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재미 한글학교 교육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교육주체 요구분석

Title
재미 한글학교 교육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교육주체 요구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Korean School's Education in America
Authors
김태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고는 재미 한글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한글학교 기능, 교사, 교재, 한국어 수업, 한국문화 수업, 학교 운영의 6 개 영역, 53 개 항목에 관한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재미 한글학교 교육의 실태를 살피고 각 영역 중, 중점 개선해야 할 항목과 함께 교육주체의 요구가 무엇인지 살펴본 연구이다. 재미 한글학교 교사 114 명, 학부모 99 명, 학생 94 명을 대상으로 총 307 부의 설문지 분석과 교사, 학부모, 학생 각 5 명과의 심층 면접을 한 결과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도구로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한 뒤, 두 가지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1은 재미 한글학교 교육의 기능, 교사, 교재, 한국어 수업, 한국문화 수업, 학교 운영의 6가지 영역에 대해 교육 주체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여 각 영역별로 노력 지속, 중점 개선, 개선 요망, 현상 유지에 해당하는 항목과 특징을 기술하였다. 연구문제 2는 교육주체 간 차이를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중점 개선’ 면에 해당하는 항목을 중심으로 심층 면접과 설문지 분석을 통해 교육주체의 요구를 도출해 내고 논하였다. II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봤다. 재미동포 아동·청소년의 이중언어사용, 문화능력 등 재미동포 아동·청소년의 언어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본고의 분석 도구인 중요도-만족도 분석(ISA)에 대해 알아보았다. ISA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 전에는 각 속성의 중요도, 이용 후에는 만족도를 이용자 스스로 평가하게 함으로써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만족도를 동시에 비교·분석하는 평가 기법이다. 각 속성의 중요도 평균을 Y축으로 하고 만족도 평균을 X축으로 하여 각 4분면에 해당하는 속성을 파악,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영역이나 과잉 투자되고 있는 영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법이다. 세 번째는 재미 한글학교 교육으로, 학교 실태 및 특성, 교재 및 부교재를 검토함으로써 한글학교 교육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살폈다. III장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연구 설계와 연구 참여자를 기술했는데 연구 참여자는 가능한 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외 한국교육원 현황 통계자료를 이용하고 의도적 표집, 눈덩이 표집을 통해 선정했다. 측정도구인 설문지에 대한 내용, 심층면접 대상, 연구 문제에 따른 측정 도구 및 분석 방법과 함께 예비조사에 대한 내용을 실었다. IV장은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재미 한글학교 교육의 6개 영역 53개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 교육 주체별 중점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항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응답주체가 교사인 경우이다. 한글학교 기능 영역에서는 부모 및 한국인과의 한국어 대화, 이중언어 구사, 한미 간 다리 역할로서의 인재 양성,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자기 정체성 확립이었고 교사영역에서는 한국어에 대한 언어지식과 다양한 교수법 구사 능력이었다. 교재는 현지 실정을 고려한 한국어 교재,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한국 역사·문화 교재, 교사용 지도서였고, 한국어 수업 영역에서는 학습자 참여를 높이는 수업이었다. 한국문화 수업에서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이며 학교 운영 영역에서는 미국 교육제도와 연계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었다. 두 번째, 응답주체가 ‘학부모’인 경우이다. 한글학교 기능영역에서는 ‘이중언어 구사’,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자기 정체성 확립’이었고 교사영역에서는 ‘다양한 교수법 구사 능력’, 교재 영역은 ‘현지 실정을 고려한 한국어 교재’,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한국 역사·한국 문화 교재’였다. 한국어 수업 영역에서는 ‘학습자 동기 유발을 높이는 수업’과 ‘학습자 참여를 높이는 수업’이었고 한국문화 수업에서는 ‘한국 현대문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이 해당되었다. 학교운영 영역에서는 ‘미국 교육제도와 연계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었다. 세 번째, 응답주체가 ‘학생’인 경우이다. 한글학교 기능 영역에서는 ‘한미 간 다리 역할로서의 인재양성’,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자기 정체성 확립’, ‘이중언어·이중문화 경험을 통한 세계 시민 양성’이었고 교사 영역은 해당 항목이 없었다. 교재 영역에서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한국 역사·문화 교재’였고 한국어 수업 영역에서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 학습자 동기 유발을 높이는 수업’,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이었다. 한국문화 수업 영역은 ‘한국 현대문화’였으며 학교 운영 영역은 ‘미국 교육제도와 연계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었다. 이어서 교육주체 간 차이 분석 시에는 교육주체별 집중 개선 영역 및 항목을 근거로 설문지의 개방형 질문 분석과 심층 면접을 실시하면서 교육주체 요구 분석 및 한글학교 교육의 지향점을 찾아보았다.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나타난 중점 개선 항목을 중심으로 실시한 심층 분석에서는 전문적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강하게 나왔고 외국어 학점 인증제 실시를 통해 한글학교의 모습을 보다 전문적인 기관으로 변화시키자는 의견이 있었다. 개방형 질문 분석을 통한 학생들의 의견에서는 학교가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우선시 하였다. 교재 영역에서는 세 주체 모두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한국 역사·문화 교재의 부재를 언급하며 체계적인 한국 역사·문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말하였다. 교사 영역에서의 학부모, 교사가 요구하는 항목은 ‘다양한 교수법 구사 능력’이다. 한국어 수업 영역에서도 전문적 언어 능력 향상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학생들은 멀티미디어 수업의 활용에 대한 요구가 강했다. 한국 문화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요구와 함께 전통문화 중심의 수업을 지적하며 현대 문화를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가 컸다. V 장에서는 결론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 연구가 갖는 의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한글학교의 기능을 크게 정체성 교육과 한국어 교육 기능 두 가지로 나누었을 때,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결과에서 정체성 교육에 대한 중요도-만족도가 높았지만 심층 분석에서는 언어적 기능에 대한 요구가 더욱 강했다. 이 두 가지의 상이성이 바로 한글학교가 갖고 있는 문제점이자 개선해야 할 방향임을 제시하며 과거부터 존재해 온 한글학교의 중요성은 살리면서 시대가 요구하는 변화를 향해 발전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임을 피력했다. 본고는 미주 13 개 주 22 개 도시를 대상으로 재미 한글학교 교육의 전반적 분야에 대해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을 한 연구로 한글학교 교육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다만 한글학교 교육의 전반적 영역과 항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관계로 각 변인에 따른 분석과 각 영역별로 집중적인 분석을 하지 못하고 미국 지역만 살핀 한계와 아쉬움이 있으므로 각 변인별, 영역별, 타 국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This thesis is for the study of looking into the demand of Korean-American people such a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called 'education subjects') in Korean schools in America. by conducting a survey abou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Korean schools in terms of function, teachers, textbooks, classes of learning Korean and culture and school management to know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in Korean schools and then find what could be improved. I have the survey- analysis from the total of 307 surveys that were collected from 114 teachers, 99 parents, and 94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5 each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With the collected data, I used the SPSS win 18.0 program to perform technical statistics, corresponding samples T-test and employed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as a analysis tool. The organizat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I, I write about the nee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n, after my preliminary study, presented two problems in detail for the study. The second inquiry is about analyzing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involved in Korean education and discusses the direction to where the education of Korean schools is going with presenting the demands of the subjects in the item of ‘focused improvement’ through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In the chapter II, I write about the basis of theories. First, I look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language features of Korean American children and juveniles in the use of