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김나연-
dc.creator김나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4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wa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PE) that teachers and students have had, since the 3rd evaluation systems of the lesson on PE was introduced. Also, this thesis was designed to find out problems surrounding the 3rd evaluation systems and seek ways to make a better evaluation system necessary for strengthening curriculum of PE. In order to meet these objectives, this research thesis visited eight middle schools around Seoul cities, and handed out 513 questionnaires to the eighth graders, and then, analyzed 502 questionnaires except for 11 ones, which made unfaithful replies to given questions. Subsequently, this thesis selected four PE teachers around Seoul cities and one PE teacher around Gyonggi provinces, and after tha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ose people for about 30 to one hour, and reported the record tapes. Based on the replies to questions that students or respondents made in questionnaires and the interviews with local teachers, the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se questionnaire replies made by students showed that more than 60% considered the introduction of the 3rd evaluation method systems not only have reduced competitive grade but encouraged more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s. Those who have been interested in the lesson on PE and enjoyed them accounted for 67%. But, those students, who have hardly participated in the lesson on PE, due to their great pressure on school grades, took up 17.3%. 27.3% of respondents have perceived the lesson on PE were less important than any other lessons, since the 3rd grade evaluation method systems of the lesson on PE were introduced. Students, who have been taking private lessons for school grades reached 9.2%. According to teachers, a few of students have still been taking private lessons even after the 3rd grade evaluation method systems were introduced. As to the 'pressure on learning', students who replied <"I don't feel so heavy pressure on learn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s. Subsequently, they replied <"I rarely feel pressure on learning"> <"I feel a little pressure on learning"> and <"I feel so heavy pressure on learning"> in order.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3rd evaluation method systems, evaluation performance has not been simplified to a substantial extent, teachers replied. According to those people, they can not find solutions to problems, surroun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solving such problems is really impossible, considering a teacher has taken charge of 250~300 students in the process of helping students getting better scores of 'essay test'. These analytic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3rd evaluation method systems of the lesson on PE didn't have brought the substantially great expectation effects.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3rd evaluation method systems of the lesson on PE evidenced that a rising number of supports of the lesson on PE have been made. But, there were a difference in support volumes from each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aspect of better institutional environment management, schools, where have sports stadiums, have taken actions to build such stadiums. Budgets involving PE have been supported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with the past. In aspect of income, a rising number of work training courses have begun to increase. On top of these, a growing number of teaching personnel offer teaching consulting guidance. In aspect of evaluation, a few supports have been made on available data as to performance evaluation on PE. Given the situation, it can conclude that such data have not been so useful in school fields, if any. Third, it is noted that the 3rd evaluation method systems of the lesson on PE have had difficulties setting reasonable standards to determine objectively physical talents that students have. It was so because each school has not introduced better assessment functions. Also, given the education practice, which has allowed students to get basic scores of PE, at least, fear voices have began to raise that students might get probable outrageous inflating school grades. When students and teachers notice that the lesson on PE has less great effect on high school grades, it is feared that 'faith', 'participation', and 'awareness' of the lesson on PE can probably score low. Lastly, PE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in school fields replied that it is desirable to make the evaluation method systems