안(KLAS-OUT) 38 2.연구 도구의 타당도,신뢰도 검증 39 D.실험 절차 48 1.1차 예비 실험 48 2.2차 예비 실험 49 3.본 실험 50 4.분석방법 50 Ⅳ.연구결과 및 해석 51 A.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자 변인에 따른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한국어 불안 51 1.1거주기간에 따른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한국어 불안 51 1.2.거주기간별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불안의 차이 53 2.1.학습기간에 따른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한국어 불안 54 2.2.학습기간별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불안의 차이 57 3.1.숙달도에 따른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한국어 불안 58 3.2.숙달도별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불안의 차이 60 B.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각 언어 사용 장면별 한국어 불안 문항별 응답률 61 1.교실 안 불안의 각 문항별 응답률 61 2.교실 밖 불안의 각 문항별 응답률 64 Ⅵ.결론 및 논의 68 A.연구 결과 요약 68 B.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1 C.한국어교육에의 시사점 72 참고문헌 74 부록 1연구 참여 동의서 79 부록 2설문지(한국어) 80 부록 3설문지(일본어) 83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53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장면에 따른 한국어 불안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xiety toward the Situational Use of the Korean Language-
dc.creator.othernameKim, Na Na-
dc.format.pagex,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