bilingualism. Second, in this thesis, I present the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which is an analyzing tool. Third, I write about a situation of Korean school education by reviewing the reality and the character of Korean schools, textbooks and sub textbooks. In the chapter III, I describe a inquiry architecture and participants as a study method. And in this chapter I put the content abou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ith the content of survey, a in-depth interview subject, and study problem as a measuring tool and a analysis method. In the chapter IV, I analyze the result of the study. Wi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tems of 53 in the 6 fields of Korean schools education in USA, the focused improvement that is considered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that a responding subject is teachers, communication skill for parents & other Koreans, bilingualism,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a bridge between Korea and USA, the establishment of self identity as a Korean American are needed in the function of Korean schools. And in the field of teachers,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the ability to use various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extbooks are needed for teachers as a guide in terms of Korean textbooks of which the reality of Korean schools are reflected a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textbooks of which the character of learners is considered. In the field of Korean classes, the classes in which stu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are needed.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e classes, an education program reflected with the feature of learners is needed. In the field of school management,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American education systems is necessary. Secondly, in the case that a responding subject is parents, dual language speaking and the establishment of self identity as a Korean American are required in the field of Korean school function. And in the field of teaches the ability to use various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extbooks are needed for teachers as a guide in terms of Korean textbooks of which the reality of Korean schools are reflected a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textbooks of which the character of learners is considered. In the field of Korean classes, the classes in which stu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and to be motivated are needed. And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e classes, an education program reflected with the feature of learners and contemporary Korean culture is needed. In the field of school management,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American education systems is demanded. Thirdly, in the case that a responding subject is students, cultivation of capable men for a bridge between Korea and USA, the establishment of self identity as a Korean American, bilingualism, cultivation of global citizen through bicultural experiences. In the field of teachers, there is no item fitted. In the field of textbooks, Korean history and culture textbooks of which the character of learners is considered is necessary. And In the field of Korean classes, the classes in which stu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and to be motivated are needed by using multimedia. And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e classes, an education program reflected with the feature of learners and contemporary Korean culture is needed. In the field of school management,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American education systems is requested. Also, when analyzing differences among education subjects, I tried to find a directional point of Korean school education and the demands from education subjects by conducting a depth interview and open questions in the survey based on focused improvement fields and items for education subjects. Through the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shown, The in-depth analysis surveyed on the ground of focused improvement items showed that the request of professional bi-language education is strong. And there is an opinion which by implementing foreign language certification systems, Korean schools should be changed into better professional institu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open questions there is an opinion from students which they have preference to get practical help from Korean schools. In the field of textbooks, with stating the absenc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textbooks reflected with the feature of learners of all three subjects, the education procedure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should be needed systematically. In the field of teachers, the item that parents and teachers asked for is the ability to use various teaching methods. In the field of Korean classes, there was a demand of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 language speaking and students strongly want to have some multimedia classes. And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e classes, an education program reflected with the feature of learners and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classes is lacking, therefore, the program for contemporary Korean culture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and teachers can teach is seriously needed. In the chapter V, as for conclusion, I organize the result of the study, state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make a proposal about a follow-up study. When I divide the function of Korean schools into two things (the education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finding their identity), the result through the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is high i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bout the education of identity, but in the depth interview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 stat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wo analyses is the main problem showing the directional path of reforming Korean schools. And the traditional advantages from the past of Korean schools must be kept, yet the schools try to find a way of change toward the development which the times require. I think that this thesis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of Korean schools abroad since this study is based 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in broad fields of Korean school education in 22 cities in 13 states of USA. However, I feel that i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and that there were limits both because I did not analyze variables for each group and field in detail and because this study was confined within Korean schools in USA. Thus, I offer some follow-up study for Korean schools of other nations and more in-depth variables of groups & fields in Americ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