of the lesson on PE, which can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PE performance and provide those people with great motivation for this learning. In this context, it is resonable that school teachers should grade scores on a basis of a curve in the subject of PE, as well as any other academic subjects. But, they can grade PE on a basis of absolute evaluation, when make the individual evaluation on it. At this point, it is urgent to create education environments fit for performing effectively the 3rd evaluation method systems of the lesson on PE. In addition, effective supports should be made to heighten teaching and evaluation skills that teachers have. Also,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make concerted efforts to follow the 3rd evaluation method systems.;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과의 3등급 평가기록 방식 도입 이후 체육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3등급 평가방식의 문제점과 체육교육의 바람직한 평가방식을 모색하여 체육수업 내실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중학교 8곳을 방문하여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513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한 총 502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지역 체육교사 4명과 경기도지역 체육교사 1명을 섭외하여 각 학교에서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 심층면담을 하여 녹취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설문응답과 현직교사들과의 면담을 토대로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설문응답 결과 3등급 평가기록 방식 도입 이후 경쟁서열이 완화되고 협동적인 학습 분위기가 조성되었다고 응답한 학생은 6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3등급 평가기록 방식으로 인해 체육 수업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고 있는 학생은 67%로 나타났다. 성적에 대한 부담이 낮아서 체육수업 참여도가 낮아진 학생들은 17.3%로 나타났으며, 체육교과의 3등급 평가기록 방식 도입 이후 다른 교과와 달리 표기되는 체육교과는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이 27.3%로 나타났다. 현재 체육내신을 위한 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은 9.2%였으며, 교사들은 3등급 평가방식 도입 이후에도 소수의 학생들이 여전히 사교육을 받고 있다고 하였다. 체육교과의 학습 부담 정도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률은 보통이다가 가장 높았으며, 거의 부담되지 않는다, 전혀 부담되지 않는다, 조금 부담된다, 매우 부담된다 순으로 나타났다. 3등급 평가기록 방식 도입 이후 교사들은 평가업무에 있어서 간소화된 것이 없었으며, 평가 권에도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하였다. 또한 체육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 역시 해결하지 못하며, 서술 식 평가 기재 보완에 있어서 한 교사당 250~300명의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과 부에서 체육교과 3등급 평가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제시 했던 기대효과는 구체적으로 부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과 3등급 평가기록 방식 도입 이후 체육교과의 지원이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지원 정도는 교육청 별로 달랐다. 시설&#8226;환경 개선 측면에서는 체육관이 없는 학교에는 체육관을 지으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체육예산지원도 이전에 비해서는 늘어났다. 수업측면에 있어서도 직무연수과정이 늘어났으며 요즘 대두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요원도 확보되고 있었다. 평가측면에 있어서는 체육교과 수행평가 자료개발 등 지원이 되고는 있었으나 실효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학교현장에 적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하였다. 셋째, 체육교과 3등급 평가기록 방식의 문제점은 최소한의 변별력으로 인해 실제로 학생들의 신체적 재능을 변별력 있게 가려낼 수 있는 기준이 미약하며, 체육 교과 평가에 대부분 기본점수를 부여하는 관행이 있기 때문에 학력 인플레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나아가서는 체육교과가 고입 내신 성적에 영향력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 학생들과 학부모에게 인지가 되었을 때 체육교과에 대한 충실도, 참여도, 인지도 측면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 스 럽다. 넷째, 현장의 체육교사들은 체육교과의 바람직한 평가방식은 평가가 수업 내용을 규정하는 현재와 같은 분위기에서는 학생의 참여와 학업성취를 충분히 이끌어 낼 수 있는 평가 방식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개개인으로 할 때 는 절대평가를 하더라도 최종 성적을 산출할 때는 적어도 다른 교과와 같이 상대평가에 의해서 성적을 산출하는 방식이 현 학교상황에서는 적합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3등급 평가방식 제도가 학교현장에서 잘 적용되기 위해서는 수업환경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의 수업능력과 평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3등급 평가방식 제도에 맞추어 교사와 학생의 노력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육평가 6 1. 체육과 평가 7 2.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평가 11 3. 체육평가 관련 선행연구 12 B. 체육교과의 3등급 평가기록 방식 16 1. 체육교과의 3등급 평가기록방식 기본 방향 16 2. 체육교과의 3등급 평가기록 방식의 주요 내용 17 3. 학교생활기록 방식 19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연구도구 23 C. 연구방법 및 절차 25 Ⅳ. 연구결과 26 A. 체육교과 3등급 평가기록 방식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26 B. 체육교과 3등급 평가기록 도입 이후 체육 교과의 지원 41 C. 체육교과 3등급 평가기록 방식의 문제점 43 D. 체육교육의 바람직한 평가방식 44 Ⅴ. 논의 46 Ⅵ. 결론 및 제언 50 A. 결론 50 B. 제언 53 참고문헌 54 부록 A. 학생대상 설문지 57 부록 B. 교사대상 설문지 60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39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체육교과 3등급 평가기록 방식 도입 이후 체육수업 및 평가에 대한 인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Awareness of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3rd evaluation method of the Lesson on Physica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Na-Yeon-
dc.format.pagevi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