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코치 - 선수 간 코칭행동의 지각 차이와 팀 응집력 및 팀 성적의 관계

Title
코치 - 선수 간 코칭행동의 지각 차이와 팀 응집력 및 팀 성적의 관계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n the team cohesion and team results by difference between coaching behavior of basketball coach and athletes perception coaching behavior
Authors
정혜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1)the difference between coaching behavior of basketball coach and athletes perception coaching behavior, and 2)relationship between team cohesion and team results.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or achieving this study purpose, and sampled 274 persons(21 male teams and 6 female teams) who are registered in Korean middle-high school basketball league were finally participated. Questionnaire was used as Measuring instrument. LSS(developed by Chelladurai and Saleh(1978)) after modifying Fleishman`s "LBDQ-VII" item was used for the difference between coaching behavior of coach and athletes perception coaching behavior. And GCQ which developed by Mr. Hangyu Lee and Mr. Byunghyun Kim(1994) applied Korean Sports team was used as measuring instrument for team cohesion.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 α" which was analysed inner coincidence between question from this study was .657 ~ .797. Researcher visited whole gymnasium and Questionnaires were written by whole object of study using "Self Administration Method".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th SPSS Window Ver 18.0.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coaching behavior of basketball coach and athletes perception coaching behavior affects to team cohesion. Thus, boy athletes have higher personal/social cohesion if they have higher instruction behavior and positive feedback, and have higher group/social cohesion if they have higher democratic behavior and instruction behavior. And have higher personal task cohesion if they have highe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nd have higher group task cohesion if they have higher social support behavior. The difference of coaching behavior does not affect personal/social cohesion for girl athletes, and they have higher group/social cohesion if they have lowe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highe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They have higher personal task cohesion if they have lowe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nd they have higher group task cohesion if they have highe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lowe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coaching behavior of basketball coach and athletes perception coaching behavior affects to team results. Thus, boy athletes have higher team results if they have higher positive feedback and lower training/instruction behavior. And girl athletes have higher team results if they have higher democratic behavior and lower training/instruction behavior.;본 연구는 코치-선수 간 코칭행동의 지각차이에 따른 팀 응집력과 팀 성적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 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한국 중·고 농구연맹에 선수로 등록되어있고 서울 지역에 위치한 남자 21개 팀, 여자 6개 팀, 총 27개 팀 274명이 최종표집 되었다.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지도자의 코칭행동과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의 차이에 대한 행동유형은 Fleishman의 LBDQ-VII 항목을 수정하여 Chelladurai와 Saleh(1978)가 개발한 코칭행동 척도(LSS)를 사용하였으며, 팀 응집력을 측정하는 도구는 이한규· 김병현(1994)이 한국 스포츠 팀에 맞게 개발한 스포츠 집단응집력 검사지(GC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분석한 신뢰도 계수 Cronbach α값이 .657 ~ .797로 나타났다. 조사절차는 체육관을 직접 방문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회수한 설문지는 유효 표본만을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SPSS Window Ver 18.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구지도자의 코칭행동과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의 차이는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친다. 즉 남자 선수들은 전제적 행동유형과 긍정적 보상행동이 높을수록 개인적 사회적 응집력이 높고 민주적 행동과 전제적 행동이 높을수록 집단적 사회적 응집력이 높다. 훈련과 지시행동이 높을수록 개인적 과제 응집력이 높고 사회적 지지행동이 높을수록 집단적 과제응집력이 높다. 여자선수들은 코칭행동의 차이가 개인적 사회적 응집력에는 차이가 없고, 사회적 지지행동이 낮고 훈련과 지시행동이 높을수록 집단적 사회적 응집력은 높다. 훈련과 지시행동이 낮을수록 개인적 과제 응집력은 높고, 사회적 지지행동이 높고 훈련과 지시행동이 낮을수록 집단적 과제 응집력은 높다. 둘째, 농구지도자의 코칭행동과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의 차이는 팀 성적에 영향을 미친다. 즉 남자선수들은 긍정적 보상행동이 높고 훈련과 지시행동이 낮을수록 팀 성적은 높고, 여자선수들은 민주적 행동유형이 높고 훈련과 지시행동이 낮을수록 팀 성적이 높다. 코칭행동 지각차이에 따라 응집력과 팀 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도자가 선수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좋은 성적을 내는 데에만 신경을 쓰는 것이 아니라, 남·여의 특성과 그에 따른 차이를 완벽히 파악하여 지도방법을 달리 해야 하며, 지도자 자신의 지도의도와 선수들이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는 지를 분명하게 인식하여 그러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여 지도를 해야 팀 응집력과 팀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