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요청 화행 생산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요청 화행 생산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y on the production and awareness of the request speech acts
Authors
권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y on the production and awareness of the request speech acts. As the learning environment takes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target languag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y on learners' speech acts awareness have been conducted continually. However, there's no study on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y on learners' production and awareness of the speech acts. The need to study learners' speech acts production was raised in Bardovi-Harling and Dornyei(1998) so it's important to examine Korean learners' target language production for their better communication. The request speech acts mean future acts which are to be conducted by a hearer. A speaker should believe that the hearer can conduct acts to request the hearer to do the acts he asked. And he should want the hearer to do future acts. In addition, as the request speech acts reflect social‧cultural values more than other speech acts, in case of foreign learners to utter the request speech acts, it's required to learn expressions of request speech acts according to social‧cultural values relevant country expects. In case of target language learning in learners' native environment, it may be difficult to learn the pragmatic ability than target language environment. Even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learners may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if they can't learn social‧cultural knowledge of the country. Therefore, for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to learn Korean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and those to learn Korean in the learners' native environment, this study aims at discussing what effect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y have on production and awareness of Korean request speech ac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y on the production and awareness of the request speech acts. this study used Discourse Complete Test as the research tool, and conducted Situation Relevance Research to select actual discourse data from 40 Korean native speakers for organizing the test based on real discourse data. Including selected situations and confusion items of rejection, complain and gratitude speech acts, preliminary test was done through 30 production and awareness items of the request speech acts. And main experiment was conducted after correction‧ complement of the test tool and contents problems.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homogeneity between Thai learners to learn Korean in Korea and those to learn Korean in Thailand, it conducted the test composed of items on production and awareness of the request speech acts with selected response after conducting the level test.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like followings below. In Chapter Ⅰ, this study identifies the aim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draws research topics through examining precedent studies on the request speech acts and the pragmatic abi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y. In Chapter Ⅱ, it presents the concept and the analytic frame of the request speech acts, and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Chapter Ⅲ, as for research methods, it presents objects, procedures and instruments of the research, and describes data analysis methods. In Chapter Ⅳ, it describes research results of the study. As the result, as for score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i learners to learn Korean in Korea and those to learn Korean in Thailand in case of production item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of awareness items. As for score dif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profici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n case of production item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case of awareness items. As the result of production analysis according to difference between proficiency within learning environ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analysis according to difference between proficiency within learning environments. As the result of production analysis according to difference between learning environments within profici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analysis according to difference between learning environments within proficiency. So, this study concluded that participants aware request speech acts but have difficulty in achieving production. In Chapter Ⅴ, it describes the conclusion and points to discus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considered both learning environment for Korean learners to learn Korean and proficiency first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ed their effects on production and awareness of the request speech acts.;본 연구는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요청 화행 생산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 환경이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를 배우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학습자의 화행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나,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학습자의 화행 생산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Bardovi-Harling와 Dornyei(1998)에서 학습자의 화행 생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듯이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표 언어 생산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학습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중요하다. 요청 화행은 청자에 의해서 수행될 미래의 행위를 의미한다. 화자는 자신이 요청한 행위를 청자가 수행하는 것을 요구하기 위해 청자가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고 믿어야 하고, 청자가 수행할 미래 행위를 원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요청 화행은 다른 화행들에 비해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반영도가 높기 때문에, 요청 화행을 발화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해당 국가에서 기대하는 사회‧문화적 가치관에 따른 요청 화행 표현을 학습할 필요성이 있다. 목표 언어를 학습자의 모어 환경에서 학습할 경우 목표 언어 환경보다 화용적 능력을 학습하기 어려울 수 있고, 목표 언어 환경에서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일 경우에도 그 나라의 사회‧문화적 지식을 학습하지 못할 경우에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표 언어 환경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고급 학습자와 학습자의 모어 환경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한국어 요청 화행의 생산 및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학습 환경과 숙달도가 요청 화행 생산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화 완성형 설문지(Discourse Complete Test)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고, 실제 담화 자료를 바탕으로 한 설문지를 구성하기 위해서 한국인 모어 화자 40명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담화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황 적절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선별된 상황과 거절, 불평, 감사 화행 등의 혼란 항목을 포함하여 총 30개의 요청 화행 생산 및 인식 문항을 만들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고, 설문 도구와 내용상의 문제점을 수정 및 보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태국인 학습자와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태국인 학습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전 숙달도 평가를 실시한 후 선다형(selected response) 문항으로 구성한 요청 화행의 생산과 인식 문항을 실시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요청 화행 관련 선행 연구와 학습 환경과 숙달도에 따른 화용 능력 발달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한 본고의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Ⅱ장에서는 요청 화행의 개념과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 학습 환경 관련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관련하여 연구 대상, 연구 절차, 연구 도구를 제시하고,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결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환경에 따른 점수 차이 분석에서 생산 문항의 경우는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태국인 학습자와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태국인 학습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식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숙달도에 따른 점수 차이 분석에서는 생산 문항의 경우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식 문항의 경우는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 환경 내 숙달도 간의 차이에 따른 생산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학습 환경 내 숙달도 간의 차이에 따른 인식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숙달도 내 학습 환경 간의 차이에 따른 생산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숙달도 내 학습 환경 간의 차이에 따른 인식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종합한 결과 실험 참여자들이 요청 화행 인식은 하되 생산까지 도달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 및 논의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최초로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 환경과 언어 숙달도를 모두 고려하여 요청 화행 생산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